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학자 "화성에 곤충"..과학계 "말도 안돼"

이정호 기자 2019. 12. 1. 21: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미국 오하이오대의 곤충학자인 윌리엄 로모서 교수는 미국곤충학회를 통해 지난 몇 년간 분석한 미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표면 촬영사진(왼쪽 사진)에서 곤충의 형상이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또 다른 사진(오른쪽)에선 3등분된 곤충의 몸구조가 보이는 화석도 관찰된다고 말했다. 로모서 교수 제공

망원경 성능이 고도로 발달하던 19세기 후반에 과학계와 대중은 화성에 지적인 생명체가 있을 가능성이 대단히 크다고 생각했다. 가장 강력한 증거는 ‘운하’였다. 지구 표면에 설치한 대형 망원경 렌즈로 빨려든 화성 표면의 복잡한 직선과 곡선은 생존을 위해 물을 끌어오는 화성인을 상상하기에 충분했다. 화성 상당 부분이 건조한 기후에 직면해 있고 생존하기 위한 방편으로 화성인들이 운하를 만들었다는 결론이었다.

1898년 출간된 공상과학소설 <우주전쟁>은 바로 그런 시대적 배경에서 탄생한 작품이다. 화성인이 인간의 과학기술 수준을 능가하는 우주선과 광선으로 단박에 지구를 자신들의 것으로 만든다는 줄거리는 당시 사람들의 관심사와 여기서 비롯된 공포를 정확히 반영했다.

하지만 좀 더 정밀한 망원경과 화성 근처까지 다가간 우주 탐사선의 등장으로 화성은 조심해야 할 외계인이 사는 행성이라는 생각에서 빠르게 멀어졌다. 인간과 같은 지적인 존재는 물론 미생물 수준의 생명체가 있는지도 확신할 수 없는 황량한 곳이라는 점이 밝혀졌기 때문이다. 수십억년 전 화성에 생명의 원천 역할을 하는 바다가 있었다는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지만 말 그대로 옛날일일 뿐이다.

그런데 지난달 하순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미국곤충학회에서 흥미로운 발표가 나왔다. 미국 오하이오대에서 곤충학을 연구하는 윌리엄 로모서 교수가 “화성에 곤충이 산다”고 주장한 것이다. 로모서 교수는 오하이오대에서 45년간 곤충학 분야를 연구한 원로학자로, 널리 활용되는 이 분야의 교과서인 <곤충학의 과학> 저자다.

“화성사진 면밀하게 분석한 결과

곤충 몸 가진 물체 잇달아 등장”

오하이오대 곤충학 권위자 주장

그가 내놓은 주장의 근거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전 세계인에게 정기적으로 공개하는 관측 사진이다. 화성 표면 탐사 과정에서 탐사로봇인 큐리오시티 등이 찍은 사진들을 몇 년에 걸쳐 면밀하게 분석한 결과, 곤충의 몸을 가진 물체들이 잇달아 등장했다는 해석이다. 로모서 교수의 주장에 따르면 사진들에서 머리, 가슴, 배 3부분으로 나뉜 전형적인 곤충의 몸통이 관찰되고 날개 형상까지 드러난다는 것이다. 실제로 그가 제시한 사진들에서는 날갯짓을 하는 나방, 지구의 물방개를 닮은 형상이 담겨 있다.

문제는 이런 사진의 신빙성이다. 인터넷에는 이처럼 NASA가 공개하는 사진들을 유심히 살펴보다 “생명체의 흔적”이라며 주장하는 사람들이 꽤 많다. 대부분 사진들은 매우 해상도가 낮아 형상을 정확히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어디가 머리이며 다리인지 설명하는 사진 수집가의 글이 따라붙어야 고개가 끄덕여지는 사진들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로모서 교수의 주장이 나오자마자 미국 과학계에선 반박하는 입장이 속속 나오고 있다. 데이비드 매디슨 오리건주립대 생물학과 교수는 과학매체 스페이스닷컴과의 인터뷰에서 “무작위의 자료에서 패턴을 찾아내는 ‘변상증(pareidolia)’의 한 예시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변상증은 벽에 그려진 얼룩이나 하늘의 구름에서 사람의 얼굴 모양 등을 찾아내 그게 진짜라고 믿는 심리현상이다. 증거라고는 생각하기 나름대로의 형상이 겨우 떠오르는 흐릿한 사진밖에 없는 상황에서 화성에 곤충이 산다는 주장은 받아들이기 힘들다는 뜻이다.

“대중에 잘못된 과학지식 퍼뜨려

생명체 탐색의 동력 저하 우려”

미 과학계와 NASA에선 손사래

NASA도 이 문제가 대중의 관심을 끌자 언론에 입장을 밝혔다. NASA는 “과학계 대다수의 의견은 화성 표면이 복잡한 체계를 가진 생명이 살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과학계에선 곤충처럼 눈으로 몸체를 또렷이 볼 수 있을 정도로 크기가 크고 자신의 의지대로 이동한 뒤 먹이를 먹고 번식할 수 있는 동물을 ‘복잡한 생명체’로 본다.

국내 과학계의 한 인사도 “곤충 수준의 생물이 산다면 먹이가 되는 또 다른 생물이 있어야 한다”며 “화성에 이런 수준의 정밀한 생태계가 있다는 분석이 동반되지 않고서는 믿기 어려운 얘기”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런 주장이 단순히 해프닝으로 끝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다. 과학계에선 화성에 곤충이 산다는 주장이 미국 유수의 대학이며 연구조직인 오하이오대에서 나온 게 큰 문제라는 시각이 나온다. 권위를 가진 기관에서 나온 주장이 대중에게 잘못된 과학 지식을 전파할 가능성이 커서다.

무엇보다 과학계에선 화성에서 생명체를 찾기 위한 동력을 떨어뜨릴 우려가 있다고 걱정한다.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의 행성과학자 니나 란사 박사는 “대중은 마치 화성에서 생명체가 꾸준히 존재해 온 것처럼 잘못 알게 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글을 자세히 읽고 곰곰이 생각하기에는 너무 일상이 바쁜 일반인들이 자칫 오도된 정보를 습득할 수 있다는 우려다. 실제로 화성에서 생명체가 발견되는 날, 그것이 지닌 엄청난 의미와 가치에 대해 대중이 둔감해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