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FDA 한국 진단키트 사전승인? 알고보니 외교부의 '가짜 뉴스'
정부가 "국내 코로나 진단 키트가 미 식품의약국(FDA)의 '사전 승인'을 받았다"고 발표했다가 '가짜 뉴스' 논란에 휩싸였다. 정부가 4월 총선을 앞두고 "한국 방역이 세계 최고"라고 홍보하기 위해 결론이 나지 않은 FDA의 진단 키트 승인 건을 다 처리된 것처럼 부풀려 발표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코로나 관련 기업들 주식이 '테마주'로 언급되며 연일 주식시장이 요동치는 예민한 상황에서 정부의 섣부른 발표로 관련 업체들의 업무에 큰 혼선이 빚어졌다.
외교부는 지난 28일 보도자료를 내고 "지난 27일 우리 국산 진단 키트 3개 제품의 FDA 사전 승인이 이례적으로 이른 시일 내에 이뤄졌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지난 24일) 한·미 정상 통화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에 따라 국산 진단 키트의 지원 의사를 표명하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이 즉시 승인되도록 관심을 가지겠다고 한 데 따른 후속 조치의 결과로 평가된다"고 했다. 하지만 29일 오후 6시 현재 코로나 진단 키트에 대한 FDA의 '긴급사용승인(EUA) 허가 리스트'에는 국내 업체가 하나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앞서 씨젠·솔젠트 등 국내 업체는 FDA에 코로나 진단 키트의 EUA를 신청했지만, 아직 결과를 받지 못한 상태다. 이번 발표로 일부 진단 업체는 접속자 폭주로 웹사이트가 일시 다운되는 등 여러 불편을 겪었다. 업계에선 "외교부가 주식시장에 루머를 퍼뜨리는 작전세력과 다를 게 뭐냐"는 말도 나왔다.
외교부가 정부의 주도적 노력으로 국내 업체의 진단 키트 수출길을 연 듯이 홍보한 것도 부적절하다는 지적이다. 국내 일부 업체가 진단 키트를 이미 미국에 수출 중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FDA 승인과는 무관하다. 일부 업체의 키트는 미국 실험실 표준인증인 '클리아(CLIA)'를 획득한 미 연구소가 자체 판단으로 채택하면서 수출로를 열었다. 클리아 인증을 받은 연구소는 FDA 허가 없이도 일부 품목을 사용할 수 있다.
앞서 청와대는 지난 17일 "국내 진단 키트를 아랍에미리트(UAE)에 수출했다"고 홍보했다가 계약 물품이 키트 일부인 수송 용기인 점이 드러나 '과장 발표'라는 지적을 받았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일론 머스크 “정치 자금 기부 줄일 것, 이미 할 만큼 했다”...사실상 정계 은퇴?
- 도시개발사업 관련 62억원 뇌물수수 혐의…정하영 전 시장, 첫 재판서 “혐의 모두 부인”
-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NBA 서부 결승서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꺾고 기선 제압
- [ALC 2025] “AI로 폭증한 전력 문제, 안전하고 저렴한 원전으로 해결”
- 이재명, 尹 부정선거 영화 관람에 “본인이 선거 이겨놓고...이해안돼”
- 젠슨 황 “美 AI반도체 수출통제로 수십억달러 손실…수출제한은 잘못”
- 염정아, 화성시 두 번째 종합병원 승격 행사서 포착… 무슨 일
- “이대로라면 대재앙”…세계 바닷가 주민 수억명 ‘대이동’ 우려 나온 이유
- 여름철 다이어트 약 인기인데...소비자원 “체지방 감소 기능성 제품 중복 복용시 간독성 등 부
- ‘중국 간첩 99명’ 스카이데일리 기자 구속 심사 출석…묵묵부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