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선진국이 아니었나..코로나가 드러낸 치부 '다섯'

박수현 인턴기자 2020. 4. 30. 08:1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노포크 AFP=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노포크에서 뉴욕으로 출항하는 해군 병원선 출항식에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과 참석해 연설을 하고 있다. ⓒ AFP=뉴스1

코로나19 대유행은 '선진국'의 의미를 다시 생각해보는 계기가 됐다. 선진국으로 꼽히던 구미·유럽 국가의 약점이 노골적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국제사회의 리더이자 세계 경제를 이끌던 미국의 추락이 대표 사례다.

미국은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나라 중 하나다. 미 존스홉킨스대학교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달 29일(현지시간) 오전 2시 기준 미국의 확진자수는 101만2583명, 사망자수는 5만8355명이다. 세계 곳곳에서는 코로나19 대유행이 미국의 치부를 드러냈다는 평가가 나온다.
채용도 해고도 쉽다…'유연한' 고용제도가 낳은 대량실업
미국의 채용도 해고도 쉬운 '자유로운 고용제도'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실업대란을 초래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달 23일(현지시간) 보도에서 최근 5주간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640만 명에 달한다고 전했다. 실업수당 청구가 늘었다는 건 그만큼 일자리가 줄었다는 의미다.
이에 미국은 부랴부랴 고용 안정책 마련에 나섰다. 미 정부는 지난달 24일 기업 자금지원 프로그램에 '오는 9월 30일까지 고용 수준의 90%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는 전제를 내걸었다. 그러나 이미 많은 사람이 정리해고 당한 뒤, 때늦은 대책이란 평가다.
실업과 함께 사라지는 안전망…'고용에 묶인 의료보험'
[피닉스=AP/뉴시스]3월27일(현지시간)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서 한 사람이 당분간 영업을 중단하고 포장만 가능하다고 공지한 식당 앞을 지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미국 곳곳이 식당 영업을 제한하고 있다.
대량실업은 미국인의 일과 함께 의료보험도 빼앗았다. 미국은 기업이 피고용자에게 민간의료보험 가입을 제공하는 게 일반적이다. 미국인 63%가 가입한 민간보험이 직장보험 형태다. 직업을 잃고 민간보험료를 낼 수 없으면 곧바로 '무보험자'로 전락한다.
버니 샌더스는 지난달 19일 뉴욕타임스(NYT) 기고에서 "고용주에 기반을 둔 민간 의료보험 제도가 불합리하고 잔인하다는 것은 이제 명백하다"며 "수천만 명의 미국인들이 대유행의 결과로 일자리와 수입, 건강보험을 잃었다"고 말했다. 그는 건강보험 사각지대에 놓인 미국인을 8700만명으로 추산했다.
하루 벌어 하루 산다…'저축 없는' 사회
미국은 가장 부유하지만 역설적으로 거의 저축하지 않는 나라다. 한국처럼 현금을 저금해 유동자산으로 보유하기보다 모두 소비하거나 빚 갚는데 쓰기 때문이다. CNBC의 1월 보도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70%는 저축액이 1000달러(약 121만 원) 미만이며, 45%는 긴급 상황을 대비한 자금이 전혀 없는 것으로 파악된다.
텅 빈 잔고는 식량난으로 이어졌다. 미국 전역 200개 이상 푸드뱅크로 구성된 비영리단체 '피딩 아메리카'에 따르면 코로나19 유행 전 푸드뱅크에 의존하는 미국인은 7명 중 1명 꼴이었지만, 현재는 수요가 2~3배로 급증했다.
나라는 부유하지만 나는 빈곤한 나라…더 벌어진 빈부차
(반 누이스 AFP=뉴스1) 9일 (현지시간)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반 누이스의 푸드뱅크에서 나눠주는 음식을 받기 위해 차량들이 길게 줄을 서 있다. ⓒ AFP=뉴스1
샌더스는 미국에 4000만명의 빈곤층과 50만명의 집 없는 사람들이 있다고 했다. OECD(경제협력기구) 통계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미국의 지니계수는 0.39로 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다.
사회적 불평등은 코로나19 대유행으로 더 판이하게 드러났다. 사회구조적 불평등으로 바이러스 노출 빈도가 잦고, 기저질환자 비율 역시 상대적으로 높은 흑인들은 다른 인종보다 압도적인 피해를 봤다. 지난달 초 시카고의 코로나19 사망자 중 72%가 흑인이었다.
리더십의 부재, 보이지 않는 미국의 미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리더십도 코로나19로 다시 위기를 맞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지도자로서 보건 위기를 극복해 나가는데 집중하기보다 다가오는 대선을 의식해 선거 홍보에만 열을 올렸다는 비판을 받았다. 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보건의료 전문가의 의견을 평가절하하고, 조언을 따르지 않으며 코로나19 피해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하버드 국제개발센터의 리카르도 하우스먼 교수는 "(코로나19 시기) 글로벌 리더십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미국 내 국가 리더십도 없었고 연방정부의 리더십도 없었다"며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미국 리더십의 실패"라고 표현했다.

[관련기사]☞아베의 '한국 때리기' 동조하던 日언론, 갑자기 "한국 배우자""김여정, 후계자 지위 부여될것"메디톡스 투자한 美 자문사…1300억이 326억 됐다국내선 비판받는데 해외선 주목하는 권영진 대구시장…도대체 왜?삼성 도움으로 살아난 기업들, 코로나 닥치자…
박수현 인턴기자 literature1028@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