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별선물 '순금열쇠' 받은 총경.. 징계하고 과태료 처분
전별 선물로 순금열쇠를 받아 논란을 일으킨 경찰 고위 간부가 징계와 함께 과태료 부과 처분을 받았다.〈2020년 4월 7일 중앙일보『[단독] 경찰 고위 간부, 전별선물로 '순금열쇠' 받았다가 감찰』참고〉
━
A총경 “석별의 정으로 생각”
11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청 감찰담당관실은 지난 4월부터 관련 사건을 일으킨 A총경에 대해 감찰 조사를 한 결과 경징계(견책) 처분과 함께 과태료를 부과했다. A총경은 “감찰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국무총리실 소청심의위원회에 소청(訴請) 등을 제기해 심의 중이다. A총경은 “감사패만 받은 줄 알았는데, 나중에 자세히 살펴 보니 순금열쇠가 끼어 있었다. 석별의 정을 나누는 취지로 준 것이라고 생각해 다시 돌려주진 않았다”는 입장이다.
앞서 A총경은 올해 1월 한 경찰서장 자리를 떠나면서 산하에 있던 10명가량의 지구대장·파출소장 등으로부터 100만원 상당의 순금열쇠를 받았다. 경찰공무원 징계령 세부시행규칙에 따르면 경찰공무원이 금품·향응 등의 재산상 이익을 직무 관련 공무원으로부터 받으면 안 된다. ‘김영란법(청탁금지법)’ 위반 여지도 있다. 특히 사건 발생 시점이 검·경 수사권 조정 관련 법안 통과로 경찰 내 공직 기강을 강조한 때라 경찰 내에서 논란이 일었다.
━
감찰 불구 주요 보직에
사건과 관련한 투서가 들어가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이 1차 감찰을 벌였다. 이번 경찰청 징계 조치에 이르렀다. 올해 들어 국무총리실이 경찰을 대상으로 감찰을 한 건 이번 사건이 유일하다. A총경은 민갑룡 당시 경찰청장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인물이다. 감찰 조사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인사 이동 없이 보직을 유지하고 있다.
경찰 내에서 총경은 일선 경찰서 서장급 간부로 ‘경찰의 꽃’이라고 불린다. 지난해 4월 현재 전국 경찰 12만 명가량 중 총경 이상 고위 간부는 670여 명(0.55%가량)에 불과하다. 최근 3년간 비위가 적발돼 징계를 받은 고위 간부 수는 25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15명은 중징계(파면·해임·강등·정직 등)를 받았다. 올해 들어선 A총경을 포함해 총 6명이 징계(불문경고 1명, 견책 1명, 주의 3명, 경고 1명)를 받았다. 그 동안 경찰 고위 간부들이 저지른 비위 유형은 금품수수와 수사 기밀 유출, 음주운전, 갑질 등으로 다양하다.
김민중 기자 kim.minjoong1@joongang.co.kr
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추미애 "윤석열 대권 후보 1위 등극···그냥 사퇴하고 정치하라"
- 여의도 하늘에 드론택시 떴다…7분간 ‘실증 비행’
- "다시 처녀 된 기분" 80세 영국 할머니, 35세 이집트 남성과 결혼
- 진기명기 중에서도 이런 명장면이...'물수제비샷 홀인원' 선보인 욘 람
- 담배 두갑 5000원 영수증···'성추행 혐의' 교수 살렸다
- 정의연 윤미향 첫 재판 앞둔 담당 판사, 회식중 돌연사
- ‘Why?’ 류 학습만화 약인가 독인가…“공부 흥미 생겨” vs “독서와 멀어져”
- 서민 "추미애 바닥 드러냈네 싶다가, 바닥 더 있어 놀란다"
- ‘Why?’ 류 학습만화 약인가 독인가…“공부 흥미 생겨” vs “독서와 멀어져”
- 바이든 측 읽씹 중···민감한 시기에 미국 가겠다는 강경화의 '난센스 외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