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겁 없는 야생닭' 골라 10대 육종했더니 가축 닭 탄생

조홍섭 2020. 8. 31. 16:06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남아 정글에 사는 야생닭은 매우 겁이 많고 조심스러워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8000∼1만년 전 이들을 가축화하려던 사람들이 했던 첫 번째 일은 아마도 겁 없고 대범한 닭을 고르는 것이었을 것이다.

레베카 카타야마 등 스웨덴 리쾨핑대 연구자들은 실제로 이런 초기 가축화 과정을 재현해 동남아 야생닭(적색야계)을 육종하는 실험에 나섰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니멀피플]
1만년 전 가축화 재현 실험..온순해지면서 두뇌 감소 현상도
타이 정글의 적색야계 수컷. 매우 조심스럽고 겁이 많은 이 야생닭을 가축 닭으로 형질을 바꾸는 과정은 매우 신속하게 이뤄진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프란체스코 베로네시,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동남아 정글에 사는 야생닭은 매우 겁이 많고 조심스러워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8000∼1만년 전 이들을 가축화하려던 사람들이 했던 첫 번째 일은 아마도 겁 없고 대범한 닭을 고르는 것이었을 것이다.

레베카 카타야마 등 스웨덴 리쾨핑대 연구자들은 실제로 이런 초기 가축화 과정을 재현해 동남아 야생닭(적색야계)을 육종하는 실험에 나섰다. 가장 순한 닭을 골라 육종한 결과 놀랍게도 10세대 만에 잘 놀라 다루기 힘들던 야생 닭은 잘 놀라지 않는 대범한 가축 닭이 됐다.

육종 과정에서 뜻밖의 결과도 나왔다. 가축화가 진행하면서 닭은 두뇌가 몸집에서 차지하는 무게 비중이 점점 작아졌다.

연구자들이 육종에 쓴 야생닭 암·수. 왼쪽 암컷은 칙칙하고 두드러지지 않는 모습이다. 페르 옌센 제공

과학저널 ‘왕립학회 공개과학’ 최근호에 실린 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우리 조상이 가장 온순한 닭을 골라 육종했을 때 그들은 동시에 다른 뇌를 지닌 닭도 선택했던 셈”이라며 “그런 두뇌가 사람과 함께 사는 데 훨씬 적합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런 결과를 두고 야생닭이 가축 닭이 되면서 머리가 나빠졌다고 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연구자들은 실험에서 가장 겁 없는 닭과 겁 많은 닭을 따로 골라 길렀는데, 가축이 되는 겁 없는 닭 쪽의 체중이 야생에 가까운 겁 많은 닭보다 무거웠다.

가축화가 진행하면서 두뇌의 절대적인 크기는 야생 때보다 커졌지만 체중에 견줘 상대적인 비중은 줄어들었다. 두뇌 가운데 특정한 스트레스 반응 등 원시적인 기능과 관련된 간뇌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야생닭을 육종해 가축화한 닭. 체중은 훨씬 늘어났지만 두뇌의 상대 비중은 줄어들었다. 안드레이 니미메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이렇게 두뇌의 크기와 조성이 달라졌다면 기능은 어떻게 됐을까. 연구자들이 수행한 행동 실험의 하나로 깜짝 놀라게 하지만 실제로 해롭지는 않은 경험, 예컨대 플래시 불빛에 얼마나 쉽게 익숙해지는지를 알아봤다.

길든 닭일수록 이런 자극에 훨씬 일찍 적응해 놀라지 않았다. 주 저자인 카타야마 이 대학 박사과정생은 “알 수 없지만 깜짝 놀라게 하고 그러나 위험하지 않은 사건들을 일상적인 일로 익숙해지는 것이 사람 가운데 사는 닭에게 이득이었을 것”이라고 이 대학 보도자료에서 말했다. 또 다른 실험인 패턴과 먹이를 연관 짓는 연상 실험에서는 두 집단 사이에 성적 차이가 없었다.

공동 연구자인 페르 옌센 교수는 “닭을 비롯해 동물을 어떻게 가축화하는지, 또 그 과정에서 행동의 차이가 두뇌 구조와 어떻게 관련되는지를 이번 연구로 좀 더 알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현재 세계에서 기르는 210억 마리 닭의 원종은 적색야계로 인도 동부, 중국 남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의 열대우림에 서식한다. 큰 볏과 광택 있는 화려한 모습의 수컷은 번식기에 ‘꼬끼오’ 하고 울어 짝을 찾고 봄에 한 번 산란하는 암컷은 환경 속에 녹아드는 수수한 빛깔이고 볏도 작다(세계를 ‘정복’한 닭 어디서 어떻게 퍼졌나).

소련 동물학자 드미트리 벨라예프가 1959년 시작한 야생 은여우 가운데 온순한 개체만 골라 육종하는 실험은 현재 노보시비르스크 세포학 및 유전학 연구소가 이어받아 계속하고 있다. 위키미디어 코먼스 제공

가축화를 재현하기 위해 야생동물의 특정 형질을 선택해 육종을 거듭할 때 어떤 형질이 나타나는지 보는 실험은 닭 이외에도 은여우를 비롯해 밍크와 쥐를 대상으로 이뤄졌다(사람과 자주 만난 생쥐는 가축이 된다).

인용 저널: Royal Society Open Science, DOI: 10.1098/rsos.200628

조홍섭 기자 ecothink@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네이버 채널 한겨레21 구독▶2005년 이전 <한겨레>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