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의 국제정치학..'코로나 협력' 명분 韓 합류 가능할까

장아영 2020. 8. 17. 11:28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주요 7개국, G7은 국제 질서를 좌우하는 선진국 클럽입니다.

45년 전 결성 뒤 여러 차례 확대 논의가 있었지만 각국의 이해관계가 엇갈리며 실제 이뤄지지는 않았습니다.

우리 정부는 K 방역을 내세우며 G7 확대가 포스트 코로나 시대 국제 대응에 기여할 것이라는 점을 호소하고 있는데요,

과연 성사 가능성이 있을지 장아영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기자]

지난 2018년 G7 정상회의의 분위기를 드러낸 사진 한 장.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지난 2018년 6월 12일) : 저는 메르켈 총리와 잘 어울렸고, 제가 팔짱을 낀 채 앉아있는 사진 속 상황은 사실 제가 문구 변화를 요청했던 최종 문서가 나오길 기다리는 중이었습니다. 그렇게 보이지 않지만, 우호적인 회담이었습니다.]

미국이 의장국인 올해, 트럼프 대통령은 G7이 전 세계에서 일어나는 일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구시대적인 그룹이라며 G7 확대를 거론했습니다.

인도, 호주, 러시아, 그리고 우리나라를 새 회원국 후보로 지목했습니다.

미국에 좀 더 우호적인 국가를 G7 체제에 넣어 반중국 전선을 형성하겠다는 것이 미국의 속내지만, 확대 논의가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1975년 G6 결성 당시 회원국의 자격 요건은 자유민주주의와 1인당 최소 11,000달러가 넘는 GDP, 세계 총 GDP의 4%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 경제 규모였습니다.

명실상부 상위 7개 국가의 모임이었지만, 지금에 와선 변화된 국제 역학관계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하이코 마스 / 독일 외교장관 (지난 10일) : 국제적인 권력관계가 현존하는 대화 포맷에 제대로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은 사실입니다. 이는 UN 안보리에도 해당합니다.]

하지만 2008년 금융위기 당시 G7을 확대해야 한다는 논의에도 불구하고 G20이라는 체제를 따로 만드는 것에 그쳤을 만큼, 재편은 쉽지 않습니다.

회원국은 특권적 지위를 나누기 싫어하고 후보국은 혹시 들어가지 못해 밀려날 것을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G7 회의 초청을 수락한 우리나라는 G7 확대 논의에 힘을 싣는 한편, 코로나19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모범적 대응을 내세우며 가입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강경화 / 외교부 장관 (지난달 2일) : (코로나19 상황에서) 국제사회에 선도적인 모범을 보여준 우리나라가 그 논의(G7)에 참여해서 기여할 부분이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G-제로, 사실상 국제사회의 리더십이 사라진 시대라는 평가 속에 전염병과 기후변화 등, 어느 때보다 국제 공조가 필요한 시기라는 점도 강조하고 있습니다.

YTN 장아영[jay24@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 YTN plu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시각 코로나19 확진자 현황을 확인하세요.

▶ 대한민국 대표 뉴스 채널 YTN 생방송보기

▶ 네이버에서 YTN 뉴스 채널 구독하기

Copyright © YT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