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성장에도 한국 GDP 순위는 12→9위로 오를 전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 경제가 올해 역성장하더라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순위는 12위에서 9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OECD가 세계 모든 국가의 경제 규모를 전망하지는 않았지만 선진국부터 중국, 러시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덩치가 큰 주요 개발도상국의 수치를 모두 내놓은 만큼 이 전망대로라면 한국의 경제 규모는 지난해 12위에서 올해 9위로 상승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인당 국민소득은 2만달러대로 내려앉을 가능성 커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정수연 기자 = 한국 경제가 올해 역성장하더라도 전 세계 국내총생산(GDP) 순위는 12위에서 9위로 올라설 전망이다.
한국보다 컸던 캐나다, 러시아, 브라질 경제 규모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에 크게 쪼그라들기 때문이다.
1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명목 GDP는 코로나19의 2차 확산이 없는 경우 작년보다 1.8% 감소한 1천884조8천억원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됐다.
OECD가 내놓은 올해 원/달러 환율 전망치(1,222.0원)를 토대로 원화 기준 명목 GDP를 미 달러화로 환산해 보면, 올해 한국의 명목 GDP는 1조5천449억3천만달러를 기록하게 된다. OECD는 각국 통화 기준 명목 GDP와 환율을 전망했지만 달러화로 환산한 명목 GDP 수치는 별도로 내놓지 않았다.
이는 OECD가 경제 상황을 전망한 46개국(37개 회원국·9개 비회원국) 가운데 아홉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OECD가 세계 모든 국가의 경제 규모를 전망하지는 않았지만 선진국부터 중국, 러시아, 브라질,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덩치가 큰 주요 개발도상국의 수치를 모두 내놓은 만큼 이 전망대로라면 한국의 경제 규모는 지난해 12위에서 올해 9위로 상승한다.
지난해 한국의 순위는 브라질(9위), 캐나다(10위), 러시아(11위) 등에 이어 12위였다.
미국은 올해 명목 GDP가 5.7% 감소하더라도 경제 규모가 20조2천39억5천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이 13조8천338억3천만달러로 2위고 일본, 독일, 인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가 이들의 뒤를 잇게 된다. 미국부터 이탈리아까지 1∼8위 사이 국가는 지난해와 올해 사이에 순위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10위였던 캐나다는 올해 명목 성장률이 -7.5%로 떨어져 순위가 한국보다 낮은 10위에서 머무를 것으로 예상됐다.
올해 명목 성장률이 -14.1%로 전망된 러시아도 지난해와 같은 11위를 기록하게 된다. 브라질은 명목 성장률 전망치가 -3.9%로 상대적으로 양호했으나 물가 상승률이 다른 나라보다 높고 헤알화가 절하된 만큼 순위는 2019년 9위에서 올해 12위로 밀린다.
한국의 경제 규모 순위가 9위로 올라가게 되더라도 실제 생활 수준에 직결되는 지표인 1인당 국민소득(GNI)은 2만달러대로 내려앉을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우리나라의 1인당 GNI는 3만2천115달러였다. 지난해 1,165원대였던 연평균 원/달러 환율이 1,200원대 이상으로 치솟았고 올해 마이너스 성장 위험이 큰 점을 고려하면 1인당 국민소득 역시 3만달러대를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표] 각국 통화 기준 명목 GDP 전망치, 달러화 대비 환율 전망치(모두 Single-hit 기준), 이를 토대로 계산한 달러 기준 명목 GDP 순위
※ 자료 : OECD
jsy@yna.co.kr
- ☞ 산사태 이렇게 무섭습니다…CCTV에 찍힌 산사태 순간
- ☞ "벌 만큼 벌었으면서…" 황금거위 배 가른 유튜버들
- ☞ 진중권 "文에 세번 뜨악"…신동근 "태극기 든 진보 김문수"
- ☞ 퇴사하겠단 여직원 태우고 강릉서 부산까지 간 이유는?
- ☞ 변기보다 더러운 '세균폰' 어떻게 해야 하지?
- ☞ "트럼프, 공화 큰손 87세 카지노 갑부에 '왜 더 안내' 짜증"
- ☞ "불법체류자는 차별표현…미등록 외국인으로 부르자"
- ☞ 일본 불매운동 1년…소비재 수입, 맥주 84%↓·승용차 51%↓
- ☞ 나체로 잠든 여친 몰래 '찰칵'…대법, 무죄→유죄 반전
- ☞ 조국 "울산사건 檢수사, 대통령 탄핵 위한 밑자락 깐 것"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모가지 따러 왔수다"…공비→목사 '靑습격사건' 김신조 별세(종합) | 연합뉴스
- 가수 켄타 "꿈 좇은 길에 6억 빚…그래도 행복 포기하지 않겠다" | 연합뉴스
- 권지용 교수 "과학과 예술 맞닿아…우주로 간 음원, 집 찾길" | 연합뉴스
- 등교하는 남녀 초등생 2명 차량으로 유인…20대 외국인 체포 | 연합뉴스
- 트럼프, 상호관세 유예 이유 묻자 "사람들이 겁먹고 불안해해" | 연합뉴스
- 함상훈 재판관 후보자, '2400원 횡령' 버스기사 해고판결 논란 | 연합뉴스
- 성폭행 후 7년 만에 잡힌 여고 행정공무원…집행유예로 석방 | 연합뉴스
- 尹파면 축하했다 '별점테러' 당한 치킨집에 응원 맞대응 | 연합뉴스
- 여친 잠꼬대에 화나 둔기폭행 40대…살인미수 징역 5년→6년 | 연합뉴스
- 40년간 친딸 성폭행한 70대에 징역 25년 선고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