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공무원, 특정인 지지하는 단체나 후원회 가입 안 된다
서혜미 입력 2020. 09. 24. 18:56 수정 2020. 09. 25. 02:06기사 도구 모음
앞으로 공무원은 정당뿐 아니라 창당준비위원회, 후원회, 선거운동기구, 특정 정당이나 특정인을 지지·반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에 가입할 수 없게 된다.
공무원은 △정당법에 따른 정당 및 당헌·당규에 따른 정당의 조직 △정당법에 따른 창당준비위원회 △정치자금법에 따른 후원회 △공직선거법에 따른 선거운동기구 △그 밖에 특정 정당 또는 선출직 공무원, 법률에 따른 공직선거에서의 당선인·후보자·예비후보자 등 특정인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에 가입할 수 없다.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앞으로 공무원은 정당뿐 아니라 창당준비위원회, 후원회, 선거운동기구, 특정 정당이나 특정인을 지지·반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에 가입할 수 없게 된다.
인사혁신처는 이와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국가공무원법을 25일 입법 예고한다고 24일 밝혔다. 현행 국가공무원법 제65조 1항은 공무원이 결성에 관여하거나 가입할 수 없는 단체를 ‘정당 및 그 밖의 정치단체’로 규정하고 있는데, ‘그 밖의 정치단체’ 범위를 구체화했다.
공무원은 △정당법에 따른 정당 및 당헌·당규에 따른 정당의 조직 △정당법에 따른 창당준비위원회 △정치자금법에 따른 후원회 △공직선거법에 따른 선거운동기구 △그 밖에 특정 정당 또는 선출직 공무원, 법률에 따른 공직선거에서의 당선인·후보자·예비후보자 등 특정인을 지지하거나 반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단체에 가입할 수 없다.
이는 지난 4월 헌법재판소의 판결에 따른 후속 조처다. 당시 헌재는 현직 교사 9명이 청구한 헌법소원심판에서 교사가 ‘그 밖의 정치단체 결성에 관여하거나 이에 가입할 수 없다’고 규정한 부분이 명확성 원칙에 위배된다는 취지로 위헌 결정을 내렸다. ‘정치단체’와 ‘비정치단체’를 구별할 수 있는 기준이 모호해 정치적 표현의 자유와 결사의 자유를 침해한다는 이유에서였다.
서혜미 기자 ham@hani.co.kr
ⓒ 한겨레신문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겨레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 [단독] “북 어업지도원 사살, 북 해군사령관이 지시했다”
- ‘실종 뒤 북한군에 피격’ 공무원 누구?
- 사적 보복 논란 ‘디지털 교도소’ 결국 전체 접속 차단
- 강남4구·세종 아파트값 내재가치의 2배...‘거품’ 가능성 높다
- 낙태죄 유지한다고?…14주 이내 허용설에 여성들 뿔났다
- 고려대 교수들, 강남 유흥업소에서 법인카드 6700만원 사용
- ‘독감 백신’ 파장…승격 뒤 첫 시험대 오른 질병청
- 정치권, ‘드라이브 스루’ 집회 공방 속 이재명 다른 목소리
- 경찰, ‘디지털교도소’ 또 다른 운영자·공범도 수사
- 코호트 격리 시설에서 확진자 10명 추가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