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갈곳 잃은 노인들 "복지사들 덕분에 삶의 희망 생겨"

강동웅 기자 2020. 7. 23. 03: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나눔으로 되찾는 일상]<1> '복지 사각지대' 노인-노숙인
사회복지사 김애영 씨(가운데)와 물리치료사 황채윤 씨(오른쪽)가 15일 서울 강남구 노인복지관 ‘강남시니어플라자’의 가정방문 대상자인 이경실(가명) 할머니의 집을 찾아 어깨 운동법을 알려주고 있다. 박영대 기자 sannae@donga.com
23일로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처음 나온 지 186일이 지났다.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우리 사회 곳곳이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노인과 장애인, 노숙인 등을 위한 사회복지시설은 5개월간 문을 닫아야 했다. 초중고교 학생들은 등교수업이 미뤄져 원격수업을 받아야 했다. 코로나19 확진자 속출로 의료진들은 지쳐갔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각계의 따뜻한 마음을 모아 코로나19 여파로 힘들어하는 취약계층과 의료진 등을 돕는 사업을 펼치고 있다. 동아일보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와 ‘코로나19! 나눔으로 되찾는 일상’이라는 주제의 공동기획을 3차례에 걸쳐 싣는다.

15일 오전 10시경. 사회복지사 김애영 씨(27·여)와 물리치료사 황채윤 씨(37·여)가 서울 강남구 도곡동의 한 지하 단칸방을 찾았다. 이곳엔 이경실(가명·79) 할머니가 혼자서 살고 있다. 이들은 할머니의 혈압을 재고 어깨 통증을 줄여주는 운동법을 가르쳐줬다. 약 2시간 동안 머물면서 할머니와 대화도 많이 했다. 이 할머니는 30년 전 남편과 이혼했다. 자녀가 없는 할머니를 가끔이나마 찾아주는 이는 언니와 남동생뿐이다. 할머니는 “이분들이 아니었으면 나는 벌써 저세상으로 갔을 사람”이라며 “지금 이렇게 살아있는 게 기적이다. 고맙다는 말밖에 할 말이 없다”고 했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2월 27일부터 노인복지관과 노숙인 이용시설, 장애인 보호시설 등 사회 취약층이 이용하는 사회복지시설에 휴관을 권고했다. 이 때문에 많은 노인과 장애인 등이 어려움을 겪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이달 10일까지 총 11만537개의 사회복지시설 중 8만1279곳(73.5%)이 문을 닫은 상태였다. 노인과 노숙인 등에 대한 돌봄 공백이 커질 수밖에 없었다.

이 할머니는 3월부터 우울증이 심해졌다. 할머니는 코로나19 사태 전엔 1주일에 네 차례 노인복지관을 찾았다. 복지관에서 말이 잘 통하는 60대 할머니와 대화하는 게 삶의 유일한 낙이었다. 하지만 복지관이 문을 닫은 뒤로는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아졌다. 어쩌다 산책하러 집밖을 나섰다가도 마스크가 답답해 곧 집으로 돌아가곤 했다. 최근엔 잠을 자는 서너 시간을 빼면 하루에 20시간가량 TV만 본다. 지역 주민센터에서 주 1, 2회 안부 전화를 걸어오면 몇 마디 나누는 게 전부라고 한다.

사회복지사와 물리치료사는 일주일에 두 번 할머니를 찾아온다. 이들은 강남구에 있는 노인복지관 ‘강남시니어플라자’ 소속이다. 이곳은 2월 10일부터 문을 닫은 상태이지만 가정방문 서비스는 중단 없이 계속하고 있다. 모두 62명의 관내 노인들을 직접 찾아 심리·건강 상담과 물리치료를 해주고 있다. 특히 형편이 어려운 40명에게는 도시락도 제공하고 있다. 3월에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부터 지원을 받아 영양제와 파스를 전달하기도 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노숙인들은 특히 시설 이용에 대한 두려움이 커졌다. 노숙인 이용시설은 다른 사회복지시설보다 감염에 더 취약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노숙인 대부분은 신원 파악이 힘든 데다 이들의 동선을 확인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이다. 노숙인시설 이용자들은 입·퇴소 빈도도 높다.

김철중(가명·42) 씨는 8일 인천 서구에 있는 노숙인 이용시설 은혜의집에 입소했다. 1년간 다니던 회사를 퇴사한 뒤 머물던 고시원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다. 김 씨는 은혜의집 문을 두드릴 때만 해도 걱정이 앞섰다. 어디서 왔는지 모르는 노숙인들과 함께 지내다 보면 자신도 코로나19에 감염될까 봐 걱정이 됐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씨는 입소 후 생각이 바뀌었다. 은혜의집은 3월 사회복지공동모금회로부터 코로나19 지원금을 받아 현관 입구에 손 소독제 자동 분무기 4대와 발열감지기를 설치했다. 시설 곳곳에 손 소독제 50개를 비치했고, 마스크 1000장을 비축해 시설 이용자들에게 넉넉하게 제공했다. 사회복지공동모금회는 2월부터 4월까지 ‘코로나19 특별 모금 캠페인’을 벌여 1080억 원을 모았다. 여기에 자체 예산 49억 원을 더해 모두 1129억 원을 만들어 22일 현재 992억 원을 코로나19 극복 지원사업에 사용했다.

협찬:

강동웅 기자 leper@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