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문제·檢충돌·부동산까지..잇단 논란 중심에 선 노영민

조소영 기자 2019. 12. 21. 08: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20년 얼마 남지 않았는데..하나도 정리 안된 연말 정국
회전문 인사에 檢과는 지속적 충돌..본인 부동산은 안팔아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 2019.11.29/뉴스1 © News1 이종덕 기자

(서울=뉴스1) 조소영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의 2020년 신년행보가 녹록지 않을 전망이다. 회전문 인사, 검찰과의 충돌, 부동산 정책을 둘러싼 논란 등 무엇 하나 정리되지 않은 연말 정국 탓이다.

어지러운 상황에 대한 책임을 묻는 눈은 문 대통령을 향해서 뿐만 아니라, 대통령의 눈과 귀인 보좌진을 향해서도 쏠린다. 비서실 수장이자 청와대 2인자인 노영민 비서실장을 향한 청와대 안팎의 눈길이 매서운 이유다.

노 실장은 현재 청와대를 둘러싼 잇단 논란의 중심에 서있다.

추미애 법무부장관 후보자, 정세균 국무총리 후보자 지명과 조대엽 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장 임명 등 최근 문 대통령이 단행한 인사는 회전문 인사, 보은 인사라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노 실장은 청와대 내 인사 추천·검증기구인 인사추천위원회 위원장이다.

물론 노 실장 전 임종석 비서실장 시절에도 장하성 전 정책실장이 주중대사로 발탁되거나 홍장표 전 경제수석이 정책기획위 소득주도성장특별위원장으로 인선되는 경우가 있었다. 현 정부 들어 고위공직자에 대한 검증의 문턱이 높아져 인재찾기가 쉽지 않다는 말도 나온다.

하지만 집권 후반기에 접어들며 국정운영이 탄력을 받기 어려운 상황 속 그나마 동력이 돼줄 인사문제가 실망으로만 끝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곳곳에서 나온다. 현 정부가 보수정권들과 차별성을 보이겠다는 미명 하 정부 성향 및 친소관계에 지나치게 기대있다는 비판도 적잖다.

지난해 6월부터 최근까지 1년 반 동안 단행된 개각과 청와대 내부 개편이 결국 내년 4·15총선을 겨냥해 진행됐다는 지적도 있다.

실제로 불출마를 선언하기는 했지만 임종석 전 실장을 비롯해 정태호 전 일자리수석, 한병도 전 정무수석, 윤영찬 전 국민소통수석 등은 모두 총선에서 뛰기 위해 청와대를 나갔고 이렇게 청와대를 떠난 사람들만 행정관 이상 청와대 참모진, 장·차관 등을 합하면 적어도 80여명으로 집계된다.

문 대통령은 이달 기찬수 전 병무청장, 김영문 전 관세청장, 문미옥 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 노태강 전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등을 교체했으며 이들 모두 총선 출마를 바라보고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추가로 윤건영 국정기획상황실장과 고민정 대변인도 총선용 교체가 이뤄질 전망이다.

한 청와대 관계자는 최근 뉴스1과 만나 "시간이 갈수록 자기 정치를 하려는 사람만 늘어가고 있다"고 안타까워했다. 더구나 고 대변인까지 출마시 이번 총선에는 초대 청와대 대변인인 박수현 전 대변인, 2대 김의겸 전 대변인 등 '현 정부 청와대 3대 대변인'이 모두 출마에 나서는 모양새가 된다.

청와대와 검찰 간 충돌이 장기화돼 양측을 향한 국민적 불신 및 갈등이 생기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렇다할 해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노영민 비서실'의 아픈 지점으로 꼽힌다.

비서실 산하 국민소통수석실을 책임지고 있는 윤도한 수석이 주로 검찰문제에 대응하고 있는 가운데 윤 수석의 방식은 청와대가 언론과 검찰 모두와 불편한 관계만 낳는다는 지적도 나온다. 윤 수석은 검찰이 언론에 수사내용을 흘리고 있다고 보고 표면적으로는 언론보도를 비판하는 듯하면서 검찰을 겨냥한 경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검찰은 지난 8월말께 조국 전 법무부장관 및 그 일가(一家)를 둘러싼 수사를 시작으로 최근에는 조 전 장관이 민정수석일 당시 유재수 전 부산시 경제부시장의 감찰 무마, 김기현 전 울산시장에 대한 하명(下命) 수사 의혹 등을 파헤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청와대와 총리실, 기획재정부까지 압수수색했다.

노 실장이 가뜩이나 예민한 부동산 문제에 개입해 괜한 논란을 키웠다는 평도 적잖다. 노 실장은 정부의 '12·16 부동산 종합대책' 발표일인 지난 16일 청와대 고위공직자들을 향해 "수도권 내 2채 이상 집을 보유한 공직자들은 불가피한 사유가 없다면 이른 시일 안에 1채를 제외한 나머지를 처분하라"고 권고했다.

노 실장의 권고를 통해 청와대는 물론 정부, 당 관계자들의 경각심이 일깨워졌다는 평이 있긴 하나 정작 본인은 아무런 솔선수범도 하지 않으면서 오히려 관가 등의 반발만 키웠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한편에선 재산권 침해 논란도 일고 있다. 노 실장은 서울 반포구와 충북 청주 각 1채씩 주택 2채를 소유하고 있다.

cho1175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