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미 동맹 깊은 곤경..지소미아 종료 위협은 "동맹 남용"
권성근 입력 2019. 11. 24. 03:27기사 도구 모음
미국 정부의 압력에 한국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를 조건부로 연기했지만, 한미 동맹에 이미 균열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연기 결정은 현명했다"면서도 "그러나 한미간 신뢰에서 이미 손상이 있었다. 한국은 소중합 합의를 지렛대로 활용해 미국을 한일 간 경제적·역사적 분쟁에 개입하도록 했고 이는 동맹 남용 행위"라고 지적했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트럼프, 주한미군 철수 결정하면 미 외교정책에 재앙"
[서울=뉴시스]권성근 기자 = 미국 정부의 압력에 한국이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지소미아) 종료를 조건부로 연기했지만, 한미 동맹에 이미 균열이 발생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조지 W. 부시 행정부 시절 미 국무부 부장관을 역임한 리처드 아미티지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보좌관을 지낸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는 23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에 실린 '66년간 이어진 미국과 한국 간 동맹이 깊은 곤경에 빠졌다(The 66-year alliance between the U.S. and South Korea is in deep trouble)'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들은 "문재인 정부의 지소미아 종료 연기 결정은 현명했다"면서도 "그러나 한미간 신뢰에서 이미 손상이 있었다. 한국은 소중합 합의를 지렛대로 활용해 미국을 한일 간 경제적·역사적 분쟁에 개입하도록 했고 이는 동맹 남용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소미아를 종료하겠다고 위협한 행위는 북한의 핵 또는 미사일 시험에 대한 대응 능력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한국의 안보이익이 미국과 일본의 안보이익과 잠재적으로 분리돼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방위비 분담금 대폭 인상 카드를 내밀면서 한미 간 마찰이 가중됐다고 전했다. 이들은 미국 대표단이 조기에 협상장을 떠난 사실을 거론하며 동맹 간 균열을 공개적으로 인정한 드문 사례라고 밝혔다.
이들은 방위비를 5배 더 내라는 미국의 요구는 문재인 정부가 정치적으로 실행할 수 없는 안이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한국이 약 110억 달러가 들어간 경기도 평택 미군 기지 험프리스 건설비용의 90%를 부담했다면서 미국의 욕심에 대한 한국의 분노가 주한 미국 대사관 월담 사건으로 표출됐다고 전했다.
또 중국도 한미 관계에 변수가 되고 있다고 이들은 주장했다. 이들은 중국의 사드 보복에도 한국은 중국이 주도하는 다자 무역협정에 참여하고 싶은 반면 미국이 주도하는 인도-태평양 전략 동참에는 머뭇거리고 있다고 밝혔다.
이들은 한중 국방장관이 이번주 열린 회담에서 한중 군사 핫라인 설치 등에 합의했다며 이는 한미 동맹이 약화되고 있다는 또 다른 신호라고 평가했다.
이들은 이런 일련의 갈등 속에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협상 실패를 구실로 주한미군 철수 또는 감축을 추진할 수 있다면서 이는 일본을 넘어 북대서양조약기구까지 충격파를 던질 수 있다며 미국의 외교정책에 재앙이 될 것이고 미국이 초강대국의 위상을 중국에 넘겨주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ksk@newsis.com
ⓒ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시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아빠가 성폭행" 신고 사흘만 극단선택…친부, 범행부인
- 40대 간호조무사, AZ백신 맞고 뇌척수염으로 사지마비
- 예비 며느리에게 몰래 피임약 먹인 이유가…'썰바이벌'
- 버스서 음란행위 40대, 심신미약 주장했지만 2심도 실형
- 美서 테슬라 사고 2명 사망…"운전석 비어 있었다"
- "네가 죽인거야" 이하늘, 김창열에 격분...무슨일 있었나(종합)
- 양상추 포장속에서 혀 날름거리는 산 뱀 출현
- 전화하는 척 '음담패설'…서울대입구역 통화맨 벌금형
- 영화 '집으로' 김을분 할머니 노환으로 별세…향년 95세
- 2살 아들 뺨 17번 때린 30대 징역 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