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리포트] 중국, 코로나로 '개고기 식용' 금지한다

오세균 2020. 4. 10. 14:0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가 개고기 식용을 금지하는 조치에 전격 착수했다. 중국 농업농촌부는 다음달 8일까지 한 달 동안‘국가 축금 유전자원 목록’(国家畜禽遗传资源目录)에 대한 의견 수렴 절차에 나선다고 밝혔다. 목록에는 전통 가축과 가금류 18종과 특수 가축과 가금류 13종을 적시했다.

18종의 전통 가축과 가금류에는 돼지를 비롯해 보통 소, 혹소, 물소, 야크, 가얄 소, 면양, 산양, 말, 당나귀, 낙타, 토끼, 닭, 오리, 거위, 칠면조, 비둘기, 메추라기가 포함됐고 13종의 특수 축금류에는 꽃사슴을 비롯해 붉은 사슴, 순록, 알파카, 호로새, 꿩, 자고새, 청둥오리, 타조, 밍크, 실버폭스, 블루 폭스, 너구리 등이 등록됐다. 그런데 주목할 점은 가축에서‘개’가 빠진 것이다.

이와 관련해 농업농촌부는 ”개는 인류 문명의 진보와 동물 보호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선호에 따라 전통 가축으로부터 특화되어‘반려동물'이 되었다“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개는 인류 보편적으로 가축으로 분류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특히 우리나라 국회격인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상무위원회는 최근 개를 가축에서 제외하는 가축 목록을 통과시킴으로서 이를 뒷받침했다.


농업농촌부는 가축의 목록 제정 과정에서 4가지 원칙에 입각해 명문화했다고 밝혔다. 첫째는 과학이냐는 것이다. 목록에 올라 있는 가축은 반드시 장기적인 인공 사육을 통해 길들여져야 한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안전함이다. 우선적으로 식품의 안전뿐만 아니라 공중 안전과 생태 안전을 보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세 번째는 중국내 각 민족적 관습을 존중하고, 네 번째는 국제적인 관행 등을 참조했다고 설명했다.

목록에 오른 특수 가축과 가금류의 경우, 꽃사슴은 이미 사육의 역사가 오래됐고 산업체계가 어느 정도 완성단계에 있고 붉은 사슴도 신장과 간쑤, 닝샤와 내몽고 등 서부 소수민족 지역에서 전통적으로 사육하는 전통이 있다. 순록은 주로 내몽고 건허시(根河市)와 그 주변 지역에 많이 분포되어있는데 어원커(鄂温克)족의 주요 생계 수입원이다. 알파카는 수입품종인데 사육 역사가 이미 오래되고 용도가 다양하다.

호로새와 꿩, 자고새, 청둥오리, 타조 등도 수입한 품종이지만 사육기술이 이미 상당 수준에 올라와 있다. 밍크, 은여우, 블루여우, 너구리 등의 털가죽 동물은 이미 중국에서 사육에 적합한 품종으로 사육되고 있다.


그러나 개는 이와는 사정이 다르다. 중국내 식용에 쓰이는 개는 원산지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을 항상 받아왔다. 대부분의 개 사육업자들은 식용 개 구입처에 대해 말하기를 거부한다. 특히 매년 개고기 축제가 열리는 광시성 위린시에서는 매년 1만 마리의 개가 도축·판매된다. 심지어 인터넷 판매도 이뤄지고 있다. 이러다 보니 위린지역에서는 집 지키는 개들의 실종이 많고 개 도둑이 끊이지 않고 있다. 고양이 고기도 주로 도시에 떠돌아다니는 고양이들을 잡아 광둥성 일대에 주로 판매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농업농촌부는 이번에 새로 제정된 '가축과 가금 목록'은 전인대 상무위원회 '결정'을 이행하기 위한 목록에 포함됐으며, 목축법에도 명시적으로 포함된다고 밝혔다. 목록에 오른 가축은‘목축법'의 적용을 받고 목록에서 제외된 야외동물은 야생동물보호법을 적용을 받는다고 소개했다. 이에 앞서 중국 광둥성 선전시는 지난달 개와 고양이 고기 식용을 금지하는 조례를 제정했다.

5월 1일부터 중국인 대표 보양식중 하나인 개·고양이 등 반려동물의 식용 금지조치를 취한 바 있다. 타이완은 2017년 4월, 개나 고양이를 먹거나 판매·구매하면 최고 5백만 원의 벌금을 부과하고 위법자의 이름과 사진, 위법사실을 공개하도록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중국 당국이 코로나19 대유행의 책임과 야만적 풍습이라는 국제적인 비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발 빠르게, 대표적인 중국 혐오의 사례로 꼽혀 온 개식용 문제를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 의견 수렴과정에서 빚어질 중국내 반발도 국내와 크게 다르지 않겠지만 중국 정부의 의지가 단호해보인다. 결국 코로나19의 전세계적 대유행이 중국 내 동물 보호의 큰 획을 긋는 또 하나의 사건을 몰고 왔다.

▶ ‘ 코로나19 확산 우려’ 최신 기사 보기http://news.kbs.co.kr/news/list.do?icd=19588

오세균 기자 (sko@kbs.co.kr)

Copyright © KB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