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일자리위원회 소식지에는 빠져있는 숫자

윤수정 사회정책부 기자 2020. 5. 30. 03: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윤수정 사회정책부 기자

"2018년 이후 청년 고용이 양적, 질적으로 모두 뚜렷이 개선됐다."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가 지난 28일 배포한 소식지 '일문일답' 3호와 보도자료 첫머리에 이렇게 쓰여 있다.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 이 문장은 '코로나 이전'이라는 단서가 달려 있긴 하다. 하지만 코로나 이전이라고 청년들의 일자리가, 그것도 질 좋은 일자리가 늘었다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다. 빈 강의실 전등 끄기 수준의 단기 알바 자리를 늘려온 정부다. "코로나 이전엔 문재인 정부의 청년 고용정책이 아주 잘되고 있었다"는 말에 동의할 청년이 도대체 몇 명이나 될까 싶다.

일자리위원회는 청년 취업자가 2016년 390만8000명에서 2019년 394만5000명으로 늘었다고 했다. 청년 고용률도 41.7%에서 43.5%로 올랐다고 강조했다. 청년 실업률은 2016년엔 9.8%였지만, 2019년엔 8.9%로 줄었다고 했다. 모두 통계청 연간 고용동향 등을 인용한 것이다. 이 숫자가 거짓말하고 있지는 않다.

그런데 한 가지 빠진 숫자가 있었다. 일자리위원회는 '청년 체감 실업률'이 2018년 22.8%, 지난해 22.9%로 2년 연속 역대 최고였다는 것에 대해서는 한마디도 하지 않았다. 체감실업률은 말 그대로 피부로 느끼는 실업률을 말한다. 취준생, 공시족, 알바족 등 사실상의 실업자를 제대로 실업률 계산에 넣어서 2014년부터 통계청이 발표하는 것이다. 일반 실업률보다 더 중요한 숫자다. 정부가 세금 퍼부어 만든 단기 알바 일자리로 청년 고용률 높이고, 실업률은 떨어뜨렸다고 자화자찬해도 감춰지지 않는 숫자다.

며칠 전 알바노조연대 관계자에게 이런 말을 들었다. "지난달 말에 서울 강북구의 한 커피점에서 알바생 1명을 뽑는다고 했어요. 지원자가 400명이나 몰렸대요. 대부분이 20대였대요." 일자리위원회가 일자리를 찾는 청년들의 목소리를 제대로 듣고 있는지 모르겠다. 이러면 결국 청년들이 "우리 목소리를 들어달라"고 고함을 지르게 될 것이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