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S리포트] 아베의 오판, 한국산업 경쟁력 키웠다

이한듬 기자 2020. 6. 22. 06:2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日 수출규제 1년 - 韓 불매운동 1년 (1부)] "땡큐 아베!" 경쟁력 커진 한국산업 ②

[편집자주]한국에 대한 일본의 수출규제가 시작된 지 1년이 흘렀다. 당초 국내기업이 타격을 입을 것이란 우려가 있었지만 정부와 기업의 발빠른 대처로 별다른 피해를 받지 않았다. 오히려 수출길이 막힌 일본기업의 피해가 극심했다. 그럼에도 아베는 여전히 반성은커녕 적대적인 태도를 유지하며 양국 관계에 균열을 만든다. 현재진행형인 한일 갈등을 살피고 수출규제 이후 1년간의 기록을 되짚어봤다.

SKC 연구원이 반도체 노광공정 핵심소재인 블랭크 마스크의 시제품을 검사하고 있다. / 사진제공=SKC
한국 ‘소재·부품·장비’ 자립성 키운 반면 일본기업 실적 악화

한·일 관계의 주도권을 쥐기 위해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던진 대(對)한국 수출규제 카드가 1년 만에 자충수로 돌아가는 모양새다. 대일 의존도가 높은 반도체 소재 3개 품목의 수출을 제한해 경제는 물론 정치·외교부문에서 우위를 점하려던 아베의 꼼수가 기대와는 정반대되는 결과를 낳아서다.

막대한 피해를 우려했던 한국 반도체산업은 과감한 투자와 정부의 체계적인 지원 아래 일본 의존도를 빠르게 줄여나갔다. 이제는 반도체를 넘어 산업계 전반으로 ‘소재·부품·장비’(소부장)의 국산화 열기가 번지고 있다. 정작 피해를 본 건 수출길이 막힌 일본 기업이다. 아베의 오판이 자국 기업에 부메랑이 된 반면 오히려 한국에는 산업 경쟁력 강화의 자양분이 됐다는 평가다.



한국 국산화 ‘날개’


일본이 2019년 7월 한국에 최초로 수출규제의 칼끝을 겨눈 분야는 ▲포토레지스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 ▲불화수소 등 반도체소재 3개 품목이다. 해당 품목에 대한 한국의 대일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염두에 둔 일격이었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수출규제 직전인 2018년 7월부터 2019년 4월까지 한국의 일본산 포토레지스트 수입 비중은 93.3%에 달했으며 플루오린 폴리이미드와 불화수소 역시 각각 92.5%, 42.6%로 대일 수입 비중이 높았다.

한국 정부는 일본의 수출규제에 대응해 동일한 수준의 규제를 취하는 동시에 소부장 육성 정책을 적극 시행했다. 일본에 끌려가기보다는 기술 독립을 통해 외풍에 흔들림 없는 산업기반을 만들겠다는 목표에서다. 국내 기업도 적극적으로 거래선 다변화로 일본산을 대체하는 한편 국산화 개발에 뛰어들었다.

1년이 흐른 현재 소부장 국산화 전략은 잇따라 열매를 맺고 있다. 시작은 포토레지스트·플루오린 폴리이미드·불화수소 등 3대 품목이다. 특히 불화수소 부문의 성과창출이 두드러진다.

한화솔루션이 개발한 고부가가치 화학 소재인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 사진=한화솔루션
무역협회에 따르면 일본이 불화수소 수출규제를 시작한 2019년 7월부터 2020년 4월까지 10개월 간 한국의 대일 불화수소 수입액은 600만달러로, 수출규제 시작 전인 2018년 7월부터 2019년 4월까지 수입액인 5800만달러에 비해 90% 가량 급감했다. 같은 기간 일본산 불화수소 수입 비중 역시 42.6%에서 9.3%로 대폭 줄어들었다.

