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인이 금‧은보다 가치 둔 '유리‧수정' 목걸이 보물 된다

박은희 2020. 9. 7. 15: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김해 대성동·양동리 고분서 출토..뛰어난 유리 공예 기술 보여줘

[아이뉴스24 박은희 기자] ‘철의 왕국’으로 알려져 있는 가야가 다양한 유리 제품 가공 능력도 뛰어났음을 보여주는 유물이 보물로 지정된다.

문화재청은 가야 시대를 대표하는 경남 김해의 대성동 고분과 양동리 고분에서 출토된 유리 세공 목걸이 3건을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고 7일 밝혔다.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문화재청]

모두 출토 정황이 명확하고 보존상태가 좋으며 형태도 완전해 역사‧학술‧예술 가치를 지닌 보물로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는 2011년 대성동고분박물관이 발굴조사를 하다가 목곽묘에서 발견했다.

서로 길이가 다른 3줄로 구성됐고 수정제 구슬 10점, 마노제 구슬 77점, 각종 유리제 구슬 2천386점 등 총 2천473점으로 이뤄졌다. 평균 지름이 6~7㎜ 정도의 아주 작은 형태로 다듬어졌다.

맑고 투명한 수정과 주황색 마노, 파란색 유리 등 다종다양한 재질과 색감을 조화롭게 구성한 것이 특색이다. 유리를 곡옥이나 다면체 형태로 섬세하게 가공하고 세밀하게 구멍을 뚫어 연결하거나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는 등 조형적인 완결성을 갖추고 있다.

문화재청은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는 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며 “발굴조사를 통해 나온 터라 출토지와 유물의 내역이 분명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여러 재료를 정교하게 가공해 색상과 질감을 조화롭게 배치한 가야인들의 수준 높은 문화를 엿볼 수 있다”며 “금관가야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공예품으로 역사·예술 가치가 충분한 유물”이라고 강조했다.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 목걸이. [문화재청]

‘김해 양동리 270호분 출토 수정목걸이’는 1992년 동의대학교박물관의 제2차 발굴 조사 중 토광목곽묘에서 발굴됐다.

양동리 고분 270호는 인접한 여러 고분과 겹쳐 있어 대부분 훼손된 상태였으나 고배(높다리 그릇)를 비롯해 토기류나 철제 유물이 다수 출토돼 가야인들의 생활상을 알려 주는 중요한 고분으로 꼽힌다.

목걸이는 수정제 다면옥 20점과 주판옥 120점, 곡옥 6점 등 총 146점의 수정으로 구성됐다. 전체 약 142.6㎝의 길이에 육각다면체형·주판알형·곡옥형 등 여러 형태로 수정을 다듬어 연결했다. 제작 시기는 고분의 형식과 부장품 등으로 보아 3세기로 추정된다.

영롱하고 맑은 투명 무색과 황색, 갈색 등이 약간 섞인 은은한 색의 수정 표면을 매끈하게 다듬었고, 형태와 크기가 다른 수정을 조화롭게 배치해 조형성이 매우 뛰어나다.

목걸이를 구성하고 있는 수정은 한동안 외국산으로 알려졌으나, 최근에는 학계의 연구를 통해 경상남도 양산 등 국내에서 생산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문화재청은 “수정목걸이는 3세기 금관가야를 대표하는 지배계층의 장신구로서 3~4세기 가야 유적에서 다수 출토됐으나 이 목걸이처럼 100여점 이상의 수정으로만 구성된 사례는 매우 희소하다”며 “가공 기법 또한 오늘날의 세공기술과 비교해도 될 만큼 완전성이 뛰어나다”고 전했다.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 [문화재청]

‘김해 양동리 322호분 출토 목걸이’는 1994년 동의대학교박물관이 목곽묘에서 발굴한 유물이다. 함께 발굴된 유물 중 중국 한대 청동 세발 솥(청동정) 등을 통해 3세기 경 축조된 금관가야 시대 고분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목걸이는 수정제 곡옥 147점, 대형 수정제 다면옥 2점, 마노 환옥 6점, 파란 유리 환옥 418점, 유리 곡옥 1점 등 다양한 재질과 형태의 보석 총 574점으로 구성됐다. 경도 7의 단단한 수정을 다면체로 가공하거나 많은 수량의 곡옥 형태로 섬세하게 다듬은 제작 방법은 가야인들의 기술 면모를 보여준다.

기원을 전후한 시기부터 3세기 대까지 유행한 가야의 장신구는 수정이나 마노를 주판알 모양으로 깎거나 유리로 곱은옥 또는 둥근옥을 만든 목걸이였다. 김해 양동리 322호분에서 출토된 목걸이는 이러한 가야 구슬 목걸이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투명한 수정을 육각형으로 다듬고 거기에 붉은색 마노와 푸른색의 유리옥을 더해 영롱한 빛으로 조화를 이룬 것이 특징이다.

문화재청은 “수정을 정교하게 가공한 기술과 다채로운 색채와 질감이 조화를 이룬 조형의식이 돋보여 당시 장신구 문화의 세련된 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작”이라며 “3세기 금관가야의 지배층 문화를 대표할 수 있는 귀중한 장신구”라고 밝혔다.

아울러 “이번에 지정 예고된 가야 목걸이 3건은 각각 개별 유적에서 일괄로 발견됐고 금관가야 고분에서 출토된 목걸이 중 많은 수량의 구슬로 이뤄졌다는 점에서 희귀한 사례”라며 “가야인들이 신분 위상과 지배 계층의 권위를 장신구를 통해 드러내었음을 실증적으로 말해 준다는 점에서 학술적으로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금‧은 제품을 주로 다룬 신라, 백제인들과 달리 수정이나 유리구슬을 선호한 가야인들의 생활상과 연관이 깊은 작품”이라며 “화려함을 추구한 당시 사람들의 또 다른 모습을 새롭게 인식하게 해주는 유물이라는 점에서 보존가치가 높다”고 덧붙였다.

문화재청은 예고 기간 30일 동안 각계의 의견을 수렴·검토하고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할 예정이다.

박은희기자 ehpark@inews24.com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