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 왜곡 반일 동상 설치 중단하라"..반일 동상 진실규명 공대위 기자회견

김방현 2019. 12. 3. 05: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우연 연구위원 등 노동자상 작가에 소송당해
이들과 시민단체 공대위 만들고 2일 기자회견
공대위, "작가의 상상력도 공식 기록에 영향받아"

“일제 징용 노동자상(像) 모델은 일본인”이라고 했다가 작가에게 소송당한 인사들이 “한국민의 명예를 실추시키는 역사 왜곡 반일 동상 설치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지난 8월 13일 대전시청 앞 보라매공원에 설치된 일제 징용노동자상. 프리랜서 김성태
대전시의회 김소연 의원과 이우연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 주동식 지역시민연대 대표, 최덕효 대표(한국인권뉴스)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 ‘반일동상 진실규명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2일 오후 서울 인사동 ‘펜앤컬쳐 전시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징용노동자상 작가인 김서경·김운성 부부에게 당한 명예훼손과 손배청구 소송에 대응하기 위해 공대위를 만들었다”고 했다. 공대위에는 위안부와 노무동원 노동자 동상 설치를 반대하는 모임, 반일민족주의에 반대하는 모임, 한국근현대사연구회, 국사교과서연구소 등의 단체도 참여했다.
공대위는 성명을 내고 “작가는 노동자상이 상상력의 결과물이라고 하지만 작가의 상상력은 정부의 지난 공식 기록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며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징용에 대해 교과서나 부산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추도탑에 게시된 사진 등을 기억할 수 있다”고 했다.
1926년 9월 9일 일본 아사히카와 신문에 실린 ‘홋카이도 토목공사 현장에서 학대받는 사람들’이란 제목의 기사에 나온 일본 노무자들 모습. 일각에서 왼쪽 둘째 인물이 징용 노동자상 모델이 아니냐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 이우연 연구위원]

이들은 “교과서 등에 나오는 징용 관련 사진은 1926년 9월 9일 일본의 『아사히카와 신문』에 게재된 것이며, 사진 속 등장인물은 건설 현장에 감금된 채 강제노동에 시달리던 일본인 10명 중 한명”이라고 했다. 이우연 연구위원은 “동상 모습처럼 갈비뼈가 앙상하게 드러난 사진 속 징용 노동자는 이 일본인이 유일하다”고 설명했다.

공대위는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정부는 올해 초등학교 6학년 사회 국정교과서에 나오는 이 일본인 징용자 사진에 스티커를 붙여 사용했고, 행정안전부 소관인 부산 국립일제강제동원역사관추도탑에 부착된 해당 사진도 철거했다”고 했다. 공대위는 “징용 노동자상에서 발을 디디고 있는 뒷면의 아랫부분에 새겨진 문구 ‘어머니 보고 싶어’도 문제”라고 했다. “이 문구는 한국인 징용 노동자들이 탄광에 남긴 글귀가 아니고 1965년 조총련계예술가동맹이 한일수교를 반대하기 위한 영화 『을사년의 매국노』를 만드는 과정에서 위조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했다.

이들은 “용산역 광장 노동자상 주변에 설치된 석비에는 좁은 갱도에 비스듬히 엎드린 자세로 탄을 캐는 갱부의 사진이 게시돼 있다”며 “이 사진도 조선인 징용의 대표적인 이미지로 사용 왔지만 사실은 일본인 광부로 판명 났다”고 말했다. 공대위는 “예술작품이라고 해서 성역이 있을 수 없고, 예술인지 정치선전물인지 논란의 여지가 분분한 역사적 동상에 대해 고증과 관련 팩트는 분명하게 검증돼야 한다”고 말했다.
반일동상 진실규명 공대위 출범 기자회견과 역사 팩트 자료 전시회가 2일 서울 인사동 펜앤컬쳐 전시실에서 열렸다. [사진 공대위]

한편 김운성씨 부부는 최근 “김소연 의원 등이 ‘일본 노무자를 모델로 해 징용노동자 상을 만들었다’는 허위 사실을 유포해 명예를 훼손했다”며 “이들은 각 6000만원씩 내놔라”는 취지의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냈다.
이들은 소장에서 “징용에 대한 고민과 역사가 노동자상에 녹여 들어가야 했기 때문에 특정 사람을 모델로 하지 않고 우리가 구상한 이미지로 작업했다”며 "노동자상 곳곳에도 작가의 상상적 표현을 녹였다"라고 했다. 김씨 부부는 “2016년 8월 24일부터 지난 8월 13일까지 강제징용노동자상을 만들어 일본 교토(京都)·서울 용산역·부산·제주·대전 등에 설치했다”고 덧붙였다.

대전=김방현 기자 kim.banghyu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