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군함도 등 강제징용 희생자 추모 약속 저버렸다

김호준 2020. 6. 14. 19: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업유산정보센터, 산업화 성과 과시..강제징용 피해는 외면
'조선인 차별 없었다'며 역사 왜곡..한일관계 악영향 미칠듯
도쿄 소재 '산업유산정보센터' 입구 (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 도쿄특파원 공동취재단은 일반 공개 하루 전인 14일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설치된 산업유산정보센터를 방문했다. 2020.06.14

(도쿄=연합뉴스) 김호준 특파원 = 일본이 자국의 근대 산업유산을 유네스코(UNESCO)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면서 강제징용 희생자를 기리는 조처를 함께 하겠다는 약속을 저버렸다.

오는 15일부터 일반에 공개되는 일본의 '산업유산정보센터'의 전시 내용을 보면, 메이지(明治) 시대 산업화 성과를 과시하는 내용 위주이고, 일제 강점기 징용 피해자를 추모하는 내용은 없었다.

이는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와의 약속을 이행하지 않은 것이어서 논란이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

도쿄특파원 공동취재단은 일반 공개 하루 전인 14일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별관에 있는 산업유산정보센터를 방문했다.

일본 정부가 지원하는 일반재단법인 '산업유산국민회의'(이하 국민회의)는 이 센터를 지난 3월 31일 개관했으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영향으로 일반 공개가 미뤄졌다.

군함도 소개하는 일본 산업유산정보센터 (도쿄=연합뉴스) 이세원 특파원 = 3월 31일 일본 도쿄도(東京都) 신주쿠(新宿)구 소재 총무성 제2청사 한쪽에 개관한 산업유산정보센터에 조선인 징용 현장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를 비롯해 세계유산에 등재된 일본의 산업시설을 표시하는 지도가 전시돼 있다. 2020.3.31 sewonlee@yna.co.kr

1천78㎡ 크기의 센터에는 들어서자마자, 2015년 일본 메이지 산업유산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당시 강제징용 희생자를 기리기 위해 적절한 조처를 하겠다는 사토 구니(佐藤地) 주(駐)유네스코 일본대사의 발언이 소개돼 있다.

사토 대사는 당시 산업유산의 전체 역사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권고를 존중한다면서 "1940년대 일부 시설에서 수많은 한국인과 여타 국민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했다"고 인정했다.

그러면서 일본은 정보센터 설치를 비롯해 피해자들을 기리기 위한 적절한 조처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강조했다.

당시 한국 정부가 징용 피해자 관련 어두운 역사에는 일본이 눈을 감고 있다는 이유로 메이지 산업유산 등재에 반대하자, 정보센터를 설립해 희생자를 기리겠다고 약속한 것이다.

그러나 정보센터에는 메이지 시대 철강과 석탄 등의 분야에서 이룬 일본의 산업화 성과를 자화자찬하는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다.

게다가 일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의 대표적인 장소인 하시마(端島, 일명 '군함도') 탄광을 소개하면서는 강제징용 피해 자체를 부정하는 증언과 자료를 전시하고 있다.

조선인이 강제징용돼 노역했던 일본 하시마(군함도) 섬 [서경덕 교수 제공]

태평양 전쟁 당시 어린 시절을 군함도에서 보낸 재일교포 2세 스즈키 후미오(鈴木文雄) 씨의 증언 동영상이 대표적이다.

스즈키 씨는 동영상에서 '괴롭힘을 당한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없었다"고 답변했고, '조선인을 채찍을 때렸다는데 사실이냐'는 질문에도 "일을 시켜야 하는데 왜 때리겠냐. 그런 것 없었다"고 답했다.

스즈키 씨의 아버지는 군함도 탄광촌에서 '오장'(팀장급 관리자)으로 일했고, 그는 아버지의 경험에 기초해 증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군함도에서 일한 대만 사람이 "급여를 정확히 현금으로 받았다"고 증언하는 내용과 함께 월급 봉투도 전시돼 있다.

군함도에선 '노예노동'이 없었고 조선인에 대한 차별도 없었으며, 월급도 제대로 지급됐다고 주장하기 위해 군함도 생존자의 증언을 활용하고 있는 셈이다.

'징용 관계 문서 읽기'라는 전시에선 ▲ 국민징용령 ▲ 조선인 노무자 활용에 관한 방책 ▲ 반도인 노무자 이입에 관한 건 ▲ 등의 문서를 소개하고 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징용 제도를 언급하고 있을 뿐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 노역을 했다'고 사토 대사가 인정한 사실이나 희생자를 기리는 내용은 역시 전시되지 않았다.

일제 강점기 메이지 산업유산 중 군함도를 비롯해 야하타(八幡) 제철소,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다카시마(高島)와 미이케(三池) 탄광 등에는 한국인(조선인) 3만3천400명이 강제 동원됐다.

특히 군함도에서는 1943∼1945년 500∼800명의 한국인이 강제 노역을 했고, 122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가기록원, 일본 강제동원 증명 기록물 일반에 공개 (서울=연합뉴스)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이 작년 10월 31일 1940년 조선총독부가 생산한 '노무자원 조사에 관한 건'이란 제목의 기록물 원본과 고 김광렬 선생이 2017년 국가기록원에 기증한 조선인 강제동원 관련 문서와 사진, 도면 등 총 2천337권 중 일부 기록의 원본을 공개했다. 사진은 군함도 내 병원 전경. 2019.10.31 [국가기록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산업유산정보센터가 당초 약속과 달리 강제징용 희생자를 사실상 외면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일본 언론에서도 비판에 제기됐다.

교도통신은 군함도에서 조선인이 부당한 대우를 받았다는 정설을 '자학사관'으로 보고 반론을 펴려는 의도가 있다면서 "과거의 사실을 덮고 역사 수정주의를 조장한다는 비판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일본 정부가 역사를 왜곡하는 전시가 포함된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일반에 공개함에 따라 한일 관계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우리 정부는 15일 산업유산정보센터 일반 공개에 맞춰 일본 정부의 '역사 도발'에 대한 외교적 조처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유산정보센터 국민회의라는 일반재단법인이 운영하나 일본 정부의 예산으로 설립됐다.

hojun@yna.co.kr

☞ 한화 이글스가 18연패 탈출한 날…치어리더들도 눈물바다
☞ 의붓딸 쇠사슬로 묶고 '지옥학대' 하던 계부 결국
☞ 진중권 "北에 찍소리 못하면서" 신동근 "왼편의 민경욱이네"
☞ 군 장교, 채팅앱에서 만난 여성 '성착취 동영상' 제작 강요
☞ 또…경찰 총격에 흑인 숨져, 분노한 시위대 거리로
☞ 치료비 13억원 '폭탄 청구서' 받고 가슴 쓸어내린 이유
☞ 검찰, '원정도박' 양현석 약식기소…환치기 의혹은 불기소
☞ 두차례 심정지 온 30대 남성…심폐소생술이 살렸다
☞ 주호영 "김여정이 말한 '죗값'은 전단금지가 아냐"
☞ 가족史 알고 싶은 佛 입양한인 "친부모 원망 없어요"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