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아이 부모 10명 중 9명 '자녀 시력 완성 시기' 몰라"
입력 2019. 08. 20. 13:55기사 도구 모음
일반적으로 시력은 만 7∼8세에 완성되지만 이를 정확히 아는 부모는 10명 중 1명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양의대 김안과병원은 전국의 성인 중 7세 이하 자녀를 둔 보호자 1천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눈 건강 인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김용란 김안과병원장은 "시력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간이 7∼8세"라며 "아이가 태어난 뒤 이 시기까지 몇 년 동안은 집중적인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서울=연합뉴스) 강애란 기자 = 일반적으로 시력은 만 7∼8세에 완성되지만 이를 정확히 아는 부모는 10명 중 1명도 채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양의대 김안과병원은 전국의 성인 중 7세 이하 자녀를 둔 보호자 1천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눈 건강 인식에 대한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시력은 생후 2∼3개월에 급격히 발달하고 약 7∼8세 정도에 거의 완성된다. 약시 등 안과 질환은 시력발달이 끝나기 전에 치료하지 않으면 나중에 치료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빨리 치료해야 한다.
게다가 눈은 다른 신체 부위와 달리 발달 정도나 이상을 육안으로 알기 어렵고 아이가 눈 이상을 잘 표현하지도 않아 보호자의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실태조사 결과 시력 완성 시기가 만 7∼8세인 것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말에 7.3%만 '정확히 알고 있다'고 답했다. 50.4%는 '전혀 몰랐다', 42.3%는 '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
약시인 아이가 소아기에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성인이 돼서도 시력이 개선되지 않는다는 점에 대해서는 13.6%가 '정확히 알고 있다'고 답했다. 32.5%는 '전혀 몰랐다', 53.9%는 '들어본 적이 있는 것 같다'고 답했다.
눈 이상의 조기발견을 위한 보호자의 인식도 부족한 것으로 조사됐다.
자녀의 첫 안과 검진의 적절한 시기에 대해서는 '생후 36개월경'이라고 답한 응답자가 31%로 가장 많았고, '초등학교 입학 전'이 23.6%, 생후 24개월경' 13.4%, '생후 12개월경' 13.1%, '생후 6개월경' 7.1%, '태어난 직후' 4.9% 등이었다.
보통 안과검진은 1세부터 매년 받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매년 받을 수 없다면 최소한 영유아 시력 발달에 있어 중요한 시기인 1세, 3세, 6세에는 검진을 받는 것이 도움이 된다.
자녀의 안과검진을 받지 않는 이유로는 '자녀가 어려서 필요하지 않은 시기'라는 답변이 24%, '특별한 질환 및 이상 증상이 있을 때만 필요하다' 18.7% 등으로 나타났다.
김용란 김안과병원장은 "시력이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기간이 7∼8세"라며 "아이가 태어난 뒤 이 시기까지 몇 년 동안은 집중적인 관심을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
aeran@yna.co.kr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야구방망이 폭행' 혐의 래퍼 아이언 숨진 채 발견(종합) | 연합뉴스
- 배우 송유정, 지난 23일 사망…향년 27세 | 연합뉴스
- 프로야구단 SK 와이번스, 신세계그룹에 팔린다(종합) | 연합뉴스
- 공주 논바닥서 20대 여성 숨진 채 발견…"타살 혐의 없어" | 연합뉴스
- "방송인 이혁재, 수천만원 안 갚아" 경찰에 고소장 접수돼 | 연합뉴스
- 병원 앞에서 일주일 기다린 강아지…주인 퇴원에 기뻐 깡충깡충 | 연합뉴스
- 신동근, '폭행피해' 고시생에 "손가락 잘린 것도 아니고…" | 연합뉴스
- 교장이 교사에 뽀뽀하며 엉덩이 '툭툭'…벌금 700만원 | 연합뉴스
- 교사보다 흡연자가 먼저?…코로나 백신 우선접종 둘러싼 갈등 [이슈 컷] | 연합뉴스
- 장혜영 "성추행 고통 컸지만 존엄성 위해 피해 공개"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