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문희상 '韓日 기업+국민성금' 징용배상 최종안 만든다
김평화 기자 입력 2019. 11. 06. 09:38 수정 2019. 11. 06. 10:44기사 도구 모음
문희상 국회의장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문제 해법안을 내놨지만 일본 정부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문 의장은 "법안 제안에 대해 양국 정부가 당장 입장을 내놓기 어려울 수도 있다"며 "양국 의회가 긴밀히 협의해 추진해야 할 사안으로 일본측의 적극적 화답과 동참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의장이 제안한 이른바 '1(일본 기업)+1(한국 기업)+α(한일 국민성금)' 방안에 일본기업의 자금 출연이 들어가 있는 만큼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희상 국회의장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문제 해법안을 내놨지만 일본 정부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혔다. 문 의장은 귀국 후 법안 최종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문 의장은 5일 일본 와세다대 강연에서 징용 문제 해결 방안을 발표했다. 한국과 일본 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기부금 형식의 재단을 만들고 양국 국민이 성금을 내자는 방안이다. 기금엔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로 설립됐다가 해산된 화해·치유재단의 남은 재원 60억원도 투입하자고 제안했다.
문 의장은 강연에서 "양국 국민의 눈높이에 못 미쳐 모두에게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면서도 "누군가는 제안하고 말해야 하고, 이 또한 나의 책무"라고 강조했다. 문 의장은 "법안 제안에 대해 양국 정부가 당장 입장을 내놓기 어려울 수도 있다"며 "양국 의회가 긴밀히 협의해 추진해야 할 사안으로 일본측의 적극적 화답과 동참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문 의장은 이런 내용이 담긴 법안 초안을 준비해뒀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NHK에 따르면, 일본 정부 관계자는 6일 "일본 기업이 비용을 내는 것이 전제가 돼 있어서, 지금까지 말해왔듯 일본으로선 받아들일 수 없는 (안)"이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는 물론 자민당 내에서도 문 의장의 제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의견이 지배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으로 모든 보상 문제가 해결됐으므로 일본 기업에 재산상 손해가 발생하면 안 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한 셈이다. 문 의장이 제안한 이른바 '1(일본 기업)+1(한국 기업)+α(한일 국민성금)' 방안에 일본기업의 자금 출연이 들어가 있는 만큼 수용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최종안은 방일 중인 문 의장이 귀국 한 뒤 발의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머니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한집에 오래사는 미국인들? 속사정은 따로 있다
- 서동주 "미국 변호사 초봉 2억2500만원..100억 벌기도"
- 지주연 "작년에 결혼했지만 곧 이혼.. 섣부른 선택"
- 경제성장률 86%? IMF가 점찍은 그 나라 무슨일?
- 고유정이 머물다 간 펜션 "저희도 말라 죽고 있다"
- 여에스더, 또 외모 지적…♥홍혜걸 "환갑 아줌마" 발언엔 '발끈' - 머니투데이
- "의류사업 대박나 돈방석" 주우재, 홍대 한학기 남기고 자퇴한 사연
- 박수홍 사망보험금 '10억'…친형이 매달 1천만원씩 붓고 있었다
- '55세' 신동진, 늦둥이 둘째 계획? "아내가 늦지 않았다고"
- 이효리·이상순 저격한 전여옥 "재벌 못지 않다…꼭 카페 해야하나" - 머니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