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호크'도 몰래 들여온다
도입 행사는 물론 날짜도 비공개
"F-35 이어 또 北 눈치 봐" 지적
군(軍) 당국이 곧 미국으로부터 도입할 고고도 무인정찰기 '글로벌 호크' 관련 내용을 모두 비공개하기로 한 것으로 16일 알려졌다. 글로벌 호크 도입 관련 행사는 물론, 인도 날짜까지 밝히지 않을 것이라는 뜻이다. 이 방침에 대해 군 안팎에서는 "F-35A 도입에 이어 정찰기 도입에서도 북한 눈치를 보고 있다"는 얘기가 나왔다.
글로벌 호크 1호기는 당초 17일 인수될 것으로 알려졌으나 기상 상황 등으로 늦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우리 군이 선제적으로 나서서 글로벌 호크의 한국 도착을 알리지 않기로 가닥을 잡았다"며 "감시·정찰 자산이라는 은밀성을 고려한 결정"이라고 했다.
그러나 군 안팎에서는 글로벌 호크 관련 내용을 일절 공개하지 않기로 한 것은 북한에 대한 저자세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비판이 나왔다. 글로벌 호크는 지상 20㎞ 상공에서 레이더와 적외선 탐지 장비 등을 이용해 지상 30㎝ 크기 물체를 식별할 수 있으며, 작전 반경은 3000㎞로 24시간 한반도 전역을 감시할 수 있다. 그만큼 대북 감시망이 촘촘해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북한이 민감한 반응을 보일 수 있다. 글로벌 호크는 노무현 정부 당시 도입을 추진했고, 박근혜 정부에서 도입이 확정됐다. 정부는 880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 4대의 글로벌 호크를 내년 초까지 인수받는다. 군은 스텔스 전투기인 F-35A 관련 사항을 함구하고 전력화 역시 비공개로 하지만, 지난 3월 첫 인수식은 보도자료를 냈었다. 공군은 F-35A의 전력화 행사를 17일 오전 청주 기지에서 비공개로 열 예정이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美, 北에 또 경고.. 한반도 상공에 '글로벌호크'까지 띄웠다
- 폭주하는 더위...오늘 서울 38도·경기 안성 40도
- 최동석 막말 논란 계속… 대통령실 “입장 없다”
- 똠양꿍 시킨신 분?... 태국 전쟁통에도 배달
- COVID-19 on the rise again as patients hit 2-month high in S. Korea
- “가업 승계 5년 내 대표로 취임해야 감세” 헌재, 합헌 결정
- 지게차 학대 외국인 노동자 ‘새 직장 찾기 프로젝트’ 시작
- SPC ‘야근 8시간 제한’ 발표에, 대통령실 “대통령 당부 이틀만에 변화로 답한 셈”
- Lee Jun-seok elected new leader of minor Reform Party
- 사과 한 개 몸무게… 21주 만에 태어난 ‘기적의 아기’ 첫돌 맞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