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朝鮮칼럼 The Column] 보수의 희망을 보여준 김종인의 5·18 사죄

윤석민 2020. 9. 1. 00:2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18 묘역 찾은 김 위원장 현대사 비극에 대한 반성
세월호 사건도 마찬가지.. 보수 야당 대안 세력 되려면
극우 행동주의와 단절하고 치유와 통합 지향해야
윤석민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지난 8월 19일, 김종인 통합당 비대위원장이 5·18 묘역을 찾아 무릎을 꿇었다. 목 멘 소리로 “부끄럽다” “죄송하다”고 했다. 진보 및 보수 양 진영의 반응은 “보여주기 쇼” “근본 없는 비겁함” 등 공히 차가웠다. 하지만 필자는 그의 사죄에서 우리 정치의 희망을 보았다.

필자에게 광주는 1981년 5월의 한 사건으로 각인되어 있다. 철부지 대학 신입생 시절이었다. 도서관 6층에서 한 학생이 “전두환 물러가라!”를 외치고 투신했다. 광주 출신의 경제학과 4학년, 22세 김태훈이었다. 그가 떨어진 자리에 최루탄이 쏟아지고 포연처럼 흰 연기가 피어올랐다. 그날 이후 필자에게 광주는 눈물이었다. 그 젊은 죽음이 슬퍼서, 시대가 아파서, 아무것도 몰랐던 자신이 부끄러워 눈물을 흘렸다.

이 아픈 기억은 2014년 4월의 세월호로 이어진다. 그날 배 안에 갇혀 스러져간 어린 영혼들을 생각하면 지금도 가슴이 죄여온다. 2017년 5월, 학생들과 그 현장을 찾았다. 첫 장소인 신목포항에 거대한 선체가 누워 있었다. 숨 막히는 침묵 속에 무심한 갈매기만 끼룩끼룩 울었다. 다음 날 팽목항에서 배를 타고 동거차도(東巨次島)에 갔다. 섬의 정상 너머에 세월호를 삼킨 맹골수도가 보였다. 바다가 거칠었다면 차라리 위안이 됐을 것이다. 평온해서 더욱 슬픈 바다였다.

“뜬금없이 웬 신파인가” 할지 모르겠다. 하지만 숱한 조사 활동을 통해 낱낱이 밝혀진 팩트들과 무관하게, 광주와 세월호에 대한 온전한 이해는 이 같은 정서적 아픔에 대한 공감에서 출발한다. 홀로코스트 앞에 독일인 누구도 자유롭지 못하듯, 광주와 세월호 앞에 이 사회의 누구도 떳떳할 수 없다. 엄정한 조사를 통해 역사의 정범(正犯)을 단죄(斷罪)하는 일 이상으로 그 아픔을 치유하는 노력이 중요하다. 현 정부·여당의 대안이 되어야 할 보수 야당의 입장에서 더욱 그러하다.

현 정부·여당에 대해선 두 손 두 발 다 들었다는 것 외엔 적당한 표현이 없다. 모든 것 다 떠나 코로나19가 재확산 조짐을 보이는 상황에 생떼 같은 의료 파업 야기가 웬 말인가. 무능과 독선에도 정도가 있는 법이다. 중용(中庸)의 한 구절을 빌리면 “어리석으면서도 자기 생각대로 하기를 좋아하고, 천하면서도 자기 멋대로 하기를 좋아하며, 지금 세상에 살면서도 옛날의 방식으로 되돌아가려” 하는 집단이다. 그에 대한 중용의 경고는 매섭기 그지없다. “이러한 자는 재앙이 그의 몸에 미치게 될 것이다(김학주 역주 118쪽).”

손에 쥐어준 권력을 감당 못 해 총체적 자멸 양상을 보이는 현 정부·여당을 대체할 상식적인 대안 정치 세력의 역할이 지금처럼 절실한 시기가 있었나 싶다. 이 비상한 시기, 개혁의 미명하에 자행되는 분열과 갈등의 정치를 넘어 “저쪽에서도 미워하지 않고 이쪽에서도 싫어하지 않는(124쪽)” 통합과 태평의 정치를 이끄는 역할이 그것이다. 그 주체가 합리적 보수 정당임은 누구도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국민들은 여전히 통합당에 마음 주는 걸 주저하고 있다. 그 주된 이유는 보수 야당의 안팎에 맹목적 애국주의, 냉전적 사고, 지역주의에 매몰된 채 수시로 광주와 세월호를 모독해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수구 정치 세력이 잔존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우리 사회의 전반적 성숙으로 입지가 좁아지면서 가짜뉴스 유포, 선동, 혐오 발언, 자해성 행패 등 극단적 정치 행동주의로 치달리는 양상을 보여준다.

현 정부·여당이 실정(失政)을 남발한다고 이 극우 집단의 행태가 정당화될 수 없다. 양자는 어떤 의미에서 방향만 다를 뿐 독선이라는 속성을 공유한다. 이들의 정치적 자유마저 최대한 용인하는 게 민주주의다. 하지만 보수 정당이 국정운영의 중심 주체로 거듭나기 위해선 이 집단과 단호히 선을 그어야 한다. 그것이 민주화와 산업화를 이끌고, 광주와 세월호를 아파하며, 현 정부의 실정에 분노하는 교양 시민으로서의 국민에게 다가서는 길이다.

이 맥락에서 김종인 위원장이 5·18 묘역에서 보여준 모습은 놀랍고 반가웠다. 80세의 노(老) 정치인은 양극화된 정치 진영들이 자신의 행동에 보일 반응을 예견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그는 역사의 과오 앞에 한없이 낮아지는 길을 택했다. 우리 사회가 가슴 깊이 묻어둔 아픔을 끌어안아 치유와 통합으로 나아가는 길이었다.

그날 필자는 도서관을 올려다보며 마음속에 되뇌었다. “태훈 형, 오늘 보수 정당 대표의 사죄 모습 보셨지요. 여기까지 오는데 이리 오래 걸렸습니다. 미안합니다. 정말 미안합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