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추픽추' 해발 2천400m 고산지대에 세운 이유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잉카제국 사람들은 왜 해발 2천400m가 넘는 험준한 산등성이를 세계문화유산 마추픽추 건설부지로 선택했을까.
브라질 리우그란데 대학의 루알도 메네갓트 교수는 당시 사람들이 마추픽추를 도시 건설지로 선택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위성사진과 지상측량 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지역이 안데스 산맥이 생겨날 때의 지각활동과 관계있는 단층이 교차하는 지점이었으며 시가지의 방향도 중요한 단층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8일 보도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잉카제국 사람들은 왜 해발 2천400m가 넘는 험준한 산등성이를 세계문화유산 마추픽추 건설부지로 선택했을까.
그동안 제기돼온 종교나 사회학적 이유 외에 공학적으로 이 지역이 시가지 건설에 적합했기 때문이라는 새로운 학설이 브라질 학자에 의해 제기됐다. 마추픽추는 "가기도 어렵고 건설도 어려운' 지역에 자리하고 있다.
돌을 정밀하게 쌓아 건설한 것으로 알려진 마추픽추는 20세기 초 안데스 산맥 북부 산등성이에서 발견됐다. 1983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고 2007년에는 '신(新) 세계 7대불가사의'에도 선정됐다.
브라질 리우그란데 대학의 루알도 메네갓트 교수는 당시 사람들이 마추픽추를 도시 건설지로 선택한 이유를 밝히기 위해 위성사진과 지상측량 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지역이 안데스 산맥이 생겨날 때의 지각활동과 관계있는 단층이 교차하는 지점이었으며 시가지의 방향도 중요한 단층과 일치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8일 보도했다.
단단한 암반이 단층활동으로 부서지는 바람에 이용하기 쉬운 크기의 암석을 구하기 쉬웠던 것으로 보인다고 한다. 메네갓트 교수는 "석조건축용 석재가 풍부하게 산출돼 잉카 사람들의 시가지 조성작업에 드는 노력이 크게 절감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
또 바위의 갈라진 틈이 수로의 역할을 해 빗물과 눈 녹은 물이 흘러들어 생활용수를 얻기 쉽고 큰 비가 올 때도 배수가 잘 됐던 것으로 보인다.
단층의 '교차점'에 위치한 잉카의 고대도시는 마추픽추 이외에도 있다고 한다. 메네갓트 교수는 "마추픽추는 잉카인들이 부서진 돌을 활용했음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결과는 미국 애리조나주에서 열린 미국 지질학회에서 발표됐다고 아사히가 전했다.
lhy5018@yna.co.kr
- ☞ 돌멩이 경기장 밖으로 던진 박항서에 왜 열광하나
- ☞ "사생활 폭로할 것" 양준혁 협박녀 그 후…
- ☞ 폐암말기 김철민도 복용한 개구충제 항암효과 진실은
- ☞ "文대통령, 남자 박근혜 느낌" 원희룡 발언에…
- ☞ 본인 '나체 인증샷' 올린 대학생들 "시험 기간에…"
- ☞ 최고법원 "살인자에게도 '잊힐 권리' 있다" 판결
- ☞ 황교안 "단식장 다시 갈 것" 부인 "그러다 진짜 죽는다"
- ☞ "20년간 필로폰 중독였다" 건설사 이대표 생생 증언
- ☞ "자취방으로 불러 '같이 놀자'" 자원봉사자에 '성희롱'
- ☞ '김장 전투' 北에선 가구당 김장 300㎏이 보통!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반려견 죽였다고 경찰관 앞에서 아버지 살해하려 한 딸 | 연합뉴스
- 12년전 대학 기숙사 성폭행범, 또 성범죄 저질러 재판행 | 연합뉴스
- 미혼출산 자녀 주택에 몰래 유기한 남성 "내 아이인지 몰랐다" | 연합뉴스
- 보아, '전현무와 취중 라방'에 사과…"실망 드려 죄송" | 연합뉴스
- 80대 자산가 재혼 2개월 뒤 사망…재혼녀 56억 인출 사기 무혐의 | 연합뉴스
- 빙판서 응원 율동하는 그룹 총수…"아내가 말려도 열심히 했죠"(종합) | 연합뉴스
- 공군 전투기 무단촬영한 10대 중국인 "부친이 공안" 진술 | 연합뉴스
- 약해진 한국축구, 일본서도 화두…기술위원장 "반면교사 삼아야" | 연합뉴스
- 故장제원 아들 노엘 "우울하고 비통한 시간…더 치열하게 살겠다" | 연합뉴스
- '왕좌의 게임' 속 다이어울프, 멸종 1만3천년 만에 복원 첫발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