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칼럼] 단식(斷食)

김대중 칼럼니스트 입력 2019. 12. 3. 03:17 수정 2020. 11. 11. 17:4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황교안의 단식이 YS보다 어려웠다
후광·추종세력도 없고 반대 여론은 비아냥
험한 말 내뱉는 정치인, 먼저 인간이 돼라
김대중 고문

1983년 5월 18일 전 신민당 총재 김영삼이 전두환 정권의 정치 탄압에 항거하는 단식에 돌입했을 때 나는 조선일보 정치부장이었다. 그가 단식을 시작한 초기 조선일보는 정권의 언론통제로 그의 단식을 보도하지 못했다. 모든 언론이 그랬다. 그때 언론은 김영삼의 단식을 ‘최근의 정세 흐름'’재야인사의 식사 문제' ‘정가(政街) 관심사’ ‘정치 현안’ 등 암호문 같은 단어로 암시하는 데 그쳤다. 코미디 같은 상황이었다. 기자로서는 부끄러운 일이었다.

나는 그때의 참담했던 심경의 연장선상에서 '거리의 편집자들'이란 칼럼(84년 11월)을 썼다. 우리가 가판 신문에 숨겨놓은(?) 진짜 중요한 1단짜리 작은 기사에 빨간 줄을 그어 '특보'라고 소리치며 판매하던 가두 판매자들을 보며 "우리는 오늘도 거리의 편집자들에게 졌다. 수치감과 창피스러움이 우리의 어깨를 움츠러들게 하지만 '저 친구들 잘도 뽑아낸다'면서 히죽이 웃을 수밖에 없는 마음속에 쓰디쓴 느낌이 가라앉는다."

새삼 36년 전의 '김영삼 단식'을 떠올리는 것은 지금은 시대가 달라졌음을 확연히 느끼기 때문이다. 이제는 권력이 '사실'을 막을 수도 없고 막는다고 거기 이끌려갈 언론도 아니다. 하지만 더 중요하게 달라진 것이 있다. 언론통제 시대에는 전체의 상황이 권력 대(對) 언론의 구도였다. 당국의 강요에 불가피하게 순응할 수밖에 없었던 정부 쪽 매체라도 기자들끼리는 속으로는 '한편'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아니다. 언론끼리도 확연히 갈린다. 권력(정부)을 옹호하는 매체는 앞장서서 비판 언론을 공격한다. 매체끼리도 성향에 따라, 지향하는 이념에 따라 서로 대립각을 세운다. 권력으로서는 전체 언론을 통제할 필요가 없어졌다. 언론 매체끼리 싸우게 놔두면 된다. 국민의 여론도 그렇게 갈리도록 유도한다. 광화문 집회 대 여의도-서초동 집회의 구도는 그것의 반영이다.

'황교안 단식'에서도 그 대립의 구도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 김영삼 단식은 그 '깜깜이 통제'에도 불구하고 널리 회자한 데 반해 황교안 단식은 만천하에 공개된 속에서 일부 '생뚱맞다'거나 '왜 저러지?'의 반응을 유도해냈다. 단식이라는 극단적 투쟁 방식에 '딴지'를 거는 매체와 여론이 생겨난 것이다.

하지만 황교안 단식은 YS 또는 그 이전의 어느 정치인 단식보다 더 어렵고 불리한 여건에서 단행된, 그래서 보다 의미 있는 것으로 본다. 김영삼은 이미 각광받는 '민주 투사'였다. 추종자도 많았다. 김대중이라는 정치적 적수의 응원도 있었다. 재야 민주인사, 종교인(추기경)들도 그의 단식장을 찾았다. 그의 단식이 알려지면서 그의 단식은 정가뿐 아니라 시중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황교안은 정치 신인이다. YS 같은 후광도 없고 추종 세력도 없다. YS가 감(感)의 정치인이라면 황교안은 성실한 학생 이미지다. YS가 내건 조건이 직선제 개헌을 제외하고는 전두환 '탄압정치'에 관한 것인데 반해 황교안의 조건은 지소미아 종료, 공수처, 선거법 개정 등 헌법적 가치에 관한 것이다. 황교안 반대자들은 그가 단식을 정치적으로 불리한 당내 상황을 일거에 극복하려는 '꼼수'로 삼았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황교안의 요구는 안보 위기와 좌파 장기 집권 음모에 저항하는 것이었다.

황 대표의 단식은 여건 면에서도 YS보다 훨씬 어려운 상황에서 이뤄졌다. 보도 통제는 YS 단식을 암암리에 퍼져 나가게 하고 그래서 더욱 돋보이게 하는 것인데 반해 황의 단식은 미주알고주알 보도되면서 심각성이 희화화된 측면이 있다. YS가 단식할 때 50대 중반이었던 반면 황 대표는 60대 중반의 나이였다. 그것도 자택도, 병원도 아니고 11월 추운 날씨에 아스팔트 위 천막 속에서 진행됐다. 이런 지적을 하는 것은 누가 누구의 단식보다 더 쉽거나 어렵다는 것을 강조하려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런 것들을 들먹여 누구의 단식을 깎아내리려는 정치적 반대자들의 꼼수가 역겨워서다.

단식은 정치적 장난이 아니다. 단식하는 사람이 정치인이건 일반인이건, 여당이건 야당이건, 거물이건 아니건, 내 편이건 반대편이건 함부로 평가할 것이 아니다. 비난할 것은 더더욱 아니다. 한 인간의 목숨을 건 행동을 이 세상의 누구도 폄하하고 깎아내리고 조롱하고 히죽거릴 자격은 없다. 제1야당 대표의 절박한 단식에 대해 욕설에 가까운 험한 말을 내뱉는 정치인들은 정치인이기 전에 ‘먼저 인간이 돼라’는 경구를 새겨들었으면 한다. 자신도 같은 ‘값’을 걸 자신이 없으면 견해가 달라도 조용히 지켜보는 것이 인간의 도리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