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사'가 '무'길래.. '유니콘'이 됐나

김설아 기자 2020. 8. 22. 07: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유니콘’. 더 이상 유럽 전설에 나오는 뿔 달린 말이 아니다. 지금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비상장 스타트업 기업을 일컫는 단어로 통한다. 이름도 몰랐던 스타트업이 단 몇 년 만에 블록버스터급 브랜드로 성장했다는 하나의 상징. 유니콘 기업은 현재 전세계에 586개, 국내에는 11개가 있다. 한 통계에 따르면 스타트업 기업이 유니콘이 될 확률은 겨우 1%. 유니콘이 되는 데 걸리는 기간은 평균 5년. 이름만큼 현실에서 유니콘을 만나기란 쉽지 않다는 방증이다. 

무신사는 지난해 11월 국내 10번째 유니콘 기업이 됐다. 패션시장 정체 속에서도 놀라운 매출과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야놀자×헬리녹스 협업 에디션/사진=무신사

그 어려운 걸 해낸 유니콘 기업, 그 중에서도 무신사는 지난해 11월 국내 10번째 유니콘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무신사의 거래액은 9000억원. 전년보다 2배 이상 성장한 수치다.

매출 역시 5년간 6배 넘게 늘었다. 연평균 성장률은 45%. 국내 유니콘 기업 중 가히 돈을 가장 잘 버는 곳이다. 올해는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을 도입해 1조5000억원의 거래액을 목표로 잡고 있다. 해외 진출도 앞두고 있어 무신사의 성장성을 쉽게 가늠할 수 없다는 게 업계 관계자의 전언이다.

무신사의 현재 기업가치는 2조2000억원. 국내 굴지의 유통 대기업 신세계 기업가치(2조6000억원)와 맞먹는 수준이다. 두 기업을 놓고 단순 비교하는 것은 무리가 따르지만 유통 대기업과 스타트업이 비슷한 기업 가치를 갖고 있다는 데에 많은 이들이 놀라움을 금치 못한다.



국내 유니콘… 커머스·유통 분야에 집중



무신사 외에도 ▲쿠팡 ▲위메프 ▲L&P코스메틱 ▲우아한형제들 등 11곳이 유니콘 기업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국내 유니콘은 대부분 이커머스와 유통 분야에 집중돼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국내 유니콘 1호인 쿠팡을 포함해 위메프와 무신사는 대표적인 이커머스 기업으로 분류된다.


K-유니콘 BI/사진=뉴스1
12번째 유니콘 후보군으로 거론되고 있는 기업도 커머스 계통이 주로 거론된다. 국내 최초로 새벽배송을 시작한 마켓컬리는 신선식품 중심의 이커머스 업체다. 마켓컬리는 지난 5월 2000억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 성공하면서 기업가치를 약 9800억원으로 평가받았다. 아쉽게 유니콘 대열 합류에 실패했지만 현재 12번째 유니콘에 가장 근접해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와디즈는 상장 시 기업가치가 1조원 수준으로 평가받는 곳으로 역시 커머스 성격이 강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이다. 56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 유치로 차기 유니콘 기대감을 키우고 있는 모바일 중고 마켓 번개장터도 이커머스 업체로 꼽힌다.

국내 3번째로 유니콘 반열에 오른 L&P코스메틱은 화장품 제조사지만 도소매 및 중개, 무역을 겸하고 있다. 중국에서 ‘꿀광 마스크’로 유명한 국내 화장품업체 지피클럽은 전자제품 유통회사로 출발했지만 현재는 화장품 유통으로 자리잡았다.

모바일 서비스 기업 옐로모바일과 숙박 앱 야놀자, 배달앱의 우아한형제들 등은 O2O(Online to Offline) 플랫폼 업체로 분류된다. 오프라인 상품을 온라인에서 중개하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커머스로 분류된다.

