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마크롱·보리스존슨 등 6·25 70주년 메시지 보내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유엔 참전국을 비롯해 많은 도움을 준 모든 분들께 우리가 합심해 이룬 성과는 실로 대단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6·25전쟁 70주년 기념식에서 공개된 영상 메시지에서 "공산주의를 막아내기 위해 용감하게 싸운 모든 분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22개국 유엔참전국 정상들이 보낸 영상메시지가 공개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안채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5일 6·25전쟁 70주년을 맞아 "유엔 참전국을 비롯해 많은 도움을 준 모든 분들께 우리가 합심해 이룬 성과는 실로 대단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6·25전쟁 70주년 기념식에서 공개된 영상 메시지에서 "공산주의를 막아내기 위해 용감하게 싸운 모든 분들께 감사와 경의를 표한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어 "오늘 여러분과 함께하지 못해 아쉽다"며 "다음에 여러분을 직접 만나 악수를 할 날을 기약해본다"고 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포함한 22개국 유엔참전국 정상들이 보낸 영상메시지가 공개됐다.
영국의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은 사이먼 스마스 주한 영국대사의 대독을 통해 "6.25전쟁 발발 70주년을 맞아 대한민국 국민과 모든 참전용사에게 안부인사를 전한다"며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해 희생된 모든 이들을 여러분과 함께 추모한다"고 말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휴전협정을 체결하기 전까지 8만여 명의 영국 육해공군 장병은 공산군의 위협으로부터 대한민국을 수호하기 위해 싸웠고, 그중 수천 명의 영국 장병은 고국으로 돌아오지 못했다"며 "그러나 저는 오늘날의 대한민국을 보며 그들의 희생이 결코 헛되지 않았음을 느낀다"고 전했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우리의 우정은 몽클라 장군 휘하 프랑스군의 참전으로 맺어진 혈맹"이라며 "(양국은) 동일한 의지를 공유하고 양자관계, 나아가 지역 및 G20의 틀 안에서 서로 협력하고 있다. 어제처럼 오늘도, 미래에도 변함없이 여러분 곁에 머물겠다"고 말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대통령은 "독일은 올해 통일 30주년을 기념하지만 한국에게는 분단은 아직 쓰디쓴 현실"이라며 "한국이 한반도 평화, 자유, 안정을 추구함에 있어 큰 성과를 거두길 진심으로 기원한다"고 헀다.
이외 호주, 네덜란드, 캐나다, 뉴질랜드, 필리핀, 터키, 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그리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에티오피아, 콜롬비아, 스웨덴, 인도, 덴마크, 노르웨이, 이탈리아 정상들이 메시지를 보냈다.
22개국 메시지는 기념식 시작과 중간, 말미 등 세 편으로 나뉘어 상영됐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영상 길이와 메시지 연결성을 고려해서 나뉘었다"며 "각 편에서는 참전 순서대로 메시지를 배치했는데 다만 첫번째 편은 전투지원국을 앞 쪽에, 의료지원국을 뒤쪽에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ewkid@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