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pyright belongs to the original writer of the content, and there may be errors in machine translation results.版权归内容原作者所有。机器翻译结果可能存在错误。原文の著作権は原著著作者にあり、機械翻訳の結果にエラーが含まれることがあります。Hak cipta milik penulis asli dari konten, dan mungkin ditemukan kesalahan dalam hasil terjemahan mesin.Bản quyền thuộc về tác giả gốc của nội dung và có thể có lỗi trong kết quả dịch bằng máy.
다주택자 상위 1%, 평균 7.3채 강남3구 집주인 20%, 2주택 이상
[경향신문]
서울 아파트 전경. 김기남 기자
국내 다주택자 상위 20명이 소유 중인 주택 수가 1인당 평균 400채가 넘는 것으로 집계됐다. 강남3구 집주인 10명 중 2명은 집이 2채 이상인 다주택자였다.
15일 박상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통계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2018년 기준 국내에서 주택이 가장 많은 집주인은 총 1806가구를 소유 중인 A씨였다. A씨는 2016년 1246가구를 소유하다 2017년에 200여채, 2018년에 300여채를 추가로 사들였다.
2018년 기준 다주택자 상위 20명의 집주인들이 가진 주택은 총 8327가구였다. 1인당 평균 416가구꼴이다. A씨를 포함해 주택을 500가구 이상 소유한 이는 5명이었다.
지자체별로는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강남3구 집주인의 20.2%가 2주택 이상 다주택자로 나타났다. 다주택자 전국(15.6%) 및 서울(15.8%) 비율을 모두 웃도는 수치다. 5주택 이상을 보유한 집주인 비중도 강남3구는 평균 3.46%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상위 1%가 소유한 주택은 총 102만6237가구로 전체 주택의 5.8%를 차지했다. 상위 1%의 다주택자가 1인당 평균 7.3가구를 보유한 것으로 집계됐다. 상위 10%로 확대하면 총 372만5743가구(21.1%), 1인당 2.7가구를 소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주택법에서 정하는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가구는 전국 111만1000가구(5.7%)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