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식물 '으름난초'를 아시나요?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충남 태안 안면도 자연휴양림에 '으름난초'가 꽃을 피웠다.
충남도 산림자연연구소 태안사무소는 29일 안면도 자연휴양림에서 보호하고 있는 으름난초 12촉이 모두 만개했다고 밝혔다.
안규원 충남도 산림자연연구소 태안사무소장은 "안면도 자연휴양림에서 10촉 이상의 으름난초가 한꺼번에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며 "으름난초 발견 소식이 알려진 뒤 사진 동호회 등 방문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으름난초 자생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계속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충남 태안 안면도 자연휴양림에 ‘으름난초’가 꽃을 피웠다.
충남도 산림자연연구소 태안사무소는 29일 안면도 자연휴양림에서 보호하고 있는 으름난초 12촉이 모두 만개했다고 밝혔다. ‘개천마’로도 불리는 으름난초는 숲 속에 사는 다년생 난초과 식물이다. 환경부는 으름난초를 ‘멸종위기야생동식물 Ⅱ급’으로 지정했고,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국가적색목록 취약 등급’ 식물로 지정했다.
으름난초는 일본·중국에도 분포하는데 우리나라에는 충남 태안과 전북 진안, 전남 보성, 영암군, 제주도 일원 등 10곳 미만에만 자생지가 있는 보기 어려운 식물이다. 주로 빛이 잘 들지 않고 습한 숲 속에 살고, 최대 1∼1.5m까지 키가 자란다. 여러 개의 황갈색 꽃이 길게 늘어져 한 데 달리고, 7∼8월이면 타원형의 붉은 열매도 달린다.
안면도 자연휴양림은 지난 5월 휴양림 안에서 으름난초 12촉을 우연히 발견했다. 발견 뒤 자연휴양림 쪽은 으름난초 보호용 나무 울타리까지 설치했고, 한 달여 뒤 12촉 모두 꽃을 피웠다.
그러나 다음 해에도 이곳에서 으름난초를 볼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다년생이지만 매년 같은 장소에 피진 않기 때문이다. 으름난초는 한 해 땅속에서 나와 꽃을 피웠다가 다음 해는 종적을 감추고 몇 년 뒤에 다시 그 자리에 올라오는 식으로 자생한다.
안규원 충남도 산림자연연구소 태안사무소장은 “안면도 자연휴양림에서 10촉 이상의 으름난초가 한꺼번에 발견된 것은 처음”이라며 “으름난초 발견 소식이 알려진 뒤 사진 동호회 등 방문객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으름난초 자생지가 훼손되지 않도록 계속해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뉴스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통합당 "7개 상임위원장 의미 없다"..민주당 18개 모두 맡기로
- 삼성 출신 양향자 "4년간 재판받는 게 정상?"..이재용 두둔
- '국민참여재판' 받겠다는 전광훈..법원 "신청기한 지나 안된다"
- 이재명 지사 "반려동물 매매 법으로 금지하자"
- MLB 가용선수 명단 발표..류현진·추신수·김광현·최지만 포함
- 아동·청소년 성착취물 구입·소지·시청자 신상정보 공개된다
- 산꼭대기로 내쫓긴 빙하기 꼬마 나무 더는 갈 곳이 없다
- 슈가의 '대취타', 우리 방송선 못듣는다?..K팝 방송심의의 딜레마
- 6월 마지막날까지 전국 '최고 200mm' 많은 비에 강풍 분다
- [현장에서] '×중소' 자조하는 취준생 현실도 모르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