이는 조속한 국산화를 통해 일본산을 대체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국내 화학기업 ‘솔브레인’은 업계 최고 수준인 순도 트웰브나인(99.9999999999%)의 액체 불화수소를 개발해 대량생산체제를 갖추는 데 성공했다.

SK머티리얼즈도 최근 순도 파이브나인(99.999%)의 기체 불화수소 양산을 시작했다. 2019년 말 초고순도 불화수소 가스 시제품 개발에 성공한 후 경북 영주에 15톤 규모의 생산시설을 건설하는 등 국산화 작업을 진행해왔다. 이번 양산을 통해 2023년까지 국산화율을 70%까지 끌어올린다는 목표다.



부메랑 맞은 ‘일본기업’


SK머티리얼즈는 올 초 금호석유화학의 전자소재사업을 인수해 포토레지스트 시장 진출도 추진하고 있다. 금호석유화학 전자소재사업은 EUV용 포토레지스트 관련 자체 특허를 보유해 앞으로 소부장 국산화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받는다. 불화폴리이미드는 코오롱인더스트리가 7.3인치 패널 기준 연간 3000만장 규모의 생산체제를 갖췄다.

수출규제 3대 품목 외에서도 국산화 소식이 이어진다. SKC는 올 하반기 반도체용 하이엔드급 블랭크마스크 시제품을 본격 양산하기로 했다. 블랭크마스크는 반도체 웨이퍼에 회로를 새길 때 사용하는 포토마스크의 원재료로 글로벌시장의 95%를 일본이 차지하고 있으며 한국 역시 블랭크마스크의 90% 이상을 일본으로부터 조달한다. SKC가 하반기부터 블랭크마스크를 양산하면 국내 공급 안정성 개선과 반도체 핵심소재의 국산화라는 과업을 달성하게 된다.

한화솔루션이 개발한 고부가가치 화학 소재인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 사진=한화솔루션
한화솔루션의 경우 일본이 독점하던 고부가가치 화학 소재 고순도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의 국산화에 성공해 5월 초부터 전남 여수 사업장에서 상업 생산을 시작했다.

한국기업이 국산화 성과를 내는 동안 일본기업의 실적은 줄었다. 한국에 불화수소를 수출하던 일본 스텔라케미파의 지난 회계연도(2019년 4월~2020년 3월) 영업이익은 24억엔으로 전년대비 32% 감소했다. 포토레지스트 기업 JSR 역시 영업이익이 27% 줄었고 폴리이미드 업체 스미토모화학도 같은 기간 영업이익이 25% 감소했다. 이에 대해 일본 매체인 닛케이신문은 “아베 정부의 대립이 일본계 기업 현장에 피해를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한국 정부는 소부장 육성에 더욱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2020년 4월부로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을 상시화해 국산화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기로 했다. 최근에는 소부장 분야 핵심전략기술을 선정하고 이를 개발·생산할 기업 100곳을 뽑아 글로벌기업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범정부 차원에서 정책자원과 역량을 집결해 소부장 육성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머니S 주요뉴스]
서정희 딸 서동주, 샌프란시스코 근황… '넘사벽 각선미'
"보여줄까 말까"… 선미, 가슴 드러낸 채 '아슬아슬'
"인신 공격에 성적 모욕까지"… 이유비 댓글 뭐라했나
"내 가슴라인 어때?"… 이효리, 벗는 것보다 더 섹시해
클라라, 비현실적인 9등신 몸매… "이 기럭지 실화? "
임영웅과 영웅시대… '실력도 眞 인성도 眞'
허경환, 명품 복근 공개… 양세형 "실제 본 복근 중 제일"
엄정화 나이 몇살?… 50대 무색한 동안미모 '여전해'
'트바로티' 김호중에 들끓는 '잡음'…누가 꽃길 막나
천인우·이가흔 '포착'… 팔짱 끼고 걷는 중?

이한듬 기자 mumford@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