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日 윤동주 비 주변에 심은 '한일우호 상징' 무궁화 꺾여
박세진 입력 2020. 05. 12. 15:02기사 도구 모음
일제 저항 민족시인인 윤동주(1917~1945)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일본 교토(京都) 우지(宇治)시에 한일 우호의 상징으로 심어진 무궁화를 누군가 꺾어서 훼손한 것으로 밝혀졌다.
우지시는 교도에 소재한 도시샤(同志社)대학에 다니던 윤 시인이 1943년 6월 대학 친구들과 함께 송별회를 한 뒤 우지천 상류의 아마가세(天ケ瀬) 다리 위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곳으로 유명하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일제 저항 민족시인인 윤동주(1917~1945)의 발자취가 남아 있는 일본 교토(京都) 우지(宇治)시에 한일 우호의 상징으로 심어진 무궁화를 누군가 꺾어서 훼손한 것으로 밝혀졌다.
우지시는 교도에 소재한 도시샤(同志社)대학에 다니던 윤 시인이 1943년 6월 대학 친구들과 함께 송별회를 한 뒤 우지천 상류의 아마가세(天ケ瀬) 다리 위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곳으로 유명하다.
이를 기리기 위해 우지시 지역 주민이 중심인 '시인 윤동주 기념비 건립위원회'가 2017년 10월 아마가세 다리와 댐 사이에 위치한 우지천 신핫코바시(新白虹橋) 기슭에 '시인 윤동주 기억과 화해의 비'를 세웠다.
그리고 지난해 10월 이 비 건립 2주년에 맞춰 우지시가 마련해 준 곳에 재일본대한민국 민단이 한일 우호의 상징으로 윤 시인의 안식을 기원하는 뜻을 담은 무궁화 한 그루를 심었다.
식재 당시의 키가 1m를 넘은 성목인 이 무궁화를 작년 말부터 누군가 줄기와 가지를 수 차례 꺾어 놓은 것이 발견돼 건립위 측이 그때마다 응급처치를 했다고 한다.
민단 관계자는 "어떤 의도에서인지 모르겠지만 한일 우호의 상징으로 심어 놓은 무궁화를 훼손하는 것에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건립위원회 대표인 안자이 이쿠로(安齋育郞) 리쓰메이칸(立命館)대 명예교수는 11일 교토 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생명을 소중히 하는 마음을 담은 비석 앞에서 나무의 생명을 해치는 짓은 그만두면 좋겠다"고 호소했다.
안자이 대표는 "(무궁화 주변에) 주의 안내판 설치를 검토하고 있다"며 "만일 다른 견해가 있다면 말(言論)로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시인은 아마가세 다리 위에서 기념사진을 찍은 직후인 1943년 7월 조선독립 운동에 관여한 혐의로 체포돼 해방 전인 1945년 2월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27세의 나이로 옥사했다.
parksj@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연합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몇 초 만에 물 차올라"…한밤 반지하 발달장애 가족 참변
- 18시간 고립 남한산성마을…구호품 산 타고 넘어 전달
- 한화 김승연 회장 부인 서영민 여사 별세…향년 61세
- 강남 폭우에 차량 5천여대 침수…외제차만 1천대 넘어
- 세계 1위 피자업체 도미노, '피자 본고장' 이탈리아서 철수 | 연합뉴스
- '인하대 성폭행 추락사' 가해학생 "당시 상황 기억 안나"
- 박강수 마포구청장, 폭우 속 '꿀맛 저녁식사' SNS 논란
- '그리스'로 사랑받은 청춘 아이콘 올리비아 뉴턴존 별세
- [중부 집중호우] 7시간 20분 걸려 출근…터널에서 고립
- '기숙사·화장실 700회 불법촬영' 교사 2심서 징역 7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