11곳 중 커머스 계열이 아닌 유니콘은 단 3곳이다. 게임 제작사인 크래프톤과 핀테크 업체 비바리퍼블리카, 바이오기업 에이프로젠이다. 전세계 유니콘이 핀테크와 소프트웨어·인공지능·헬스케어 등 공유·융합 분야에 포진해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아기유니콘·예비유니콘 혜택은?


정부도 이러한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다양한 분야의 유니콘을 키우기 위한 칼을 빼들었다. 이른바 K-유니콘 프로젝트. 내년까지 기업가치 1조원 이상인 유니콘 기업 20개, 2022년까지 기업가치 1000억원 이상인 ‘예비유니콘’ 500개를 각각 육성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스타트업인 일명 ‘아기유니콘’ 기업을 2022년까지 200개 선발하기로 했다. 아기유니콘 사업은 벤처캐피털(VC)·기술보증기금 등 전문기관과 국민심사단이 직접 기업을 선발해 육성하는 프로젝트다. 선정된 기업에는 시장개척자금 3억원과 정책자금대출(100억원)·보증(50억원) 150억원·연구개발(R&D)자금 6억원 등 최대 159억원의 자금이 지원된다.

바이오헬스·시스템반도체·미래차 등 신사업 ‘빅3’ 분야와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 등 ‘D·N·A’ 분야 스타트업도 250곳을 발굴해 5년간 최대 182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중기부는 1단계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유니콘 기업을 2022년까지 500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지난해 예비유니콘 수(235개)의 2배가 넘는 규모다.

예비유니콘으로 성장한 기업에는 투자, 보증, 제도 등을 통한 스케일업(규모 확대)이 추진된다.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미래차, 인공지능(AI) 등 4차 산업혁명 분야 지원을 위해 7000억원, 유니콘 도약 기업을 위해 2500억원 등 약 1조원 규모의 ‘점프업 펀드’가 조성된다. 기술보증기금 주도로 특별보증프로그램도 마련된다.



만성적자와 리스크… 유니콘 거품론도


물론 유니콘 기업이 양산된다고 해서 긍정적 전망만 나오는 것은 아니다. 일각에선 막대한 적자와 리스크를 안고 있는 유니콘 기업을 보고 ‘유니콘 거품론’을 들고 나오기도 한다.

국내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지난 2014년 제2호 유니콘이 된 옐로모바일이 대표적. 옐로모바일은 수천억원대 투자유치에 성공하면서 급속도로 덩치를 불렸지만 2017년과 2018년 2년 연속 회계 법인으로부터 ‘감사의견거절’을 받으면서 나락으로 떨어졌다. 현재는 과거 명성을 잃은 지 오래다.

쿠팡과 위메프 등 유니콘 반열에 오른 업체 역시 가격 경쟁과 공격적 마케팅으로 만성적자에 시달리고 있다. 예비유니콘 반열에 오른 마켓컬리와 야놀자도 지난해 100억원 이상의 영업적자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스타트업 한 관계자는 “사업으로 의미 있는 성장을 만들기보다 추가 투자 유치로 기업 가치를 높이는 데만 집중하면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며 “수익을 못 내면서 몸집만 키우다 보면 결국 붕괴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게 벤처의 속성”이라고 조언했다.
[머니S 주요뉴스]
"쌍둥이인줄" 한지혜 남동생, 이렇게 똑같다고?
혜은이, 100억대 빚 다 갚았다… 어떻게?
한다감, 초호화 한옥… 마당이야 운동장이야
신인선 임영웅 '환상케미'… "입술이 예뻐야"
기안84 녹화 불참, '나혼산' 하차 수순?
이종석, 신사동 카페 팔아 20억 벌었다
김종국, 차태현 와이프 첫인상? "OO인 줄"
차은우, '여신강림' 문가영과 무슨 사이?
한승연 "바리스타 자격증 취득"… 왜?
'미우새' 곽도원 "이번 생에 결혼은 틀린 듯"

김설아 기자 sasa7088@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