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년 전 가야인이 찬 영롱한 유리 목걸이..'철의 왕국' 아닌 '유리의 왕국'이었다

이기환 선임기자 2020. 9. 7. 09:34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김해 양동리 270호분에서 확인된 1800년전 제작된 수정목걸이. 이 목걸이’는 수정제 다면옥(多面玉) 20점과 주판옥 120점, 곡옥(曲玉) 6점 등 총 146점의 수정으로 구성됐다. 전체 약 142.6cm의 길이에, 육각다면체형, 주판알형, 곡옥형(曲玉形) 등 여러 형태로 수정을 다듬어 연결했다. |문화재청 제공


“(가야인들은) 구슬을 보배로 삼아 혹은 옷을 꿰어 장식하고 혹은 목에 걸고 귀에 달았지만 금·은·비단은 진귀하게 여기지 않았다.”(<삼국지> ‘위서·동이전’)

가야를 흔히 ‘철의 왕국’으로 알로 있지만 실은 ‘유리의 왕국’이기도 하다. 문화재청은 가야 시대를 대표하는 두 고분인 김해 대성동 및 양동리 고분에서 출토된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등 목걸이 3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7일 밝혔다. 지정 예고된 목걸이 3건은 ‘철의 왕국’으로만 알려진 가야가 다양한 유리 제품 가공 능력도 뛰어났다는 사실을 일러주는 유물이다.

김해 대성동 76호 고분에서 출토된 목걸이. 수정제 구슬 10점, 마노제(瑪瑙製·수정 같은 석영광물, 말의 뇌수 즉 머릿골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 구슬 77점, 각종 유리제 구슬 2,386점 등 총 2,473점으로 이루어졌다. 평균 지름이 6~7mm 정도로 아주 작은 형태로 다듬었다. |문화재청 제공


출토 정황이 명확하고 보존상태가 좋으며 형태도 완전해서 보물의 가치를 인정받았다. 그동안의 발굴결과 가야인들은 수정이나 마노를 주판알 모양으로 깎거나 유리 곡옥이나 둥근 옥을 만들어 목걸이로 착용했다. 구슬의 재질도 금, 은, 유리, 금박 입힌 유리, 수정, 호박, 비취 등으로 다양했다. 형태도 판옥(板屋·편평하게 가공한 옥제품), 곡옥, 대롱옥(대롱처럼 기다란 형태의 옥제품), 다면옥(多面玉, 여러 면을 깎은 옥제품) 등 다채롭다.

보물로 지정예고된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는 2011년 발굴조사 중 목곽묘에서 발견됐다. 6가야 중 하나인 금관가야는 서기 전후~532년까지 경남 김해를 중심으로 낙동강 하류 지역에 존속한 전기 가야연명채의 맹주국으로 알려져왔다. 가락국이라고도 했다. 목걸이가 출토된 김해 대성동 고분군(사적 제341호)은 3~5세기 무렵 금관가야 시대 수장층(首長層)의 공동묘지이다.

양동리 322호에서 확인된 목걸이. 수정제 곡옥 147점, 대형 수정제 다면옥 2점, 마노 환옥 6점, 파란 유리 환옥 418점, 유리 곡옥 1점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보석 총 574점으로 구성됐다.|문화재청 제공


목걸이는 서로 길이가 다른 3줄로 구성되었다. 수정제 구슬 10점, 마노제(瑪瑙製·수정 같은 석영광물, 말의 뇌수 즉 머릿골 닮았다고 해서 붙은 이름) 구슬 77점, 각종 유리제 구슬 2,386점 등 총 2,473점으로 이루어졌다. 평균 지름이 6~7mm 정도로 아주 작은 형태로 다듬었다. 맑고 투명한 수정과 주황색 마노, 파란색 유리 등 다양한 재질과 색감을 조화롭게 구성한 것이 특색이다. 유리를 곡옥(曲玉)이나 다면체 형태로 섬세하게 가공하고 세밀하게 구멍을 뚫어 연결하거나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는 등 조형적인 완결성을 갖추고 있다. 이 목걸이는 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에서 보이는 굽은 옥.


또 다른 목걸이인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는 1992년 동의대 박물관의 제2차 발굴 조사 중 토광목곽묘에서 발굴됐다. 양동리 고분 270호는 대부분 훼손된 상태였으나 고배(高杯· 높다리 그릇)를 비롯해 토기류나 철제 유물이 다수 출토되어 가야인들의 생활상을 알려 주는 중요한 고분으로 꼽힌다.

이 목걸이’는 수정제 다면옥(多面玉) 20점과 주판옥 120점, 곡옥(曲玉) 6점 등 총 146점의 수정으로 구성됐다. 전체 약 142.6cm의 길이에, 육각다면체형, 주판알형, 곡옥형(曲玉形) 등 여러 형태로 수정을 다듬어 연결했다. 제작 시기는 고분의 형식과 부장품 등으로 보아 3세기로 추정된다. 영롱하고 맑은 투명 무색과 황색, 갈색 등이 약간 섞인 은은한 색의 수정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었다. 형태와 크기가 다른 수정을 조화롭게 배치해 조형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동안에는 목걸이를 구성하고 있는 수정(水晶)은 한동안 외국산으로 알려져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학계의 연구를 통해 경상남도 양산(梁山) 등 국내에서 생산된 것으로 판단된다.

수정목걸이는 3세기 금관가야를 대표하는 지배계층의 장신구다. 3~4세기 가야 유적에서 다수 출토되었다. 그러나 이 목걸이처럼 100여점 이상의 수정으로만 구성된 사례는 드물다. 가공 기법 또한 요즘의 세공기술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양동리 322호 고분에서 출토된 목걸이의 곡옥(파란색), 마노구슬(주황색) 세부. |문화재청 제공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는 1994년 동의대 박물관이 목곽묘에서 발굴한 유물이다. 함께 발굴된 유물 중 중국 한나라 시대 청동 세발 솥(靑銅鼎·청동정) 등을 통해 3세기 경 축조된 금관가야 시대 고분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목걸이는 수정제 곡옥 147점, 대형 수정제 다면옥 2점, 마노 환옥 6점, 파란 유리 환옥 418점, 유리 곡옥 1점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보석 총 574점으로 구성됐다.

특히 경도 7의 단단한 수정(水晶)을 다면체로 가공하거나 많은 수량의 곡옥 형태로 섬세하게 다듬은 제작 방법은 가야인들의 기술 면모를 보여준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부터 3세기 대까지 유행한 가야의 장신구는 수정이나 마노를 주판알 모양으로 깎거나, 유리로 곱은옥이나 둥근옥(球玉)을 만든 목걸이였다.

양동리 322호분에서 출토된 목걸이의 수정다면옥. |문화제청 제공


김해 양동리 322호분에서 출토된 목걸이는 이러한 가야 구슬 목걸이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투명한 수정을 육각형으로 다듬고 거기에 붉은색 마노와 푸른색의 유리옥을 더하여 영롱한 빛으로 조화를 이룬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지정 예고된 가야 목걸이 3건은 각각 개별 유적에서 일괄로 발견됐고, 금관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목걸이 중 많은 수량의 구슬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희귀한 사례이다. 또 가야인들이 신분 위상과 지배 계층의 권위를 장신구를 통해 드러내었음을 실증적으로 말해 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중요하다.

또한 금과 은 제품을 주로 다룬 신라, 백제인들과 달리 수정이나 유리구슬을 선호한 가야인들의 생활상과 연관이 깊은 작품이다.

이기환 선임기자 lkh@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