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북에 절제된 경고..대선 풍향계 따라 채찍·당근 택할듯

황준범 2020. 6. 17. 22:4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은 남북관계를 단절하는 북한의 공격적이고 연속적인 행동에 절제된 경고를 보내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미 북한의 최근 행동들은 11월 대선을 앞둔 워싱턴에도 그림자를 드리우기 시작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향후 대응에 점점 눈길이 쏠리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비교적 절제된 반응은 우선 북한의 최근 행동들이 표면적으로 미국을 직접 겨누고 있지는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문가들이 내다본 '대북 대응방향'
국무부 대변인 "역효과 행동 삼가라"
트럼프 '폭파' 관련 언급 안 내놔
사태 키우고 싶지 않다는 태도
북 행동수위 높아지면 대응 나설듯
북한 <조선중앙통신>이 지난 16일 오후 2시50분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했다고 17일 보도했다. 연합뉴스

미국은 남북관계를 단절하는 북한의 공격적이고 연속적인 행동에 절제된 경고를 보내며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미 북한의 최근 행동들은 11월 대선을 앞둔 워싱턴에도 그림자를 드리우기 시작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향후 대응에 점점 눈길이 쏠리고 있다.

북한이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16일(현지시각), 미 국무부는 짤막한 논평을 냈다. 국무부 대변인은 <한겨레>의 논평 요청에 “미국은 남북관계에 관한 한국의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하며, 북한이 추가적인 역효과를 낳는 행동을 삼갈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 개성 연락사무소를 폭파한 지 24시간이 지난 17일 오전 2시까지도 아무런 관련 언급을 하지 않았다.

트럼프 행정부의 비교적 절제된 반응은 우선 북한의 최근 행동들이 표면적으로 미국을 직접 겨누고 있지는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단 북한을 향한 즉흥적 발언을 자제한 것도 불필요하게 사태를 키우고 싶지 않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는 코로나19 사태와 경기 하락, 흑인 사망 사건, 지지율 하락 등 발등의 불을 안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국을 겨냥한 것처럼 보이는 북한의 행동이, 실제로는 “제재 완화 부족과 현상 유지에 절망해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압박을 극적으로 올리고 있는 것”(프랭크 엄 미국평화연구소 선임연구원)이라고 분석한다. 국무부 논평에서 절박감이 점증하는 것도, 북한의 행보를 바라보는 미국의 부담감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무부는 지난 9일 북한이 남북 간 통신선을 모두 폐기했을 때 “북한의 최근 행동들에 실망했다”는 수준이었으나, 13일 김여정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1부부장이 “연속적인 보복 행동”을 예고했을 때는 “북한이 도발을 피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대선을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 한반도 긴장 고조는 좋을 게 없다. 그가 주요 외교 성과로 자랑해온 ‘한반도 긴장 완화’가 퇴색되기 때문이다. 미 언론은 이미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2돌을 계기 삼아, ‘북한 비핵화는 이뤄지지 않았으며, 트럼프-김정은의 정상외교가 파탄났다’고 꼬집고 있다.

심지어 북한이 미국을 겨냥한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프랭크 엄 선임연구원은 “미국이 비핵화와 단기적 긴장·도발 방지에 집중하고 있다고 볼 때, 북한은 중거리 미사일이나 인공위성 발사, 사이버 공격 등으로 도발 수위를 높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다만 조셉 윤 전 국무부 대북특별대표는 <한겨레>에 “북한은 미국이 ‘레드 라인’으로 여기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나 핵실험을 할 경우 트럼프의 반응이 매우 위험할 것이라는 걸 알기 때문에 그 선을 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레드 라인’을 넘지 않는 한, 트럼프 행정부의 방점은 북-미 교착을 감수하고 ‘북한 관리’에 맞춰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국무부가 이날 “미국은 남북관계에 관한 한국의 노력을 전적으로 지지한다”고 밝힌 데서도, 한반도 긴장 고조라는 변수가 태평양을 건너오지 않기를 바라는 속내가 엿보인다. 국무부는 그동안 철도 연결 등 남북협력 사업과 관련해 ‘남북협력과 비핵화 진전은 발맞춰 진행돼야 한다’며, 남북협력에 속도가 붙는 것을 경계하는 태도를 보여왔다.

문제는 북한의 행동 수위가 높아질 경우다. 브루스 클링너 헤리티지재단 선임연구원은 북한이 한국의 유화적 태도와 미국의 제재 완화를 얻어내기 위해 점진적으로 긴장을 고조시켜나갈 것이라고 <한겨레>에 말했다. 트럼프가 평화를 위해 북한에 ‘당근’을 내줄지, 강한 미국을 보여주기 위해 ‘채찍’을 꺼내들지는 전적으로 ‘어느 것이 대선 승리에 유리하냐’에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황준범 특파원 jaybee@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