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국인 등 동양 학생 전원 출석 금지'..伊 음악학교 대응 논란
전성훈 입력 2020. 01. 30. 22:05 수정 2020. 01. 31. 19:47기사 도구 모음
5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이탈리아 로마의 유명 음악학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확산'을 이유로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계 학생들의 수업 참석을 금지해 과잉 대응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일간 라 레푸블리카에 따르면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은 최근 교수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잘 알려진 것처럼 중국발 전염병이 돌고 있는 관계로 동양계 학생(중국인·한국인·일본인 등)과 관련 위험 국가들에서 온 학생들의 수업 참석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로마=연합뉴스) 전성훈 특파원 = 500년 역사를 자랑하는 이탈리아 로마의 유명 음악학교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인 우한 '폐렴 확산'을 이유로 한국인을 포함한 동양계 학생들의 수업 참석을 금지해 과잉 대응 논란이 일고 있다.
30일(현지시간) 일간 라 레푸블리카에 따르면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은 최근 교수들에게 이메일을 보내 "잘 알려진 것처럼 중국발 전염병이 돌고 있는 관계로 동양계 학생(중국인·한국인·일본인 등)과 관련 위험 국가들에서 온 학생들의 수업 참석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학교 측은 이어 "다음 달 5일 오후 2시 의사가 왕진할 예정이며, 별다른 이상이 없다는 진단을 받은 학생들만 수업 참석이 허용될 것"이라며 "이런 점을 해당 학생들에게 잘 주지시켜달라"고 부연했다.
로베르토 줄리아니 원장의 사인이 담긴 이 메일은 160여명의 교수 전원에게 보내졌다고 한다.
이 음악원에는 42개국 총 1천335명의 학생들이 수학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아시아계는 81명이다. 한국 학생이 33명으로 가장 많고 중국 32명, 일본 11명, 필리핀·대만 각 2명, 북한 1명 등이다.
하지만 메일을 받은 교수들 사이에선 학교 측의 대응 방식이 지나치게 불합리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최근 바이러스 위험국을 다녀왔는지 등을 묻지도 않고 모든 동양 학생들을 잠재적인 바이러스 보유자들로 판단해 수업 참석을 원천 봉쇄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는 지적이다.
실제 강의실 출입이 금지된 대다수 동양계 학생들은 꽤 오랫동안 줄곧 로마 또는 인근 지역에서 거주해왔거나 원 출신국과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이민 2세들이라고 한다.
한 교수는 "학교 측이 수업에 참석할 학생들의 권리를 침해하고 있다. 이는 공포를 확산하고 해당 학생들을 부당하게 차별하는 미친 대응 방식"이라고 학교 측의 결정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해당 교수는 자신이 가르치는 한 한국인 학생이 수업 참석을 허락해달라며 눈물로 호소하기도 했다고 소개하면서 "(학교 측 통보가) 단순 실수 또는 악질적인 취향이긴 하지만 그냥 농담이기를 바란다"고 부연했다.
로마 유명 관광 명소인 스페인 계단 옆에 위치한 산타 체칠리아 음악원은 1566년 개교한, 세계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음악 교육기관 가운데 하나로 꼽힌다.
세계적인 소프라노 조수미를 비롯해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많은 유명 한국인 음악가들이 이곳에서 수학했다.
lucho@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음주운전' 김새론, 넷플릭스 '사냥개들' 남은 촬영 중단
- "심봤다!" 덕유산서 100년 넘은 모삼 등 천종산삼 8뿌리 발견
- 조중래 명예교수 별세…배우 조현철·래퍼 매드클라운 아버지 | 연합뉴스
- 속옷만 입고 "우크라 강간 멈춰라"…칸 레드카펫서 나체시위
- EPL 득점왕 손흥민 "6만 관중 속에도 태극기는 유독 잘 보여"
- 尹대통령, 美국가 연주때 가슴에 손…대통령실 "의전상 결례 아냐"
- 롯데백화점 VIP 행사서도 오픈런…고객간 멱살잡이 한때 경찰 출동
- 95세 송해, '최고령 진행자'로 기네스 세계기록 등재
- [우크라 침공] 10분 거리 약혼녀와 생이별, 3천700㎞ 돌아가 만나다 | 연합뉴스
- 행주대교 인근 한강에 빠진 여성, 어민들이 구조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