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자원공기업 '코로나·유가급락'에 벼랑끝..年 이자만 1조5천억

김형욱 2020. 3. 26. 05: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MB정부 해외개발 후유증 자원 공기업 3사 부채비율 증가세 여전
석유공사 지난해 부채비율 3000% 넘어서며 자본잠식 우려 고조
유가급락에 수익성 악화·자산매각 난항·투자유치 차질 '삼중고'
"국민적 합의 전제로 자원개발 정상화 공적자금 투입 검토해야"
한국석유공사가 지분 30%를 투자해 지난해 상업생산을 시작한 아랍에미리트(UAE) 할리바 광구 전경. 한국석유공사 제공
[이데일리 김형욱 김상윤 기자] 한국석유공사와 광물자원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자원 공기업들은 과거와 현재에 발생한 악재가 동시에 중첩된 삼중고를 겪으며 벼랑 끝으로 내몰리고 있다. 과거 MB정부에서 추진한 해외자원개발 후유증으로 빚더미가 줄어들기는 커녕 계속 커지고 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간 치킨게임으로 불거진 국제유가 폭락에 코로나19로 인한 경기침체까지 겹치면서 존립을 걱정해야할 정도로 경영환경이 악화했다.

에너지 자원업계에선 공적자금을 투입해서라도 자원 공기업들을 정상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가 차원의 자원개발 역량을 유지와 함께 해외 차입금 이자로만 한해 1조원 이상이 빠져나가는 현실을 더이상 간과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한국석유공사 부채비율. 알리오 제공
◇한해 금융비용 1조5000억…부채 눈덩이

24일 업계에 따르면 가스·석유·광물자원공사의 3개 자원 공기업의 차입금 이자가 연간 약 1조5000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추산됐다. 특히 이중 1조원 가량은 해외에서 조달한 차입금에 대한 이자다.

3개사 합산 차입금은 2018년 말 기준 약 45조4932억원이다. 가스공사가 26조1140억원, 석유공사가 14조8262억원(121억2800만달러), 광물자원공사가 5조8182억원을 각각 차입했다.

또 석유공사가 2018년 한해 동안 차입금에 대한 이자로 지급한 금액만 4927억원(3억8700만달러)에 달하는 등 3개사가 매년 지급하는 이자만 1조5500억원이나 된다. 이들 3개사의 외화 차입금 비중이 전체의 66.4%(30조2416억원)여서 해외 금융사에 지급하는 이자가 1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자비용만 1조5000억원에 이르다 보니 상황은 갈수록 나빠지고 있다. 이들 3개사의 합산 부채는 자원개발 투자에 한창이던 2010년 39조7218억원에서 2018년 54조9241억원으로 15조원 이상 늘었다. 벌어들인 돈으로 이자를 감당하지 못해 추가 차입해 이자를 내는 악순환과 원·달러 환율 급등 때문이다.

덩달아 부채비율도 껑충 뛰었다. 석유공사의 부채비율은 2010년 156.1%에서 2018년 2287.1%으로 치솟은데 이어 작년 3021%까지 급등하며 자본잠식이 눈 앞이다. 석유공사는 2019년 말 현재 자본(161억8000만달러)에서 부채(156억6000만달러)를 뺀 자산이 5억2000만달러에 그친다. 광물자원공사는 이미 2016년부터 자본잠식 상태다.

자원 공기업 3사 부채비율 추이. 알리오 제공
◇코로나발 자금시장 경색에 외화채권발행 중단

코로나19발 실물경제 위기가 촉발한 금융시장 혼란은 가뜩이나 자금난이 시달리는 자원공기업들에겐 또다른 악재다. 석유공사는 이달 말로 예정했던 5억달러 규모 외화채권 발행을 하반기로 연기했다. 만기가 돌아오는 채권은 일단 국책금융기관에서 돈을 빌려 상환하기로 했다. 광물자원공사도 지난달 25일 예정이던 3억호주달러(약 2400억원) 규모 외화채권(캥거루본드) 발행을 무기한 연기했다.

석유공사 관계자는 “수요 시기가 맞지 않아서 연기한 것”이라며 “좋은 상황이라고 할 순 없지만 신용등급도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자금 조달 자체가 어려운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러나 더 큰 문제는 앞으로 경영환경이 좋아지기는 커녕 더 악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코로나19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가 본격화하고 있는 가운데 유가 폭락까지 겹친 탓이다. 유가가 떨어지면 당장 석유 등 자원 판매 매출액이 줄어들 뿐 아니라 경영 정상화를 위한 보유 자산 매각과 자금 조달 환경도 악화한다.

에너지·자원업계에선 이들 기업을 정상화하기 위해 공적 자금 투입 등 적극적인 대책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과거 정부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을 떠맡아 발생한 빚더미인 만큼 정부에서도 적극적으로 해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울러 비싼 수업료를 치루며 키운 해외자원개발 역량을 사장시킬 필요는 없다는 지적도 있다.

신성렬 한국자원공학회장(한국해양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은 “우리나라는 원유를 하루에 약 280만배럴씩 수입하는 세계 5위 수입국으로 안정적 에너지 확보는 국정 최상위 과제”라며 “에너지 공기업은 국가 기간산업이란 사명감을 갖고 사업 영역을 도전적으로 확대하고 정부는 이를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두바이유 국제시세 추이. 페트로넷 제공

김형욱 (nero@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