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당신에게 '원더박스'가 필요하다면

2020. 2. 28. 05: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목을 보고 짐작할 수 있지만 '역사가 당신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는 원제가 아니다.

번역을 언어의 경계 넘기로 정의하자면 이 책은 두 차례 그 경계를 넘어왔는데 처음에는 '원더박스'라는 제목이었고 원제 역시 그러하다.

알랭 드 보통과 함께 '라이프스타일 철학자'로 불리는 저자 로먼 크르즈나릭은 역사를 '원더박스'에 비유한다.

저자는 사랑에서 죽음까지 열두 가지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각각의 주제가 모두 흥미롭지만 일례로 가족의 역사를 잠시 살펴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책&생각] 이현우의 언어의 경계에서

역사가 당신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로먼 크르즈나릭 지음, 강혜정 옮김/원더박스(2018)

제목을 보고 짐작할 수 있지만 ‘역사가 당신에게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는 원제가 아니다. 번역을 언어의 경계 넘기로 정의하자면 이 책은 두 차례 그 경계를 넘어왔는데 처음에는 ‘원더박스’라는 제목이었고 원제 역시 그러하다. 알랭 드 보통과 함께 ‘라이프스타일 철학자’로 불리는 저자 로먼 크르즈나릭은 역사를 ‘원더박스’에 비유한다. 르네상스 시대 ‘호기심의 방’을 뜻하는데 수집가들이 여러 진기한 물건들을 보관하고 전시하는 공간을 가리킨다. 일종의 보물창고다.

역사라는 보물창고에서 무엇을 찾을 수 있는가. 크르즈나릭은 우리가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지혜를 역사에서 얻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분명 특이한 생각은 아니다. 하지만 책을 읽다 보면 여전히 잘 몰랐던 역사, 새삼 다시 음미해볼 만한 사실들과 만나게 된다. 저자는 사랑에서 죽음까지 열두 가지 주제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주는데 각각의 주제가 모두 흥미롭지만 일례로 가족의 역사를 잠시 살펴본다. 가령 집안에서 남녀의 역할분담은 어떻게 하면 좋은지 질문한다면 역사는 어떤 답변을 들려줄까.

문화권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서양의 경우 남자가 일을 하러 집을 떠나는 관행은 19세기에야 등장한다. 즉 남녀의 영역 분리는 산업화의 산물이다. 산업화 이전에는 경제생활과 가정생활이 모두 집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집안일은 공동의 소관이었다. 옷감 만들기, 소젖짜기, 물 긷기 등의 집안일에 남녀 구분이 따로 없었던 것이다. 게다가 출산 도중 여자가 사망하는 일이 많아서 남자가 양육을 전담하는 일도 드물지 않았다. 남자 주부가 이상하지 않았고 편부 가정도 지금보다 훨씬 많았다. 그랬던 상황이 산업혁명이 가져온 사회, 경제적 변화로 인하여 완전히 바뀌었다. “석탄이 표준 연료가 되어 나무를 대신하자 남자들은 밖에 나가서 석탄을 구매할 충분한 돈을 벌어 와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남녀의 역할이 다르다는 ‘분리된 영역’ 이데올로기는 이러한 변화가 공고화되는 과정에서 만들어졌다. 이에 따라 산업화 이후에 남자들은 특별한 계기가 있을 때만 가사에 관여했다. 특히 노동자계급에서는 남자가 가사노동에 참여하는 일이 극히 드물었다. 남자다움과 여자다움의 구분은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산물로 20세기 중반이 그 극성기였다. 저자는 제임스 딘 주연의 영화 <이유 없는 반항>(1955)의 한 장면을 예로 드는데, 반항의 아이콘이었던 딘이 불쑥 집에 찾아왔다가 정장 차림에 앞치마를 두른 아버지의 모습을 보고 역겨워하는 장면이다. 육아와 가사는 남자에게 전혀 어울리지 않는다고 보는 편견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사례다.

그렇지만 남녀의 노동 구분이라는 고정관념은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도전받기 시작한다. 결정적인 계기는 피임약과 페미니즘의 등장이다.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이 증가하면서 더 이상 ‘바깥일’이 남성의 전유물이 아니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영화로도 만들어진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한국사회에 불러일으킨 반향에서 알 수 있듯이 서양에 한정되지 않는다. 물론 미래에 인공자궁이라도 등장하지 않는 한 앞으로도 출산은 여성의 몫으로 남겠지만 “젖병을 소독하고, 아기 옷을 사고, 셔츠를 다리고, 으깬 완두콩 요리를 하는 데는 특별히 여성 유전자가 필요하지 않다.”

역사의 교훈은 무엇인가. 현재의 문화와 관행이 결코 고정불변의 것일 수 없다는 것이다. 저자가 책의 길잡이로 삼은 괴테의 경구는 여전히 곱씹어볼 만하다. “지난 3000년의 역사를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은 하루살이 같은 인생을 살 뿐이다.”

서평가

▶네이버에서 한겨레 구독하기
▶신문 보는 당신은 핵인싸!▶조금 삐딱한 뉴스 B딱!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