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대응 잘했다"..韓 경제 성장률 -0.1% '선방'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세계 경제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침체를 겪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국 경제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선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소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BE)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성장률은 마이너스(-) 0.1%로 전망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세계 경제가 대공황 이후 최악의 침체를 겪을 것으로 전망되지만 한국 경제는 다른 나라에 비해 비교적 선방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0일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소인 블룸버그 이코노믹스(BE)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기준 경제 성장률은 마이너스(-) 0.1%로 전망됐다. 이는 BE가 코로나19 사태가 터지기 전 종전 전망치(2.3%)와 비교하면 2.4%포인트 하향 조정된 수준이다.
BE가 국가별 전망치를 내는 주요 31개국 가운데 종전 전망치 대비 1.6%포인트 내린 홍콩(-0.4%→-2.0%) 다음으로 하향 조정 폭이 작다.
특히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는 31개국 중 중국(2.0%)과 인도네시아(0.8%)에 이어 세번째로 높은 수치다.
올해 플러스 성장이 예상된 중국과 인도네시아의 전망치는 종전보다 각각 3.9%포인트와 4.4%포인트 하향 조정됐다.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되는 미국(2.0%→-6.4%)과 유로존(0.9%→-8.1%)은 종전보다 성장률 전망치가 각각 8.4%포인트와 9.0%포인트 내렸고 이탈리아나 스페인, 캐나다 등은 낙폭이 더 큰 편이다.
앞서 국제통화기금(IMF)이 지난달 발간한 주요 20개국(G20) 경제전망 보고서에서도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1.2%로 G20 중 네번째로 높았다.
이는 한국이 세계 다른 나라들과 달리 상대적으로 조기에 코로나19 확산 억제에 성과를 낸 것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BE도 이번 보고서에서 "강한 보건체계, 효율적인 정부, 충분한 재정 여력을 지닌 국가가 빠르게 성장세로 돌아갈 수 있는 위치에 있다"며 회복력이 큰 국가로 한국과 독일을 꼽았다. 김광태기자 ktkim@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 발안제 통과 땐 좌파 조직 100萬 동원 사회주의적 개헌 가능" [박찬종 前국회의원에게 고견을 듣는다]
- 진중권, "정경심, 소설가보다 더 큰 창작의 고뇌에 시달렸을 것"
- 개그콘서트 또 폐지설, 제작진 "와전이다" 선 그었지만
- 미래통합당, '오거돈 성추행' 검찰 고발
- 정준영·최종훈 집단성폭행 가담 혐의 항소심 내주 연기.. 法, "피해자 합의 중요 요소 작용 안할 것"
- 남아공 대통령, 보어인 공격 영상에 트럼프 앞서 진땀
- 초조해진 이재명, `내란 프레임` 재가동
- 1분기 술집·숙박업 매출 10% 폭락… 빚더미에 50만곳 문 닫아
- `어려워도 시장개척` 롯데케미칼, 인도네시아 부타디엔공장 이달말 시운전 돌입
- 누리호, 한화에어로에 연내 기술이전 마무리…美 화성탐사 협력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