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친구 백 아니고 제 핸드백입니다만..," 남자도 핸드백이 필요해

유지연 2020. 2. 26. 11:4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자 친구의 작은 핸드백을 들어주는 남자를 두고 설왕설래 하던 것도 옛말. 이제 남자들도 자신의 핸드백을 메는 시대가 됐다.


핸드백을 멘 남자가 온다

붉은색 핸드백을 들고 강렬한 공항 패션을 선보인 엑소 멤버 카이. 사진 구찌

요즘 남자 아이돌의 ‘공항패션’에서 눈에 띄는 것이 하나 있다. 바로 작은 핸드백이다. 커다란 여행용 가방과는 별도로, 손바닥 크기의 작은 핸드백을 어깨에 메거나 손에 드는 경우가 많아졌다.

카이는 크로스백부터 토트백까지 다양한 사이즈의 핸드백을 활용해 멋스러운 공항 패션을 선보이고 있다. 사진 구찌, 일간스포츠

아이돌 그룹 엑소의 카이는 핸드백 패션을 자주 선보이는 스타다. 지난 1월에는 구찌 패션쇼에 참석하기 위해 이탈리아로 떠나면서 중간 크기 토트백 형태의 ‘러기지 백’을 든 공항패션을 선보였다. 지난해에는 장지갑 형태의 노랑 크로스백을 메고 패션 행사장에 나타났고, 2018년 9월에는 완벽하게 여성용으로 보이는 붉은 숄더백을 들고 공항에 등장해 화제가 됐다.

지난 1월 17일 인천국제공항에 나타난 핸드백을 든 남자, 빅뱅의 지드래곤. 사진 뉴스1

그룹 빅뱅의 지드래곤 역시 핸드백 패션 하면 떠오르는 스타다. 지난달 17일에는 청바지와 항공 점퍼를 입고 베이지색 핸드백을 어깨에 멘 채 공항에 등장해 주목을 받았다. 해외 일정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도 그의 어깨에는 작은 핸드백이 걸려 있었다. 같은 그룹 멤버인 태양도 올 블랙 패션에 작은 사이즈의 검정 핸드백을 메 지나치게 튀지 않으면서도 세련된 공항 패션을 선보였다. 이외에도 방탄소년단의 지민, 뷔 등도 핸드백을 애용한다.

빅뱅의 멤버 태양은 남성미 넘치는 올블랙 패션에 핸드백을 매치했다. 사진 펜디


스니커즈 다음은 핸드백일까
전통적으로 남성 패션 잡화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품목은 신발이다. 그에 비하면 남성용 잡화 시장에서 백팩을 제외한 다른 가방은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이 아니었다. 하지만 최근에는 달라졌다. 롯데백화점 해외잡화 담당 바이어는 “과거보다 가방을 찾는 남성 고객들이 확실히 늘었다”며 “클러치, 패니 팩(Fanny pack·허리에 차는 지퍼 달린 가방), 작은 사이즈 핸드백까지 다양한 형태의 남성 가방에 관심이 높다”고 했다.

로고가 돋보이는 루이비통의 박스백. 마치 우비처럼 PVC 소재의 디펜더(커버)가 입혀져있다.

온라인 럭셔리 편집숍 미스터 포터에 따르면 한국 시장의 남성용 가방 카테고리 성장률은 2019년 기준 전년 대비 62%를 기록했다. 전 세계 성장률 31% 수준을 훨씬 웃도는 수치다. 손으로 드는 형태의 토트백이 가장 인기가 많지만 벨트 백, 메신저 백(어깨에 메는 숄더백)도 판매 상위 순위권에 올랐다.

몸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메는 크로스 바디백이 2020 봄여름 남성 컬렉션에 대거 출시됐다. 왼쪽은 디올 2020 봄여름 컬렉션, 오른쪽은 지방시 2020 봄여름 컬렉션. 사진 각 브랜드

다가오는 봄의 유행 흐름을 미리 알 수 있는 ‘2020 봄·여름 남성 컬렉션’에서도 핸드백을 멘 남자들이 무대 위로 쏟아져 나왔다. 어깨에 메서 몸에 밀착되는 형태의 ‘크로스 바디백’이 대세. 디올의 남자 모델들은 단정한 슈트나 재킷 등의 정장 차림에 아담한 크기의 크로스 바디백을 멨다. 지방시 역시 슈트 차림에 크로스 바디백을 사용한 남자 모델을 등장시켰다.

지갑 사이즈의 작은 가방을 메고 나온 남성 모델들. 지갑과 남자를 합해, '머스'라는 패션 아이템으로 지칭되기도 한다. 왼쪽이 자크뮈스 2020봄여름 컬렉션, 오른쪽이 발렌티노 2020 봄여름 컬렉션. 사진 각 브랜드

루이 비통의 모델들은 도시락처럼 네모반듯한 핸드백을 짧게 멘 역동적인 스타일을 선보였다. 지갑보다 더 작은 크기의 가방을 착용한 모델들도 눈에 띄었다. 디자이너 브랜드 자크뮈스의 미소년들은 말 그대로 손바닥만 한 작은 가방을 목과 어깨에 둘렀다. 발렌티노 쇼에선 지갑만 한 작은 가방을 멘 모델들이 줄줄이 걸어 나왔다. 이런 형태를 두고 남자(Man)와 지갑(Purse)을 합한 ‘머스(Murse·남성용 손지갑)라고 부른다.

