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V 타고.. '전설의 농구 황제' 조던이 온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현역 시절 마이클 조던(57)은 세계 스포츠 역사를 통틀어 가장 독보적인 선수였다.
예컨대 '테니스의 마이클 조던은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농구의 피트 샘프러스(49)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의 무게감은 다를 수밖에 없었다.
이제는 NBA 팬들 사이에서도 '르브론 제임스(36·LA 레이커스)와 조던 가운데 누가 더 뛰어난 선수인가?'라는 주제로 논쟁이 붙기도 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조던이 미국프로농구(NBA)를 떠난 지 17년이 지나면서 그 화려한 명성도 조금씩 빛이 바래고 있다. 이제는 NBA 팬들 사이에서도 ‘르브론 제임스(36·LA 레이커스)와 조던 가운데 누가 더 뛰어난 선수인가?’라는 주제로 논쟁이 붙기도 한다.
이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우려로 NBA 일정이 중단된 상황에서 미국 매체 ESPN이 ‘하드 털이’에 나섰다. 하드 털이는 컴퓨터 하드디스크에 저장돼 있는 옛 자료를 찾아내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일을 뜻한다. ESPN은 1997∼1998시즌 내내 조던, 그리고 그가 몸담고 있던 시카고 선수단을 따라다니며 ‘백 스테이지’ 영상을 남겼다. 어떤 이유인지는 알 수 없지만 이 영상은 지금까지 한 번도 대중에게 공개된 적이 없었다.
20일(한국 시간) 드디어 이 영상이 세상에 선보인다. ESPN은 조던의 마지막 우승을 다룬 이 비공개 영상과 지난해 촬영한 인터뷰 등을 합쳐 조던의 일대기를 조명한 다큐멘터리 ‘더 라스트 댄스(The Last Dance)’를 제작해 이날부터 방영하기로 했다. 조던이 자기 생애를 다룬 장편 다큐멘터리에 직접 출연해 당시 상황을 설명하는 것도 이 작품이 처음이다.
이 작품을 연출한 제이슨 헤이르 감독은 “전직 미국 대통령도 휴대전화에 ‘마이클 조던’이라는 이름이 뜨면 첫 벨소리가 다 울리기도 전에 전화를 받는다는 걸 알게 됐다”며 웃으면서 “조던은 이 다큐멘터리의 주인공일 뿐 아니라 아주 뛰어난 섭외 담당이기도 했다. 그는 또 ‘이 장면에는 이런 코멘트가 필요하다’면서 본인이 먼저 인터뷰를 자청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이렇게 촬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조던이지만 막상 방송을 앞두자 살짝 불안한 눈치다. 그는 스포츠 전문매체 ‘디 애슬레틱’과 인터뷰하면서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나면 사람들이 나를 ‘끔찍한 놈(horrible man)’이라고 생각할까 봐 걱정이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조던이 이렇게 걱정하는 건 현역 시절 그가 아주 혹독한 클럽하우스 리더로 유명했기 때문이다. 시카고에서 조던과 5시즌 동안 함께 뛴 스티브 커 현 골든스테이트 감독(55)은 “조던이 연습 때 하도 지독하게 우리를 나무랐기 때문에 오히려 경기를 하는 게 더 쉬울 정도였다”고 말했다.
한국 팬들도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넷플릭스’를 통해 이 다큐멘터리를 시청할 수 있다. 넷플릭스는 코로나19로 집에 주로 머무는 시청자들을 위해 30일 무료 체험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황규인 기자 kini@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낡고 늙은 보수 갈아엎을 새 인물 누군가
- 김세연 "통합당, 산업화 자부심에 갇혀 현실인식 왜곡..환골탈태해야"
- "김종인 비대위로" "외부인 안돼"..통합당 차기 지도체제 갈등
- 통합당 원내대표 경쟁..이명수-김태흠-권성동 "도전"
- 美, 주한미군 감축 등 4개 시나리오 검토중
- 어제 확진 13명 늘어 국내 총 10,674명..이틀 연속 10명 내외↑
- 김강립 "완화된 거리두기, 2m 유지하면 등산·바닷가 OK 뒷풀이 NO"
- 與내부 "여야 모두 100% 지급 약속.. 정부 따라올 수밖에 없어"
- 캐나다서 30년 만의 최악 총기난사..사망자 17명으로 늘어
- 文대통령 지지율, 총선 후 더 올라 58.3%..부정평가 대폭 하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