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후 첫째 아이 낳을 때까지 평균 2.34년 걸렸다

황수연 2020. 5. 27. 15:1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3년 전 1.89년 걸렸는데 0.45년 길어져
둘째아 이상인 경우 10명 중 4명꼴

결혼 후 부부가 첫 아이를 낳는 데까지 걸리는 시간이 평균 2년을 넘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첫째아 출산 시 평균 결혼생활기간은 2.34년으로 집계됐다. 결혼한 뒤 첫 출산까지 2년 넘게 걸린다는 얘기다. 1년 전보다 0.08년 길어졌다.

1분기 기준으로만 따져보면 2017년 1.89년에서 2018년 2.11년으로 늘었고, 지난해 2.26년에서 올해 2.34년까지 길어졌다. 10년 전인 2008년에만 해도 평균 2.16년이 걸렸던 것과 비교하면 0.59년이 늘어난 것이다.

서울 중구의 한 병원 신생아실에 놓인 아기 바구니 곳곳이 비어 있다. 뉴스1

둘째아 출산까지 걸리는 시간도 더 길어졌다. 2018년 평균 4.61년이 걸렸는데 2019년 4.7년으로 늘었고, 올해 1분기 기준 4.77년으로 조사돼 거의 5년 가까이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됐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첫째아이가 생기기 전 신혼 기간이 점점 늘고 있다”며 “둘째아 이상의 출산도 점차 감소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둘째아 이상의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 2017년 1분기 47.8%던 비중이 꾸준히 줄면서 올해 1분기 43.8%까지 떨어졌다. 올해 1분기 출생아 중 둘째아 이상인 경우가 10명 중 4명꼴이란 얘기다. 첫째아와 둘째아에 대한 기피 현상이 심해지는 것으로 풀이된다.

결혼한 뒤 아예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도 늘면서 2018년 기준 초혼 신혼부부 10명 중 4명(40.2%)은 결혼 5년간 자녀 없이 지내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5년에만 해도 35.5%였는데 2016년 36.3%로, 2017년 37.5%로 각각 올랐다.

대전의 한 산부인과 신생아실에서 갓 태어난 아기들이 간호사들의 보살핌을 받고있다. 중앙포토

이날 발표된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3월 출생아 수는 2만4378명으로 집계됐다. 1년 전과 비교해 10.1% 감소한 것이다. 3월 사망자 수(2만5879명)가 1501명 더 많아 지난해 11월 이후 5개월 연속 사망자 수가 더 많은 ‘자연 감소’ 현상이 이어졌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향후 출산율은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해 인구감소가 본격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하는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 역시 올 1분기 0.9명에 그쳤다. 전 세계 유일한 1명 미만 국가다. 합계출산율이 1.3명 이하인 초저출산 현상은 2002년 이후 18년간 지속되고 있다.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는 “연말 출산보다 연초 출산을 선호하는 경향으로 일반적으로 1분기 합계출산율이 연중 가장 높게 나타난다”며 “이를 고려할 때 올해 출산율은 더 하락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망했다.
황수연 기자 ppangshu@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