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최저수수료' 민간 배달앱 등장..배민 논란중 '띵동' 2% 승부수
신수현 2020. 4. 24. 17:00
배달 애플리케이션(앱) 서비스를 제공하는 민간 기업 중 가장 낮은 2% 수수료만 받는 스타트업이 나왔다. 음식 배달은 물론 심부름, 집 청소 등 각종 요구사항을 해결해주는 서비스이자 앱인 '띵동' 개발·운영업체 '허니비즈'가 주인공이다. 24일 스타트업·벤처업계에 따르면 허니비즈는 다음달부터 앱 '띵동'을 통해 음식 배달을 주문하면 해당 외식업체가 음식 가격의 2%를 수수료로 내는 서비스를 시행한다. 이는 민간 배달 앱 서비스 제공 업체 중 최저 수수료로 배달 앱 1위 업체인 배달의민족(6.8%)의 3분의 1 수준이다. 허니비즈 관계자는 "배달 음식 서비스 수수료와 관련해서 월정액 제도를 도입할 의향은 없다"며 "배달 중개시장 규모가 큰 데다 소상공인과 잘 협력하면 2% 수수료 체계만으로도 충분히 승산이 있다고 판단했다"고 최저 수수료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띵동은 다음달부터 서울시 강남·서초·송파·관악구와 부산시 부산진구 등 총 7개 지역에서 2% 수수료만 받는 실시간 배달 주문 결제 서비스를 시작하고 올 하반기에는 전국으로 음식 배달 서비스를 확대할 예정이다.
지난달 배달의민족 운영사인 '우아한형제들'은 기존 정액제인 울트라콜(부가가치세 포함 월 8만8000원) 중심에서 배달 주문 시 건당 5.8%의 수수료를 떼는 정률제로 수수료 체계 개편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카드결제 수수료까지 계산하면 배달음식점 주인들은 판매가격의 8.48%를 수수료로 내야 한다. 하지만 대다수 소상공인이 반발하자 우아한형제들은 지난 10일 수수료 체계를 기존 방식인 정액제와 6.8%로 되돌리기로 했다.
[신수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매일경제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최저수수료'만 받는 민간 배달어플 등장
- 7대 기간산업 첫 지원.."지분 취득해도 의결권행사 안해"
- 포스코, 1분기 영업익 40%↓..올해 생산량 7% 줄이기로
- 인텔, 코로나 뚫고 '깜짝실적'..영업익 삼성반도체의 2배
- 삼성전자 기업가치 세계 18위..1년새 10계단↑
- 강경준, 상간남 피소…사랑꾼 이미지 타격 [MK픽] - 스타투데이
- AI가 실시간으로 가격도 바꾼다…아마존·우버 성공 뒤엔 ‘다이내믹 프라이싱’
- 서예지, 12월 29일 데뷔 11년 만에 첫 단독 팬미팅 개최 [공식] - MK스포츠
- 이찬원, 이태원 참사에 "노래 못해요" 했다가 봉변 당했다 - 스타투데이
- 양희은·양희경 자매, 오늘(4일) 모친상 - 스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