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태양' 프랑스서 조립 시작..한국이 '핵심' 맡아
[앵커]
타오르는 태양처럼 깨끗하고 무한한 에너지를 우리 손으로 만들 수 있다면 이런 인류의 꿈을 담은 국제 핵융합 실험로, 이터를 오늘(28일) 프랑스에서 조립하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나라가 핵심 부품을 맡았습니다.
이희령 기자입니다.
[기자]
하늘의 태양을 땅에 만들자.
우리 시간으로 오늘 저녁 프랑스 남부 카다라슈에서 국제핵융합실험로, ITER(이터)의 조립이 시작됐습니다.
이터는 거대한 인공 태양입니다.
[ITER 장치조립 착수 기념행사 축사 영상 (오늘 저녁) : 인공태양은 꿈의 에너지입니다. 바닷물을 활용해 거의 무한정 생산이 가능하고, 방사능 위험이나 온실가스 배출도 없는 청정에너지입니다.]
원자력 발전소 같은 핵분열이 아니라 별처럼 핵융합 방식이라서 방사능이 새거나 폭발할 위험도 없습니다.
꿈 같은 에너지지만 만들기가 쉽지 않습니다.
이터의 설계에만 10년이 넘게 걸렸습니다.
2007년 건설을 시작했는데, 13년 만에야 조립에 들어간 겁니다.
2025년에야 조립이 끝나고 첫 실험을 할 수 있습니다.
태양처럼 초고온을 내는 장치인 만큼 부품 하나가 4층 건물 높이에 수백 톤씩 합니다.
유럽연합과 미국 등 7개 회원국이 나눠 맡았는데, 우리나라는 초고온을 견뎌내는 진공 용기 등 핵심 부품을 만들었습니다.
국내 기업 110여 곳이 참여했습니다.
[조래진/삼홍기계 사장 : (저희가 만든 열차폐체는) 전체 높이가 약 20m, 직경이 약 20m인 대규모 물건입니다.
그렇지만 이 물건 자체가 전체의 오차는 2㎜ 이내로 (제작해야 했고.) 세상에 처음, 아무도 만들어 보지 않은 물건을 만들어 보려고 하니까 (쉽지 않았습니다.)]
과학 사상 최대 규모인 이 프로젝트에서 우리나라 전문가들은 건설부문장 등을 맡고 있습니다.
한국형 인공태양 KSTAR가 1억 도를 8초 동안 유지해 세계 기록을 세우기도 했습니다.
핵융합에너지는 2050년 상용화가 목표입니다.
가보지 않은 길로 인류가 또 한 걸음을 디뎠습니다.
(영상디자인 : 김충현 / 영상그래픽 : 박경민)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통합당 의원 40%가 '다주택자'..민주당의 2배 비율
- 소녀상에 머리 숙인 아베 총리? 日 "사실이라면.."
- '월북 배수로' 주변에 CCTV 있었는데..군은 몰랐다
- 박지원 "북한은 주적이라니까..100번 소리지를까요"
- "가장 빛났다" 손흥민 원더골, BBC 선정 올해의 골
- [단독] 명태균 "국가산단 필요하다고 하라…사모한테 부탁하기 위한 것" | JTBC 뉴스
- 투표함에 잇단 방화 '충격'…미 대선 앞두고 벌어지는 일 | JTBC 뉴스
- 기아의 완벽한 '결말'…우승에 취한 밤, 감독도 '삐끼삐끼' | JTBC 뉴스
- "마음 아파도 매년 올 거예요"…참사 현장 찾은 추모객들 | JTBC 뉴스
- 뉴스에서만 보던 일이…금 20돈 발견한 경비원이 한 행동 | JTBC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