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도 없는데" vs "이젠 일상으로"..거리두기 연장에 갑론을박

이재길 2020. 4. 20. 00: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오는 5월 5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연장하기로 하면서 이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19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4월 20일부터 5월 5일까지 총 16일간 종전보다 다소 완화된 형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며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을 성공적으로 지연시키고 있지만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요인들이 상당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연장 찬성 측 "백신·치료제 없어..언제든 재확산 될 수도"
반대 측 "일상에서도 생활방역 수칙을 실천하고 있어"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인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19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대응 현황 등을 브리핑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이재길 기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오는 5월 5일까지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을 연장하기로 하면서 이에 대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박능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지난 19일 코로나19 정례브리핑에서 “4월 20일부터 5월 5일까지 총 16일간 종전보다 다소 완화된 형태로 사회적 거리두기를 계속하기로 결정했다”며 “최근 코로나19의 확산을 성공적으로 지연시키고 있지만 아직 안심할 수 없는 요인들이 상당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한자릿 수로 줄어드는 등 고무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지만, 전파경로를 알 수 없는 확진자가 산발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이달 말부터 이어지는 연휴 등으로 방심할 수 없다는 이유다.

지난달 21일부터 진행된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한달 여간 이어지면서 시민들 사이에서는 이에 대한 상반된 의견들이 나오고 있다.

시민들은 백신과 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재확산을 우려해 거리두기를 연장하는 것이 맞다고 주장하는 반면, 일상생활을 회복하기 위해 생활방역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가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63.3%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즉시 완화하는 데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한 구체적 이유로는 ‘백신·치료제가 없는 상황에서 언제든 재확산될 수 있다’는 답변이 66.2%로 가장 많았다.

이어 ‘국내 신규 확진자가 여전히 많이 발생하기 때문’(14.4%), ‘해외 확진자 발생 현황이 매우 우려되기 때문’(13.3%), ‘국민들이 생활방역 수칙에 익숙하지 않아 안내·교육 기간이 필요하다’(6.2%) 순으로 나타났다.

또 거리두기 즉시 완화에 반대한 응답자의 66.5%는 사회적 거리두기를 완화하는 적정 시기로 “확진자 수, 국제상황, 백신·치료제 등을 고려해 방역당국의 판단이 필요하다”며 “기한을 특정할 수 없다”고 답했다.

반면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에 찬성한 응답자는 36.7%였다. 이들은 찬성 이유로 ‘국민이 일상에서도 생활방역 수칙을 충분히 실천하고 있기 때문’(43.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외에도 ‘확진자 수가 충분히 감소했기 때문’(19.6%), ‘경제가 너무 어렵기 때문’(19.1%), ‘사회적 거리 두기로 인한 피로감 때문’(17.7%) 등의 응답이 나왔다.

이재길 (zack0217@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