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미, 점점 끓어오르지만 선은 넘지 않아..물밑 접촉 가능성

배상은 기자 2019. 12. 9. 16:58
음성재생 설정

이동통신망에서 음성 재생시
별도의 데이터 요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트럼프, 北에 경고 동시에 인권 토의 전격 취소
北도 ICBM 실험 대내 보도 않은 채 수위 조절
© News1 김일환 디자이너

(서울=뉴스1) 배상은 기자 = 북한이 자체 설정한 비핵화 협상 시한인 연말을 앞두고 레드라인(금지선)에 해당하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 가능성을 위협하자 미국이 "모든 것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북미 모두 아직은 대화의 끈을 이어가는 듯한 모습이 엿보인다는 점에서 조만간 물밑 접촉을 통해 협상을 재개하려는 시도가 전개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트위터에 "만약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적대적 방식'(hostile way)으로 행동한다면 잃을 것이 너무 많다, 사실상 모든 것을 잃을 것"이라고 밝혔다.

북한이 ICBM 개발 산실인 동창리 발사장에서 '중대한 실험'을 했다고 발표한 데 대한 반응으로, 금지선을 넘지 말라는 강력한 경고로 풀이된다.

북한은 이미 싱가포르 1차 북미정상회담과 남북평양공동선언에서 동창리 폐쇄를 약속한 바 있어 이번 실험은 ICBM의 발사가 아니라 해도 사실상 합의 위반에 해당된다.

트럼프 대통령도 김 위원장이 지난해 싱가포르 회담서 자신에게 비핵화를 약속했음을 상기시키면서 "김 위원장은 미국 대통령과의 특별한 관계를 무효로 하거나 내년 11월 미 대선에 간섭하고 싶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북한은 김정은의 리더십 아래 엄청난 경제적 잠재력을 갖고 있다. 하지만 약속대로 비핵화를 해야 한다"면서 대화에 대한 여지를 계속 남겼다.

미국이 북한의 발표 직전, 당초 10일 세계 인권의 날을 맞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열 예정이었던 북한 인권 관련 토의에 불참하기로 전격 결정한 것도 이와 궤를 같이 한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은 토의를 불과 나흘 앞두고 토의 개최에 대한 지지를 돌연 철회했다. 북한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행보로 풀이된다. 인권 문제는 북한이 가장 민감해하는 이슈다.

북한 역시 한발 한발 도발의 강도를 높이며 긴장도를 끌어올리면서도 대화 여지를 두는 듯한 태도가 감지된다.

북한은 ICBM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로켓 엔진 연소 실험으로 추정되는 이번 '중대한 실험'에 대해 대외용인 조선중앙통신 외에 노동신문 등 대내용 매체에서는 전혀 보도하지 않았다.

조중통 역시 김 위원장의 참관 여부나 발언 등은 언급하지 않은 채 단신으로 처리했는데, 북한이 올해 13차례 이어진 방사포·미사일 시험 발사마다 대내용 관영 매체에 김 위원장의 발언 등을 자세히 소개해왔던 것과 대비된다.

이 때문에 최후통첩서 도발이라기보다는 절제된 압박을 통해 대미 압박 수위를 조절한 것이란 평가도 나온다.

이에 따라 일각에서는 북미가 연내 시한을 앞두고 물밑에서 모종의 접촉을 시도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달 하순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 소집 이전에 북미가 극적으로 대화를 재개해 내년 이후까지 협상을 이어갈 명분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북한의 중대한 실험 당일인 7일 이뤄진 트럼프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간 전화통화도 이러한 내용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차원이었을 수도 있다.

탄핵 스캔들에 처한 트럼프 대통령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자신의 핵심 외교 성과 손상에 대비해 대화 모멘텀을 위한 모종의 결단을 내렸을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북한에 너무 양보했다거나 끌려간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는 만큼 직접적이거나 공개적 메시지보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친서 등을 통해 물밑에서 소통을 전개할 것이란 분석이다.

북한이 과연 이를 받아들일지 여부에 대해서는 전망이 엇갈린다.

하지만 북한도 그간 잇단 대미 경고성 담화를 통해 연말 시한에 대한 초조함을 드러내왔다는 점에서 여지는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그간 북한도 대미 요구 문턱을 많이 낮춰 온만큼 미국에서 셈법 변화를 암시하는 발언 정도만 나와도 북한에게 (시한 연장의) 명분이 될 수 있다"며 "폼페이오(국무장관)나 비건(국무부 대북특별대표)이라면 안되겠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친서를 통해 '북한 안전보장에 대해 얘기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면 시한 연장은 가능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baeba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