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안산 '햄버거병' 유치원생 부모 "우리가 검사 강력 요청해 발견"

김현종 2020. 6. 26. 14:2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검색하다 의심증상 발견.. 네살짜리가 인공혈관 삽입·투석" .. 유치원, 집단 결석 후 이틀 공지 안 해
원생들이 집단 식중독에 걸린 경기 안산시의 유치원 문이 지난 25일 오후 굳게 닫혀 있다. 일부 원생은 이른바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 진단을 받아 파문이 커지고 있다. 뉴스1

"4세 아이가 중환자실에서 혈액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데 부모가 어떻게 자나요. 걱정으로 가슴이 찢어질 거 같아 24시간 뜬눈으로 지새웠죠."

지난 25일 오후 서울의 한 대학병원에서 만난 A씨는 끓어오르는 화를 억누르고 있었다. A씨 아들 B군은 올해 1월부터 경기 안산시의 한 유치원에 다녔다. 최근 원아 167명 중 수십 명이 집단 식중독(장 출혈성 대장증후군)에 걸린 그 유치원이다. B군을 포함한 14명은 '햄버거병'으로 불리는 용혈성요독증후군(HUS) 증세까지 보여 투석치료 중이다.

HUS는 최악의 경우 평생 신장 투석기를 달고 살아야 할지 모르는 희귀병이다. 이창화 한양대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50% 이상이 급성신부전 탓에 투석치료가 필요하다"며 "회복된 후에도 신장에 상당한 후유증을 남긴다"고 HUS에 대해 설명했다.

B군은 투석치료를 포함해 이날까지 10일째 입원 중이다. 유치원 규모가 크고 시설이 깨끗한 게 믿음직하다고 생각했던 부모들은 배신감과 분노에 치를 떨고 있다. A씨는 "어쩌다 아이에게 이런 일이 생겼는지 모르겠다”면서 “이 유치원을 보내기로 한 결정에 죄책감까지 든다"고 말했다.


유치원은 늑장 대응, 보건소는 안내 실수…"문제 해결은 피해자 몫"

B군이 투석치료를 받기까지 모든 판단과 결정은 오롯이 A씨 부부의 몫이었다. 유치원과 지역 보건소는 도움이 되지 못했다. 

처음 증상을 보인 건 지난 15일. 아침저녁으로 설사를 해 배탈이 났을 것이라 가볍게 생각했다. 그러다 다음날 오전 B군이 복통을 호소했고 오후엔 혈변까지 나오자 심각성을 직감했다. 큰 병원에 갈 채비를 하던 찰나 보건소로부터 ‘유치원에서 집단 식중독이 발병했으니 와서 검사를 받으라’는 문자메시지를 받았다. A씨는 “병원에 가보니 이미 입원한 아이들이 많았다”며 “주말부터 입원이 몰려 병상이 부족할 정도였다”고 전했다.

B군 입원 과정은 순탄하지 않았다. 보건소에서 안내한 병원의 병상 수요가 실제와 달라 한참 실랑이를 벌였다. A씨는 "보건소가 병상이 있다고 해서 갔는데 병원 측은 '보건소에 병상이 없다고 이미 안내했다'더라. 누구 말이 맞는지 확인이 안 돼 아픈 아이를 붙들고 한참을 병원 측과 씨름했다"고 설명했다. A씨는 결국 지역의 다른 병원에 아이를 입원시켰다.

유치원의 대응은 더욱 엉망이었다. 십여 명이 식중독 증세를 보여 결석한 것을 알고도 아무런 공지를 하지 않은 채 2일간 아이들을 정상 등원시켰다. 보건소에 집단발병 사실을 먼저 알린 것도 유치원이 아닌 지역 병원이었다. 안산시상록수보건소 관계자는 "16일에 '유치원에서 같은 증세로 아이들이 입원했다'는 병원 신고가 들어왔다"며 "유치원도 신고를 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유치원은 보건소가 학부모들에게 집단 발병을 알린 후에야 공지 문자메시지를 발송했다. 

지난 16일 경기 안산시의 한 유치원이 학부모들에게 보낸 문자메시지. 부모 정모씨는 "주말부터 증상을 보인 아이들이 있었는데도 유치원이 수요일에야 늑장 문자를 보냈다"며 "집단 식중독이 아닌 장염 확산 정도로 안내해 학부모들이 전화나 방문으로 강력하게 항의를 한 후에야 폐원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독자 제공

"인터넷 보고 검사 요구했더니 햄버거병… 가만히 있었으면 어쩔 뻔했나"

HUS 검사는 A씨의 강력한 요청으로 이뤄졌다. 입원 뒤에도 B군 상태는 나아지지 않았다. 얼굴에 황달이 돌았고 눈매가 심하게 부어 올랐다. A씨는 "수액 탓에 그럴 것"이라는 병원의 만류에도 두 번이나 혈액 검사를 요구했다. 인터넷에서 검색한 장 출혈성 대장균증후군의 합병증인 HUS의 증세와 아들 상태가 유사했기 때문이다. 19일 오전에서야 B군은 햄버거병의 대표적 증상인 혈소판 감소가 확인돼 서울의 대형병원으로 이송됐다.

A씨는 "보건소와 병원 어느 곳도 이 증후군이 HUS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지 않았다"면서 "내가 인터넷을 보고 혈액검사를 요구하지 않았다면 발견 시점이 더 늦어질 수 있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또 "학부모들이 모인 단체방에 이런 내용을 공유하자 그제서야 B군과 유사한 증세를 보인 아이 서너 명이 서울의 같은 병원으로 옮겨졌다"고 상황을 설명했다. 


"작은 아이가 투석기를 주렁주렁… 코로나19 탓에 면회도 못해"

A씨가 지난 23일 한 인터넷 카페에 올린 글. 그는 "햄버거병이라는 게 이렇게 무서운 것인지 처음 알았다.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길 바란다"고 적었다. 인터넷 캡처

B군은 7일째 소변을 누지 못하고 있다. 급성 신부전 탓에 노폐물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B군은 19일 이송된 직후 응급투석 뒤 목 인근 혈류량이 많은 대혈관에 굵은 인공혈관(카테터)을 삽입하는 수술을 전신마취 상태에서 받았다. 이어 24일까지 투석치료가 이어졌다. 의료진은 25일 오후 일반 병실로 옮긴 뒤 경과를 살펴보고 있다.

A씨 부부는 병가를 내고 안산 자택과 서울의 병원을 오가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밤 시간엔 외부인의 병원 출입이 금지, 아이 옆을 지킬 수 없었다. 중환자실 면회도 '하루 한 명ㆍ30분' 으로 제한돼 투병하는 아이 손조차 잡아주지 못했다. A씨는 "지금 바라는 건 아이가 회복되는 것뿐"이라며 "더 이상 이런 끔찍한 일이 일어나지 않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현종 기자 bell@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