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상권 침몰 중.. 상인들 "우리는 고립됐다"

2020. 9. 20. 21:0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고요한 신촌거리
한 때 보조 의자와 테이블을 추가로 사용할 정도로 신촌 대학가 일대가 붐볐으나 지금은 모두 먼지만 쌓이고 있는 한 식당 모습. 아래는 폐업 점포가 늘어난 불 꺼진 이화여대앞 거리. 오가는 행인도 드물어 썰렁하다.


지난 14일 오후 8시 서울 서대문구 이대 신촌 일대 거리는 고요에 잠겨 있었다. 이날부터 사회적 거리두기가 2단계로 낮아졌지만, 코로나19 확진자는 여전히 세 자릿수를 기록 중인 상황. 예년 같으면 개강으로 선후배가 술잔을 기울이며 북적거려야 할 모습이지만 거리에는 문을 굳게 닫은 술집, 식당, 카페 등이 즐비했다. 이대 신촌은 1980년대부터 서울 시내 대표 상권으로 꼽히며 자영업자들이 활기를 띠던 곳 중 하나다.

“30년 전 IMF 당시보다 힘들다고 주변에서 다 그럽니다. 이러다간 코로나19로 죽는 게 아니라 굶어서 죽을 지경이에요. 1월부터 8월까지 누적 적자가 3500만원입니다. 자가용 등 담보로 잡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것은 다 받은 상황입니다. 늪에 빠져 스스로 죽어간다는 느낌을 아시나요. 가게에 혼자 멍하니 있다 보면 항상 그런 생각을 합니다.”

세브란스병원 건너편에서 삼겹살집을 운영하는 김모씨의 하소연이다. 작년 이맘때만 해도 대학생들로 가득 찼다던 그의 가게는 텅 비어 있었다. 손님이라곤 근처 이웃인 사진관 사장이 들러 연신 소주를 들이 키고 있을 뿐이었다. 가게 한 구석 쌓여있는 보조 테이블과 의자만이 과거 손님이 많았다는 것을 알려주는 유일한 증인이었다.

신촌 등지에서 고깃집을 운영한지 10년째라는 그는 대학가 젠트리피케이션(원주민 내몰림)의 피해자이기도 하다. 이대 인근에서 장사를 할 당시는 나름 가게가 소문도 나고 장사도 잘 됐다. 하지만 2년 전 즈음 인근 재개발 후 땅값과 임대료가 치솟자 결국 자리를 떠나고 말았다. 다시 이곳에서 장사를 이어가며 자리를 잡기 시작할 찰나, 코로나19가 덮쳤다. 마스크 뒤 김씨의 깊은 한숨이 들려왔다.

코로나19 장기화에 대학가 자영업자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대학들의 정상적인 개강이 늦어지면서 ‘상권 마비’ 상태다. 기존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이 더 심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서울 주요 대학가는 올해 신학기 개강 특수도 놓친 데다, 1학기 내내 이어진 비대면 수업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여름방학 이후 2학기가 맞았으나 여전히 녹록지 않은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이대 앞 골목에서 마라탕 가게를 운영하는 이모씨는 이곳에서 장사를 더 이어갈 수 있을지 잠을 이루지 못한다. 상황이 더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이다. 지난해 학생들이 줄을 서서 이곳을 찾을 정도로 인기가 많았지만 이날 매출은 10만원에 불과했다. 이씨는 “임대료가 300만원에 이르고, 전기 가스 수도세 기타 고정비도 100만원 이상”이라며 “계약기간이 1년 남짓 남았는데 그전에라도 나가고 싶은 심정”이라고 울분을 터트렸다.

실제로 이대역에서 신촌 메가박스를 지나 연세대 정문으로 향하며 임대문의가 붙은 빈 상가들을 곳곳에서 목격했다. 과거 옷가게와 액세서리 판매점이 모여 있던 이대 골목은 을씨년스러운 기분마저 들게 했다. 대학 상권은 일반 상권과 달리 유입인구가 적어 대학생 소비가 필수적이다. 하지만 지금은 그저 ‘고립된 상태’라는 것이 상인들의 우려다.

이튿날인 15일 점심께 찾은 회기역 인근 상황도 비슷했다. 경희대 정문의 한 식당에는 두세 테이블에만 손님들이 자리하고 있었다. 직원 정모씨는 “코로나19로 매출이 3분의 1정도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평소 점심시간대면 학생들이 나와서 주로 식사를 하곤 했는데, 지금은 인근 병원이나 회사 직원들만 찾고 있다”라고 말했다. 향후 상황에 대한 물음엔 “대학이 다시 정상적으로 개강만 한다면…”이라고 말끝을 흐렸다.

고려대 정문에서 부대찌개 전문점을 운영하는 임모씨도 한숨이 늘었다. 그는 “대학상권은 개강 후 번 돈으로 방학기간을 버티는데 지금은 방학이 3월부터 9월까지 이어지는 것과 다름없다”라고 설명했다. 주변 상권 상황에 대해선 “식당도 힘들지만 근처 노래방, PC방 등 영업정지를 당한 사장님들을 생각하면 남일 같지 않고 가슴이 아프다”면서 “우리는 배달도 해보며 대안이라도 찾을 수 있지만 이분들은 아예 답이 없지 않느냐”라고 반문했다.

이날 만난 상인들은 재난지원금보다도 저리 장기 대출 확대가 더 도움이 된다고 평했다. 추후 개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상황이 나아질 것이란 기대다. 이와 관련 정부도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한 2차 금융지원 프로그램 대출 한도를 늘리고 기준을 완화하는 등 대책을 꺼내들었다. 이날 손병두 금융위 부위원장은 관련 회의에서 “23일부터 한도를 기존 1000만원에서 2000만원으로 확대하고, 1·2차 중복 대출도 허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사진=한전진 쿠키뉴스 기자 ist1076@kukinews.com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