네모난 박스 형태의 크로스 바디 백을 선보인 프라다. 사진 프라다

프라다 역시 여행지나 일상에서 편히 활용할 수 있는 작은 크기의 ‘브리크 백’을 내놨다. 제품 상단에 손잡이와 긴 어깨끈이 함께 있는 제품이다. 펜디는 브랜드의 대표 상품인 ‘바게트 백’ 남성용을 내놨다. 펜디 관계자는 “남성 신제품 중에서 가방이 중요 아이템으로 부각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했다. 디올은 여행용 가방 브랜드 리모와와 손잡고 알루미늄 소재의 남성용 클러치백(끈 없이 손에 드는 작은 가방)을 선보였다. 별도의 가죽 끈을 이용하면 어깨에 멜 수도 있다.

리모와와 디올이 협업해 작은 클러치 형태의 남성 가방을 선보였다. 사진 디올


성 경계 구분 안 될수록 멋져
남자들의 핸드백 패션은 최근 소비문화의 화두인 ‘젠더리스(genderless)’ 영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남성용·여성용의 경계와 구분을 모호하게 만든 것으로, 패션 용어로는 앤드로지너스 룩(Androgynous Look)이 있다.

루이비통의 2020 봄여름 남성 광고 캠페인. 꽃과 파스텔이 주요 요소로 활용되었다. 사진 루이비통

2020 봄·여름 남성 컬렉션의 주요 브랜드들의 패션쇼도 이런 흐름을 반영해 남성다움을 많이 덜어낸 모습이었다. 디올은 온통 핑크로 무대를 물들였고, 자크뮈스 쇼에선 분홍색 카펫 위로 소년같은 모델들이 걸어 나왔다. 디자이너 버질 아블로가 이끈 루이 비통 쇼에선 꽃이 주요 모티브로 등장했다. 꽃무늬 옷은 물론, 꽃목걸이를 건 모델이 등장하고 가방에도 꽃이 한아름 담겼다.

남성 모델 박태민이 펜디의 핸드백을 들고 촬영한 국내 매거진 화보. 사진 데이즈드 코리아

남성다움, 여성다움을 강조하는 것은 이제 낡은 관습이 됐다. 남자도 꽃무늬 옷을 입고 작은 핸드백을 든다. 보테가 베네타의 ‘카세트 백’은 여성용으로 출시됐지만 최근에는 남자들도 탐내는 제품이 됐다.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가 청재킷에 이 카세트 백을 매치해 주목받은 덕이다. 반대로 프라다의 브리크 백은 남성용으로 출시됐지만 여성들이 많이 찾는다. 프라다 관계자는 “최근에는 남성용·여성용 가방을 따로 구분하는 것이 의미가 없다”고 말했다.

방탄소년단의 멤버 뷔가 보테가 베네타의 여성용 핸드백인 카세트 백을 착용했다. 사진 뉴스1

젠더리스가 유행이 되다 보니 성 역할을 넘나드는 패션을 선보일수록 멋져 보이는 효과도 있다. 그 자체가 신선하고 파격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패션 스타일리스트 이한욱 실장은 “여성용 핸드백을 여자가 들었을 때보다 남자가 들었을 때 더 재밌고 시선을 끌기 쉽다”고 했다. 최근 주요 브랜드들이 남자 아이돌에게 협찬 공세를 퍼붓는 이유다.


작을수록 멋스럽다

작은 가방을 재킷 안쪽에 메는 다소 '소심한' 방식도 남성이 핸드백을 어색하지 않게 착용하는 방법이다. 사진 자크뮈스

미니 사이즈를 넘어, 마이크로(micro) 미니 사이즈라는 말이 나올 만큼 초소형 가방이 인기인 점도 남자가 핸드백을 들게 된 이유 중 하나다. 이한욱 스타일리스트는 “요즘에는 옷을 오버사이즈로 크게 입기 때문에 가방까지 큰 가방을 들면 전체적으로 너무 무거워 보인다”며 “옷이 클수록 가방은 작게 포인트를 주는 게 세련돼 보인다”고 설명했다.

양손의 자유를 주는 크로스백은 일상에서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사진 MCM

끈이 길어 어깨에 멜 수 있는 작은 가방이나, 페니 팩처럼 허리에 두르는 가방은 두 손이 자유로울 수 있어 실용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MCM의 글로벌 크리에이티브 책임자 디르크 쇤베르거는 남자들의 핸드백 패션을 성별에 구애받지 않는 ‘젠더리스’와 양 손에 자유를 주는 ‘핸즈프리(hands-free)’의 결합, 즉 실용적인 패션을 선호하는 밀레니얼 세대의 특성으로 분석했다. 쇤베르거는 “늘 핸드폰을 손에 들고 다니는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에게 양손이 자유로운 디자인은 필수”라고 말했다.

유지연기자yoo.jiyoen@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