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7월 주택가격 0.61% 오르며 '고공행진'
서울 1.12% 올들어 최고.. 경기 1.3% ↑
세종시 6.53% 폭등.. 상승률 역대 최고증
3일 한국감정원이 내놓은 7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파트를 포함한 7월 전국 주택가격은 0.61% 상승했다.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0.89%, 연립주택 0.13%, 단독주택 0.21% 등으로 조사됐고, 수도권이나 광역시, 지방 모두 전달보다 오름폭이 커졌다.
한국감정원은 이번 조사가 6월16일부터 지난달 13일까지의 시세변동이어서 7·10 대책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부가 집값 안정화를 목표로 발표한 6·17 대책의 약발이 제대로 먹히지 않은 것까지 부정하기는 어렵게 됐다. 규제 지역을 대폭 확대하고, 담보대출 등을 강화하는 6·17 대책 발표 직후 되레 규제 적용 전 막차를 타려는 수요가 늘면서 집값을 더욱 끌어올렸다는 분석이 나온다.
특히 서울 아파트 가격은 전월 대비 1.12% 올라 지난해 12월(1.24%) 이후 7개월 만에 최대 폭을 기록했다. 중저가 아파트가 많은 노원구(1.22%), 도봉구(0.89%), 강북구(0.80%) 등 이른바 ‘노·도·강’ 지역과 동대문구(0.86%), 구로구(0.84%) 등을 중심으로 많이 올랐다.
수도권 밖에서는 세종시 아파트가 6.53% 오르며 전국에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한국감정원이 세종시를 통계에 넣어 집계하기 시작한 2012년 12월 이후 역대 최고 상승률이다. 세종시 아파트 가격은 지난 5월 0.33% 상승했다가 6월에는 2.55% 오른 데 이어 7월에는 6.53%로 급등했다. 올해 1월부터 누적 상승률이 22.82%에 달한다. 권대중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부동산 규제의 강도가 점점 세지니까 수요자 입장에서는 그 전에 조금이라도 빨리 집을 사야 한다는 심리가 생기는 것”이라며 “아직 집을 갖지 못해 불안해진 30∼40대가 집을 사려고 뛰어드는 매수세를 막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지적했다.
소득이 정체된 상황에서 주택 가격이 계속 오르는 가운데 서울에 사는 가구가 아파트를 장만하려면, 월급을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아도 12년 넘게 걸린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국회 입법조사처가 이날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작년 서울의 연간 가구평균소득 대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비율인 PIR(Price to Income Ratio)는 12.13으로 추산됐다. 서울 시민의 평균 가구소득으로 서울의 평균가에 해당하는 아파트를 사려면, 한 푼도 쓰지 않고 12.13년을 모아야 한다는 의미다.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PIR는 2017년 10.16에서 2018년 10.88, 지난해 12.13으로 꾸준히 상승세다.
박세준 기자 3j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세계일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단독] “4학년 때부터 16년간 성폭력”…독거노인 돌보는 선교사의 두 얼굴
- “특정 멤버가 괴롭혀”…제시카 소설 ‘브라이트’, 소녀시대 이야기 담겼나
- ‘땀냄새 엄청’ ‘생긴 거 비호감’ ‘페라리 타’…강남 ‘키스방’ 장부에 적힌 9300명 신상
- “2년 전 시세로 돌아갔네요” 주택시장 위기 전조?
- 교차로 뛰어들어 멈춘 택시에 몸통 박치기…어설픈 女 행동에 “보험사기 의심” [영상]
- 고민정, 尹 향해 “호가호위 말라”… 與 “‘호의호식’ 실수?” “중국어학과 출신 인재의 희생”
- “잘 치워봐~” 편의점서 남은 음식 널브러뜨리고 약 올린 10대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