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설]추석 특집, 영화 추천

손희정 기자 2019. 9. 9. 20:5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추석이 다가왔다. 밥상 위로 오고 갈 답 없는 설전을 어째야 할지, 벌써부터 골치 아픈 분들도 계시겠다. 내 코도 석 자인 마당에 가족 간의 정견 차를 피해갈 묘안을 제안하기는 어렵고, 오늘은 독자들께 추석 연휴 기간 중 즐기실 만한 영화 몇 편을 소개해드릴까 한다.

우선 화제작인 <우리집>(윤가은)과 <벌새>(김보라)부터 챙겨 보시면 좋겠다. 두 작품 모두 4만명 정도의 관객을 극장가로 유혹했다. 쌍 천만 시대에 4만명이라니. 별일이 아닌 듯하지만, 실제로 한 작품이 2000개 이상의 스크린을 점유하기도 하는 독과점의 시대에 단 몇 십개의 스크린으로 짧은 기간에 이 정도 관객을 모으는 건 쉽지 않다. 그야말로 입소문이 대단하다는 의미다.

두 작품 모두 ‘어른 없는 시대, 아이들의 초상’을 다룬다.

흥미롭게도 최근 여성감독이 연출한 주목할 만한 ‘작은 영화’들 중에 이런 영화가 꽤 있다. 윤가은의 전작 <우리들>(2015)을 비롯하여 김인선의 <어른도감>(2017), 차성덕의 <영주>(2018), 안주영의 <보희와 녹양>(2019), 그리고 유은정의 <밤의 문이 열린다>(2019)가 그 작품들이다.

이 영화들에서 어른들은 부재하거나, 가시밭길 위에서 분투하느라 주위를 살필 여력이 없다. 자신의 선택과 행동에 책임을 지고, 지혜와 자원을 나눠주는 존재로서의 ‘어른’은 잘 보이지 않는다. ‘때때로 기댈 수 있는 어른’이라는 최소한의 안전망도 없이, 아이들은 어떻게든 스스로 자라야 한다.

사실 한국영화에서 ‘어른’을 못 본 지는 좀 됐다. 30~40대 이상의 남자 배우들이 스크린을 독식하고 있는데, 왜 어른은 없을까? 그 남자들은 이유를 알 수 없이 화가 나 있거나, 보고 있기 처량한 나르시시즘에 빠져있거나, 세계를 태우고 파괴하느라 바쁠 뿐, 누구 하나 인간으로서 성숙하기 위해 노력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그들은 자신의 억울함에 대한 것 말고는 어떤 질문도 던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오직 속물의 인정투쟁만이 스크린을 가득 채운다. “나한테 왜 그랬어요?”라는 대사가 그토록 인기가 있었던 건, 그 말이 한국영화의 시대정신을 대변했기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최근 한국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어른은 <소공녀>(2017)의 미소였다. 자신이 원하는 바를 알고 있고 그것을 찬찬히 추구하는 존재로서, 미소는 이미 성장을 끝낸 사람이다. 아등바등 사는 친구들에게 기댈 어깨를 내어줄 수 있는 건 그가 어른이기 때문이다.

이 영화를 연출한 전고운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캐릭터의 성장에 관심이 없다고 말했다. 나는 그가 성장서사를 배제함으로써 그 어떤 작품보다 분명하게 “성장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성장은 사회가 정해준 ‘어른의 규격’에 스스로를 맞추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들여다볼 준비가 되었을 때 비로소 시작되는 것이다. 나의 마음이든, 당신의 마음이든 말이다.

성장이란 홀로서기가 아니라 세계와 기꺼이 함께 서겠다는 용기 속에서 가능해진다. 위에서 언급한 영화들은 그 용기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만약 나이만 찬 상태로 성숙하지 못한다면, 결국은 <밤의 문이 열린다>의 혜정처럼 죽은 뒤에야 자라기 시작할지도 모르겠다. 무심히 흘려보낸 순간들 때문에 벌어진 일들을 바로잡기 위해 하루하루를 거슬러 올라가면서.

작은 사람들의 시간은 하찮은 것이라고들 여긴다. 하지만 과연 다 큰 남자들끼리 몰려다니면서 술 마시고 주먹질하는 권모술수의 스펙터클과 비교해 이 뜨거운 성장의 순간들을 사소하다고 할 수 있을까?

우리는 그동안 무엇을 볼만한 이야기라고 생각해 왔는가? 이런 이야기의 편향이야말로 9일 임명된 조국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갑론을박에서 봤던, 본인의 일상은 나 몰라라 해도 국가의 큰일은 건사할 수 있다는 그 허황된 믿음과도 연결되어 있지 않나.

스포일러 없이(!) 일곱 편의 영화를 소개했다. ‘몰아보기’하시기를 권한다. 각각의 작품들이 모여 좋은 질문을 품은 반짝이는 영화적 우주가 형성될 수도 있을 테니까.

손희정 문화평론가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