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유통 논쟁..수면 아래 새만금 모습은?
[KBS 전주]
[앵커]
새만금 방조제가 완공된지, 14년이 지났습니다.
이번 국정감사에서 해수유통을 하지 않고서는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어렵다는 환경부의 용역 보고서가 공개되면서 해수유통 논쟁이 더 뜨거워지고 있죠.
그렇다면 새만금의 수면 아래 모습은 어떨까요,
수중 촬영 영상을 KBS가 입수했습니다.
박웅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신시배수갑문에서 6km 정도 떨어진 새만금호의 만경강 유역.
수중촬영용 드론이 물 속에 들어가자마자 짙은 녹조가 렌즈 앞을 가립니다.
수심 6m.
녹조는 사라지지만, 조명에 반사된 부유물질이 어지럽게 떠다닙니다.
수심 12m.
수중드론이 새만금 바닥에 닿습니다.
식물이나 물고기 등 생명체는 찾을 수 없고, 퇴적물만 먼지처럼 흩어집니다.
[한승우/전북녹색연합 새만금살리기위원장 : "전혀 생명이 살 수 없는 죽음의 공간이 되어 있다고 하는 거고요. 더불어서는 많은 오염물질이 쌓여서 계속해서 밑이 썩고 있다고 하는 것, 이런 것들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고…."]
수중촬영이 이뤄진 곳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의 COD 즉, 화학적 산소 요구량은 지난 10년 동안 조금씩 높아졌습니다.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더 오염되고 있다는 뜻입니다.
최근 환경부 용역 보고서도 특히 농업·도시용지에서 수질이 더 나빠지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새만금 수질을 개선한다며 정부가 지난 20년 동안 쓴 예산만도 4조 원이 넘습니다.
새만금 수중 영상은 그동안 드물었습니다.
이번에 새만금호 바닥까지 촬영한 영상이 공개되면서 해수유통 문제를 놓고 찬반 논쟁이 더 뜨거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KBS 뉴스 박웅입니다.
촬영기자:안광석
박웅 기자 (ism@kbs.co.kr)
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
- [단독] 김봉현, 검찰 조사서 이종필 압수수색 미리 알려준 변호사 지목
- 이재용 지배구조 최대 난제 ‘보험업법 개정’
- 막오른 ‘공수처의 시간’…‘비토권’ 野에 ‘개정안 강수’ 두는 與
- [영상] ‘대통령 답변서’ 가져 왔다는데…왜 전달 못했나?
- AI까지 동원된 올겨울 날씨 전망은?…“냉탕온탕 반복”
- 파업 움직임에 일감 끊은 롯데택배…“사실상 직장폐쇄”
- [사건후] “나 버렸잖아” 이별 후 두 달 만에 다시 만났지만…
- 서울 무료 와이파이 ‘까치온’ 시작…정부는 왜 반대할까?
- ‘부산 55년 고깃집’ 이름 쓰지 말라…법원 “상호는 식당의 성과”
- 부산항 ‘고층 장벽’ 현실화…“이대로 괜찮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