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단독] 文정부 2년, 70대 소득 41% 늘 때 20대는 2% 줄었다

김준영 2019. 9. 24. 05:00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7년과 2019년 2분기 가계동향조사 분석
청년실업률 20년 만에 최고 수준
6070 근로소득 증가율 가장 높아
공공일자리에 예산 집중 때문
문재인 정부 이래 가구당 근로 소득 증가율이 세대별 차이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60·70대는 2년간 소득이 크게 증가한 반면 20대에서는 외려 뒷걸음질 쳤다.
지난 16일 문재인 대통령이 청와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서 발언하는 모습. 문 대통령은 이날 '2019년 2/4분기 가계동향조사'를 언급하며 "우리 경제가 어려움 속에서도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자유한국당 간사인 추경호 의원은 23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마이크로데이터(micro data·통계원시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경향이 나왔다고 밝혔다. 문재인 정부가 들어선 직후인 2017년 8월 발표된 2분기 가계동향조사와 지난달 발표된 2분기 가계동향조사의 세부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다.

통계청 발표 자료에도 ‘가구주 연령별 사업소득 통계’가 있긴 하지만, 이는 ‘2인 이상 가구’의 가구주만 조사한다. 또 가구주 연령 범주를 ‘39세 이하’로 묶어놨다. 20대의 소득만 별도로 떼서 분석·비교한 건 이번이 처음이란 의미다.

◆노인 소득 급증=70대 소득이 가장 크게 늘었다. 2017년 2분기 기준 월평균 근로소득이 38만1000원이었던 게 2년 후 53만8000원이 됐다. 41.2% 올랐다. 그 다음이 60대로 32.7%(134만5000원→178만4000원) 상승했다.

문재인 정부 취임 후 연령대별 근로소득 증감률. 그래픽=김주원 기자 zoom@joongang.co.kr
다른 세대에선 근로소득 증가율이 높지 않았다. 60~70대 소득 증가율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30대 13.0%(310만1000원→350만6000원) ▶40대 11.2%(323만3000원→359만6000원) ▶50대 9.6%(319만원→349만6000원) ▶80대 5.3%(10만7000원→11만3000원) 순이었다. 특히 60대의 경우 금액 기준으로 증가폭이 가장 컸다( 44만원).

이 같은 노인층 소득 증가는 최근 발표된 취업률과도 맥을 같이 한다.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45만2000명 증가했다. 이중 39만1000명(86.5%)이 60대 이상이었다. 정부가 이른바 ‘단기 알바’로 불리는 노인 공공일자리 사업을 대폭 늘린 효과다. 이들 일자리의 70%는 하루 2~3시간 일하고 한 달에 27만원을 받는 9개월짜리 한시적 일자리다. 이를 위해 투입되는 예산도 올해는 추가경정예산을 포함해 9220억원, 내년엔 1조2000억원으로 늘어난다.

◆20대 ‘나 홀로 마이너스’=반면 20대의 소득은 오히려 줄었다. 2017년 167만9000원이었던 근로소득은 2년 후 164만5000원이 됐다(-2.0%). 문 대통령은 지난 16일 “최저임금 인상 등의 정책 효과로 근로 소득과 이전 소득이 늘어 올해 2분기에는 모든 분위의 가계 소득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는데, 20대를 따로 떼어보니 다른 양상이 벌어진 게다.

이는 20대 취업난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7월 고용 동향에선 청년층(15~29세) 실업자가 전년 동기에 비해 2만6000명 증가, 청년실업률은 9.8%를 기록하며 1999년 7월(11.5%) 이후 2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다만 8월 고용 동향에선 7.2%로 낮아졌다.

추경호 의원은 “문 대통령은 올해 2분기 가계동향조사를 언급하면서 ‘우리 경제가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했지만, 어르신들에게 지원하는 일자리는 국민혈세로 만든 질 낮은 단기 일자리이고, 20대 청년들은 최악의 실업률 끝에 근로 소득이 감소했을 지경”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지금이라도 규제를 풀고 경제의 활력을 높여 민간이 질 좋은 일자리를 창출하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영 기자 kim.junyoung@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