8,200억 팔렸는데 원금 날릴 판..공포 넘어 '패닉'
[뉴스데스크] ◀ 앵커 ▶
DLF라고 들어보셨습니까.
이름만 들어서는 알기가 어려운데요.
요즘 논란이 되고 있는 금융상품입니다.
수익 구조를 보면요.
영국이나 독일같은 외국의 금리가 일정 범위 안에서 움직이면 수익을 보장해주는 겁니다.
그런데, 그 범위를 벗어나버리면 어떻게 될까요.
벗어날수록 손해가 커져서 원금을 몽땅 다 날려버릴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이름도 어렵고, 위험할 수 있는 투자상품에 국내에서 적지 않은 노인들도 투자를 했다고 하는데요.
지금 큰 손해를 볼 상황에 처해서 금융당국이 조사에 나섰습니다
김수진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64살 김 모씨가 오늘 금융민원센터를 찾아왔습니다.
지난 5월, 거래하던 은행의 권유로 노후자금 4억7천만원을 DLF에 투자했는데, 가입할 때 원금 손실가능성은 전혀 듣지 못했다고 합니다.
[김 모 씨/DLF 투자자] "그런 이야기를 들었으면 미친 사람 아니고 누가 거기에 가입할 겁니까."
석 달 만에 원금은 반토막 났고, 은행측에 위험성을 왜 알려주지 않았냐고 항의하자, 스스로 서명한 신청서류가 있는만큼 은행이 해 줄 건 없다는 대답만 돌아왔습니다.
이처럼 심각한 원금손실 상태에 빠진 DLF는 올 상반기 주로 우리은행과 KEB하나은행에서 팔렸습니다.
판매 잔액만 8천 224억 원에 달하고, 89%는 은퇴자 등 개인들로 한 명당 평균 2억 원 꼴로 투자했습니다.
금감원 조사 결과, 이들 상품의 손실률은 그나마 나은 경우가 56%로 원금이 반토막 났고, 일부는 손실률이 95%, 원금을 통째로 날릴 상황입니다.
은행측은 급격한 금리변동을 예측할 수 없었다고 설명합니다.
하지만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금융불안정은 이미 예견됐던 것이어서 은행들이 금리와 연계된 고위험 상품을 공격적으로 판매한 건 이해할 수 없다는 비판도 나옵니다.
금융당국도 상품 설계부터 판매까지 전 과정을 합동점검하기로 했습니다.
특히 상품을 개인투자자들에게 판매하면서 은행측이 손실 위험을 제대로 설명했는지 여부를 집중 들여다볼 계획입니다.
[김동회/금감원 자본시장감독국장] "상품에 대한 설명의 어떤 부족이라든지, 그다음 투자 권유에 있어서 불건전한 투자 권유가 있었는지..."
금감원은 또, 이미 29건이나 접수된 소비자들의 분쟁조정 신청도 신속히 진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C뉴스 김수진입니다.
(영상취재: 이상용 / 편집: 배우진)
김수진 기자 (sj@mbc.co.kr)
[저작권자(c) MBC (www.imnews.com) 무단복제-재배포 금지]
Copyright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금지
- 장병들 '12년'간 노출.."軍 병원서 폐 딱딱해져"
- [단독] 정규직 '목숨값' 비정규직의 3배?..현대판 신분제
- 컨베이어 문제 '뻔히' 알면서..원청·하청 책임 회피
- "장학금까지 비리선물세트".."가족 신상털기 그만"
- [단독] 화장실 가두고 뺨 때리고..알림장엔 "잘 지냈어요"
- '접합 수술' 실패..알바 '돌려 막기'가 참사 불러
- [스트레이트 예고] "문재인·노무현은 부정선거로 당선"..고삐 풀린 가짜뉴스
- 韓 "정말 바다에 버릴 건가?"..日 "정해진 바가.."
- 48년 된 여인숙에 불..폐지 줍던 노인들 덮쳤다
- 경찰, '투표 조작 의혹' 프로듀스X 1O1 추가 압수수색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