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독점시장 뚫는 韓기업.. 탈일본 '착착'

이한듬 기자 2020. 10. 29. 04:1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SK·한화 이어 LG·두산 등 주요기업 소·부·장 국산화 가속화
LG이노텍 직원이 ‘고효율 페라이트’를 선보이고 있다. / 사진=LG이노텍
일본이 독점하던 시장에 ‘K-기술’ 바람이 분다. 국내 주요기업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부문에서 잇따라 독자적인 기술로 국산화 성과를 창출하며 일본의 뒤를 바짝 추격하고 있는 것. 지난해 일본의 대(對)한국 수출규제 이후 본격적으로 추진된 ‘탈(脫)일본’ 전략이 기업의 주도 아래 차질 없이 이행되고 있다는 평가다. 각 기업은 국산화를 넘어 성공적인 시장안착을 목표로 공급을 확대해 나간다는 목표다.


자체기술로 국산화 성공


LG이노텍은 최근 세계에서 전력 손실이 가장 적은 ‘고효율 페라이트’ 개발에 성공했다. 페라이트는 산화철이 주원료인 자성(자석의 성질) 소재로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가루를 타일모양으로 굳혀 사용한다.

주로 TV용 파워모듈과 차량용 파워 및 충전기(OBC) 등에 장착해 전압을 바꾸거나 전류 파동으로 발생하는 불필요한 신호를 제거하는 데 쓰인다. 이를 통해 TV용 디스플레이 패널과 차량용 에어컨·오디오 등에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페라이트를 최초로 개발한 것은 일본이다. 1930년 일본 도쿄공업대학의 가토우 박사가 아연광석에서 아연을 추출하는 공법의 개량을 연구하던 중 우연히 산화철을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산화물이 강한 자성을 나타내는 것을 발견한 것이 페라이트의 시초가 됐다. 이후 1935년 설립된 일본 전자기업 ‘TDK’가 페라이트를 최초로 사업화하면서 현재까지 히타치 등과 함께 시장을 주도해오고 있다.

하지만 일본 제품은 가격이 비싸고 수급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국가 사이에 무역이나 외교 분쟁으로 수출입 규제 등이 발생하면 핵심소재의 수급에 차질이 생겨 사업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LG이노텍은 이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2018년부터 페라이트 개발에 본격 돌입했다. 소재 설계부터 업계 최초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 및 인공지능(AI) 방식의 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해 고효율 페라이트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는 설명이다.

LG이노텍이 개발한 고효율 페라이트는 열로 인한 전력 손실량이 기존 페라이트 대비 최대 40%까지 적다. 이 소재를 사용하면 TV용 파워모듈을 세계에서 가장 얇은 수준인 9.9mm로 만들어 TV 두께를 약 60% 줄일 수 있다. TV용 파워모듈의 에너지 효율도 최대 5%포인트까지 높여 부품 수명도 늘릴 수 있고 발열이 적어 과열로 인한 화재위험도 줄인다.

이번 개발로 LG이노텍은 TV 및 차량용 파워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일본이 주도하던 페라이트를 우리 기술로 개발하는 데 성공하며 또 하나의 소·부·장 국산화 성과를 남기게 됐다.

LG이노텍은 자사 제품을 대상으로 핵심소재인 ‘고효율 페라이트’ 적용을 확대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간다는 전략이다. 특히 내년 상반기 소재 양산을 목표로 글로벌 전자기업 및 완성차 업체 대상 프로모션을 적극 추진해 시장확대를 모색할 방침이다.

두산솔루스의 자회사 서킷포일 룩셈부르크(CFL) 공장 전경. / 사진=두산솔루스



주요기업 극일 성과 지속


두산솔루스도 최근 일본 업체가 독점해 온 시스템 반도체용 하이엔드 초극박을 국내 최초 수주에 성공했다. 시스템 반도체용 하이엔드 초극박은 미세회로 제조 공법(MSAP)의 핵심 소재로 모바일·웨어러블 기기 등의 시스템 반도체용 PCB(인쇄회로기판) 등에 널리 쓰인다.

그동안 일본 업체가 독점해 온 제품이지만 두산솔루스의 자회사인 ‘서킷포일 룩셈부르크’(CFL)가 지난해 일본 소재 업체와 대등한 수준의 초극박 성능 구현에 성공했다. 두산솔루스의 두께 2μm(마이크로미터·100만분의 1미터) 초극박은 내년 초 양산 예정인 국내기업의 차세대 웨어러블 기기에 공급될 예정이다.

두산솔루스 관계자는 “이번 수주는 일본 업체가 독점했던 국내 초극박 시장에 국내 소재업체가 진입한 최초의 사례”라며 “반도체용 하이엔드 초극박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LG이노텍과 두산솔루스에 앞서 한화·SKC·코오롱 등 주요기업도 국산화 성과를 냈다. 한화솔루션은 지난 5월 일본 미쓰이케미칼이 독점하던 고부가가치 화학 소재인 고순도 ‘자일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를 독자기술로 자체개발해 상업생산에 돌입했다.

SKC는 일본이 시장의 95%를 차지하던 반도체용 하이엔드급 블랭크마스크 개발에 성공해 연내 제품인증 획득을 목표로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SK머티리얼즈는 지난 6월부터 초고순도(99.999%) 불화수소(HF) 가스 양산을 시작했으며 솔브레인은 업계 최고 수준인 순도 트웰브나인(99.9999999999%)의 액체 불화수소를 개발해 시장에 공급 중이다.

정부도 소·부·장 육성에 힘을 보탠다. 올해 4월 시행된 ‘소부장특별법’을 통해 기업의 연구개발(R&D) 등을 지원하고 규제를 없애 소부장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집중하고 있다.

이와 관련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0월1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5차 소재·부품·장비 경쟁력 강화 위원회’를 주재한 자리에서 “기본계획이 착실히 이행되면 2025년까지 ‘포브스 2000’(미국 포브스지가 발표하는 글로벌 2000대 기업) 내 한국 소·부·장 기업 수는 11개에서 20개로 늘고 선진국 대비 소·부·장 기술 수준은 85%로 향상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전망했다.
[머니S 주요뉴스]
"돈많은 암표범"… 억만장자女의 아찔한 힙라인
보디빌더 김기중, 갑자기 사망… 세균 감염?
양준혁♥박현선 웨딩화보… 뽀뽀하며 닭살 행각
언론에 노출된 이재용 아들·딸… "역시"
슬쩍 보이는 가슴골… 이지아, 은근 노출 '헉'
"소주잔 사려고 줄 섰다"… 두꺼비가 뭐길래
'김 모델' 누구야?… 알고보니 '회장님 아들'
"Present" 안재현 이혼 후 근황… 무슨 의미?
강제추행 재판 중 음주, 힘찬 사과했지만…
"너네 사귀지?" 현우♥지주연, 돌직구 대답은?

이한듬 기자 mumford@mt.co.kr
<저작권자 ⓒ '성공을 꿈꾸는 사람들의 경제 뉴스' 머니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