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 가물한 사람.. '꼭' 운동해야 하는 이유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를 진행한 조한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경도인지장애가 알츠하이머병으로 이어질 위험을 예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정기적으로 운동해야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도인지장애 환자가 규칙적으로 운동하면 알츠하이머병에 걸릴 위험이 줄어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도인지장애란 자신의 나이대보다 기억력·주의력·언어능력 등 인지기능이 저하된 상태를 말한다. 일상생활에 별다른 지장이 없어 치매는 아니지만, 이들 중 약 10~15%가 매년 알츠하이머병으로 진행돼 치매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연세대 의과대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의 건강기록(2009~2015년)을 바탕으로 64~69세 경도인지장애 환자 24만7149명에게 7일간의 운동량에 관해 설문 조사했다. 대상자 중 5만6664명(23%)은 경도인지장애 진단 전후 1주일에 1번 이상 운동했고, 4만5598명(18%)은 진단 후 운동을 시작했고, 4만5014명(18%)은 진단 후 운동을 중단했으며, 9만9873명(40%)은 정기적으로 운동하지 않았다.
연구 결과, 1주일에 1회 이상 중강도나 고강도로 운동한 사람은 운동을 아예 하지 않은 사람보다 알츠하이머 발병 위험이 18% 낮았다. 대상자 중 알츠하이머 발병 비율은 일주일에 1번 이상 운동한 그룹이 4.8%로, 진단 후 운동을 시작한 그룹(6.3%)·진단 후 운동을 중단한 그룹(7.7%)·운동을 정기적으로 하지 않은 그룹(8.7%)에 비해 낮았다. 연구팀은 규칙적인 운동이 뇌세포의 성장과 생존에 도움을 주고, 뇌로 흘러 들어가는 혈액량을 증가 시켜 뇌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진행한 조한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면 경도인지장애가 알츠하이머병으로 이어질 위험을 예방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경도인지장애 환자는 정기적으로 운동해야 알츠하이머성 치매 발병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알츠하이머 연구 및 치료(Alzheimer `s Research and Therapy)’에 게재됐고 메디컬 익스프레스(MedicalXpress)가 최근 보도했다.
- Copyrights 헬스조선 & HEALTH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헬스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미국 연구진 "기억 이식 성공…뉴런 세포 RNA 전달 결과"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울어야 '건강' 웃어야 '행복'… 질환별 울고 웃는 법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배우자가 행복해야 내가 더 오래 산다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작은 일에도 행복 느끼는 노인이 오래 살아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의학 칼럼] 성장·두뇌 발달 돕고 눈 보호… 학교 급식에 계란 요리 필수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
- 우리 아이, 멘사회원 '블랑카' 정철규처럼 똑똑하게 키우려면?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LDL 낮추고, 두뇌·눈 지키고… '건강한 기름' 어때요?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혈관·두뇌에 좋은 오메가3 풍부한 '삼치'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영국 유명 영양학자가 꼽은 '두뇌 건강'에 도움되는 식품 - 당신의 건강가이드 헬스조선
- 키위 먹으면 혀가 ‘따끔’… 나만 그래?